这是用户在 2025-7-6 7:39 为 https://app.immersivetranslate.com/pdf-pro/337050f9-5964-43b1-9fe2-d231315c8107 保存的双语快照页面,由 沉浸式翻译 提供双语支持。了解如何保存?

특집  特辑

홍대용은 과연 북학파(北學派)인가  洪大容究竟是北学派吗

박희병(서울대)  朴熙炳(首尔大学)

목차  目录

1.문제제기  1.问题提出
2.'북학'이라는 용어  2.“北学”这一用语
3.'북학파'라는 용어  3.“北学派”这一用语
4.'북학사상'이라는 용어  4.“北学思想”这一用语
5.북학론 형성 과정에서 홍대용의 역할
5.在北学论形成过程中洪大容的角色

6.북학론과 홍대용 사상의 동이(同異)
6.北学论与洪大容思想的异同

7.맺음말  7.结语
국문요약:누구나 홍대용은 북학파의 일원으로 알고 있다.또한 북학파는 긍정 일변도로만 이해되어 와,그 사상적 지향에 담지된 문제점이 별로 거론된 적이 없었다.또한 홍대용은 연암 박지원이 그 중심으로 간주되는 이른바'연암학파'의 일원으로 인식되어 왔다.이 논문 은 학계의 이런 통념을 부정하고,홍대용을 북학파에서 분리해 내고 있으며,이를 통해 북학 파의 인식론과 문명론적 입장 및 사회개혁론의 비판적 음미를 위한 논리적 거점을 마련코 자 하였다.이러한 시도는 한국사상사 이해의 확충에 기여하리라 생각한다.
韩文摘要:人人都知道洪大容是北学派的一员。此外,北学派一直被单一地理解为积极的一面,其思想指向中所包含的问题很少被提及。同时,洪大容被认为是以燕岩朴趾源为中心的所谓“燕岩学派”的一员。本文否定了学界的这种通念,将洪大容从北学派中分离出来,并通过此为北学派的认识论、文明论立场及社会改革论的批判性品味提供逻辑据点。我们认为,这一尝试将有助于扩展对韩国思想史的理解

주제어 :담헌 홍대용.연암 박지원,박제가.북학,북학파
主题词:淡轩 洪大容、燕岩 朴趾源、朴齊家、北学、北学派

1.문제제기  1. 问题提出

한국 학계에서는 담헌(港軒)홍대용(洪大容)을 박지원 • 박제가 • 이덕무 등과 더불어'북학파(北學派')의 일원으로 간주해 왔다.또한 담헌을 북학파의 영 수(領首)로 부르거나,북학파의 선구자로 이해해 왔다.그 누구도 이렇게 보는 데 의문을 제기한 적이 없다.하지만 그것은 과연 진실일까?본고는 너무도 당연한 것으로 간주되어온 이런 통념에 대한 의문으로부터 출발한다.
在韩国学界,淡轩(港轩)洪大容(洪大容)一直被视为朴趾源、朴齊家、李德懋等人组成的“北学派”的一员。此外,淡轩还被称为北学派的领袖,或被理解为北学派的先驱。至今无人对这种看法提出质疑。但这真的是事实吗?本文从对这一被视为理所当然的通念的质疑出发。

담헌은 박지원 • 박제가 • 이덕무와 교분이 두터웠다.특히 박지원은 담헌 을 자신의 둘도 없는 지기로 간주하였다.박지원이 자신과 친밀한 관계를 맺 은 주변의 벗들 중 예의를 차리고 존중한 인물로 담헌만한 사람은 아마 없었 으리라 생각된다.박지원은 본디 분방한 면모가 없지 않았던 문인 기질의 인 간이었다면,담헌은 술도 마시지 않은 단아한 학자 타입의 인간이었다.박지 원은 그의 다른 술친구나 문예방면의 친구들을 대할 때와 달리 담헌을 학자 로서 경대(敬待)했던 것으로 생각된다.박지원이 평소 담헌의 학문을 얼마나 경청했었는지는 『열하일기를 통해 잘 알 수 있다.이 여행기에서 박지원은 중국인들에게 여러 번 담헌의 이름을 거론하면서 그의 학문적 성취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淡轩与朴趾源、朴齊家、李德懋交情深厚。尤其是朴趾源将淡轩视为自己无可替代的知己。在朴趾源与周围亲密交往的朋友中,能够如此礼敬和尊重的人,大概只有淡轩了。朴趾源本身是个不无放荡性格的文人,而淡轩则是一个不饮酒、端庄的学者型人物。朴趾源对待其他酒友或文艺方面的朋友时,与对待淡轩作为学者的态度不同,显得更加敬重。通过《热河日记》可以很好地了解朴趾源平时对淡轩学问的倾听程度。在这部游记中,朴趾源多次向中国人提及淡轩的名字,并谈及他的学术成就

이 양인의 이런 친밀한 관계 때문에,그리고 박지원의 높은 문학적 명성 때 문에,담헌은'연암학파'의 일원으로 기술되기도 하였다.학계에서는'연암학 파라는 용어 외에'연암일파'나'연암그룹'이라는 용어도 사용되고 있다.이 세 용어는,모두 박지원을 중심적 인물로 간주하면서 담헌을 그 일( rarr\rightarrow )구성원 으로 포함한다는 점에서는 어떤 차이도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문예적으로야 박지원을 중심에 두는 데 이의가 있을 수 없지만,사상 혹은 학문에 있어서까 지 박지원이 이들 일파의 중심 역할을 했을까?과연 그럴까?통념을 버리고 이 점을 공평무사한 태도로 곰곰이 따져 보지 않을 수 없다.
由于这两人之间如此亲密的关系,以及朴趾源在文学上的崇高声誉,淡轩有时也被描述为“延岩学派”的一员。在学界,除了“延岩学派”这一术语外,也使用“延岩一派”或“延岩集团”等称呼。这三种说法,都将朴趾源视为核心人物,并将淡轩纳入该派成员,基本上没有什么区别。从文学角度来看,将朴趾源置于中心地位无可厚非,但在思想或学问上,朴趾源真的在这些派别中起到了核心作用吗?真的如此吗?我们不得不抛弃成见,以公正无私的态度仔细思考这一点。

담헌이 박지원 • 이덕무 • 박제가 등과 남다른 인간적 결속을 보인 것은 방 금 지적한 대로다.또한 이들이 그 특유의 인간적 결속 속에서 문예적 혹은
正如刚才所指出的,淡轩与朴趾源、李德懋、朴齊家等人之间表现出了非同一般的人际纽带。此外,他们在这种独特的人际关系中,确实相互影响了文学艺术或
사상적 • 학술적 영향을 서로 주고받은 것은 사실이다.그렇기는 하나 이들을 하나의 학파로 묶기 위해서는,더군다나'북학파'라는 개념으로 묶기 위해서 는,그들 각인(各人)의 사상 내부에 기본적인 동질성이 자리하고 있어야 할 터 이다.박지원과 박제가 양인은 모두‘북학’을 명시적으로 말하고 있을 뿐만 아 니라 문명론적 전망 역시 대동소이하므로 이들을 북학파라는 하나의 사상유 파 내지 학파로 보는 데에는 무리가 없어 보인다.하지만 담헌은 비록 이들과 '동인'적 관계에 있었기는 하나 그 사상 자체는 이들과 퍽 이질적이다.게다가 이들처럼 명시적으로'북학을 입에 올린 적도 없었다.담헌을 북학파로 규정 하려면 적어도 담헌 사상 내부에서 북학론의 기본 전제나 그 실천론=사회경 제론에 대한 공유가 확인되어야 할 터이다.하지만 기존에 이에 대한 분석이 나 검토가 있었던 것 같지는 않다.이들이 친한 사이니까,그리고 뭔가 이들 사이에 일정한 사상적 연관이 없지 않은 것 같으니까,나이브하게 담헌도 북 학파라고 지목한 것이 아닌가 의심된다.담헌을 혹'북학파의 선구자'라고 한 것은 박지원과 박제가는 북학파가 분명하지만 담헌은 덜 분명한 것으로 여겨 져 그렇게 표현한 것일지도 모른다.
思想与学术方面。然而,要将他们归为一个学派,尤其是以“北学派”这一概念来归类,就必须在他们各自的思想内部存在基本的同质性。朴趾源和朴齊家两人不仅明确提出“北学”,而且他们的文明论视角也大同小异,因此将他们视为北学派的一个思想流派或学派似乎没有问题。但淡轩虽然与他们有“同人”关系,其思想本身却与他们相当不同。更何况,他从未像他们那样明确提出“北学”。若要将淡轩界定为北学派,至少应在淡轩的思想中确认北学论的基本前提或其实践论——社会经济论的共识。然而,似乎并无现有的分析或考察对此进行过研究。因为他们关系亲密,且似乎在某种程度上存在思想关联,才天真地将淡轩也归为北学派,这令人怀疑。将淡轩称为“北学派的先驱”,或许是因为朴趾源和朴齊家无疑是北学派成员,而淡轩则显得不那么明确,所以才有此说法

어떤 의심도 없이 담헌을 북학파로 여기다 보니 그의 만년의 저술『의산문 답」을 북학론을 정초(定礎하기 위해 집필된 책이라고 보는 관점까지 나오게 된 게 아닌가 생각된다.담헌의 사상이 정말'북학론'에 해당한다면 그렇게 보 면 될 일이다.문제는,담헌의 사상을 검토해 보면 북학론과 이질적이거나 대 립적이거나 정위(定位)를 달리하는 사상소(思想素)들이 적지 않다는 점,또한 거기에서 담헌 사상의 본래면목(本來面目)이라고 할 만한 것이 발견된다는 점 에 있다.다시 말해 담헌의 사상을 북학론으로 간주하고 접근해 들어가면 담 헌 사상의 본래적인 면,그 유니크한 면은 거개 사상(捨象)되어 버리게 된다는 난점이 발생한다.
毫无疑问地将淡軒视为北学派,以至于有人甚至认为他晚年的著作《义山文答》是为了奠定北学论基础而撰写的。如果淡軒的思想确实属于“北学论”,那么这样看也无可厚非。问题在于,审视淡軒的思想会发现其中存在不少与北学论异质、对立或定位不同的思想元素,而且在这些元素中还能发现淡軒思想的本来面目。换言之,如果将淡軒的思想视为北学论来加以研究,淡軒思想的本质面貌及其独特之处大多会被舍弃,这便是一个难题

그렇다면 왜 담헌을 무리하게 북학파로 간주해 온 것일까?여기에는 여러 사정이 관여하고 있다고 보이지만,그중 특히 간과해서는 안 될 중요한 하나 는 그간 한국학계가 기술과 생산력의 발전을 중시하는 관점에 알게 모르게 사로잡혀 있었다는 점이 아닐까 한다. 1 1 ^(1){ }^{1} 다시 말해'발전주의'와'근대주의'에
那么,为什么一直强行将潭轩视为北学派呢?这里涉及多种情况,但其中一个尤其不能忽视的重要原因,或许是迄今为止韩国学界在不知不觉中被重视技术和生产力发展的观点所束缚。 1 1 ^(1){ }^{1} 换句话说,是“发展主义”和“现代主义”的问题
대한 우리 학계의 인식론적 맹신과 관련이 있지 않은가 한다.북학파의 장 처(長處)만 보려고 하고 그 문제점은 통 음미하려고 하지 않는 태도 역시 이와 무관하지 않을 터이다.
这是否与我国学界的认识论盲目信仰有关呢。只想看到北学派的长处,而不愿细细品味其问题所在的态度,也与此不无关系

그러므로,담헌의 사상을 북학론에서 분리해내 정당하게 재음미하는 일은 이런 인식론적 맹신과 맞서는 일이기도 하고,생산력주의에 기초한 발전주의 와는 다른 문명론적 전망을 모색하는 일과도 연결된 일이라고 생각된다.이 런 생각을 밑에 한 채 주어진 논제에 접근해 보기로 한다.
因此,将淡轩的思想从北学论中分离出来,进行正当的再思考,既是对这种认识论上的盲目信仰的抗争,也是寻求不同于以生产力主义为基础的发展主义的文明论视角的工作。我打算带着这样的思考,着手探讨下面提出的论题

2.'북학'이라는 용어  2.“北学”这一术语

한국사상사에서'북학'이라는 말이 문제적 용어로서 전면에 등장한 것은 박 제가의 『북학의(北學䜅)」에 기인한다.박제가는 이 책에서 왜 조선이'북학'을 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자세히 밝혔다.박제가 스스로도 밝히고 있듯이, 2 2 ^(2){ }^{2} ‘북학’이라는 말은 원래 『맹자』『등문공』 상편의 다음 구절에서 유래한다.
在韩国思想史上,“北学”一词作为一个问题性术语首次全面出现,是源于朴齊家的《北学议》。朴齊家在这本书中具体而详细地阐述了为什么朝鲜必须进行“北学”。正如朴齊家自己所说, 2 2 ^(2){ }^{2} “北学”一词最初来源于《孟子·滕文公》上篇中的以下句子。
나(맹자를 이름-인용자)는 중화의 문화로 오랑캐를 변화시켰다는 말은 들었어 도 중화가 오랑캐 때문에 변화되었다는 말은 듣지 못했다.진량(陳良)은 초(楚)나라 출신이다.주공과 공자의 도를 좋아하여 중국에 북학(北學)하였다.북방의 배우는 자 중에 진량에 앞서는 자는 없었다. 3 3 ^(3){ }^{3}
我(指孟子——引述者)听说过用中华文化来教化夷狄,但没听说过中华因为夷狄而改变。陈良是楚国人,喜爱周公和孔子的道,曾到中国去“北学”。在北方求学的人中,没有人比陈良更出色。 3 3 ^(3){ }^{3}
여기서 ‘북학이라는 말은,‘북쪽에 가서 배운다는 뜻이다.‘북쪽이란 중국,
这里的“北学”一词,意为“到北方去学习”。“北方”指的是中国,
즉 중화를 가리킨다.당시 남쪽의 초나라는 미개한 오링캐로 간주되었다.맹 자는,초나라 출신의 진량이라는 인물이 북쪽인 중국으로 와 중국 문명을 배 운 것을 칭찬해 이런 말을 했다.인용문 중"중화의 문화로 오랑캐를 변화시 켰다"의 원문은"用夏變夷"이다.‘夏는 곧 ‘華’다.그러므로 맹자의 이 말에는, 중국을 우등시하고 오링캐를 야만시하는 중국 중심주의,즉 중화주의가 강하 게 담지되어 있다고 할 것이다.요컨대,'북학이라는 용어의 기저(基底)에는 중국인의 화이론적 시각과 가치판단이 자리하고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即指中化。当时南方的楚国被视为未开化的蛮夷。孟子称赞楚国出身的晋良来到北方的中国,学习中国文明,并说了这样的话。引文中“用夏变夷”的原文是“用夏变夷”。“夏”即“华”。因此,孟子的这句话中,强烈体现了以中国为优越、以蛮夷为野蛮的中国中心主义,即中化主义。总之,需要注意的是,“北学”这一术语的基础中,蕴含着中国人的华夷论视角和价值判断。

이렇게 본다면,'북학을 해야 한다는 데 대한 논의'쯤으로 번역됨직한 박제 가의'북학의'라는 책은 이미 그 책명부터가 화이론에의 포획을 보여준다고 할 것이다.실제 이 책은 그 전체를 통해 화이론적 시각이 관철되고 있으며, '중국/조선'은'우/열','미/추','깨끗함/더러움'의 관계로 파악된다.몇 개 의 예를 들어본다.
如果这样看,朴齐家的《北学》一书,其书名本身就显示出被华夷论所捕获的迹象,可以译为“关于必须进行北学的讨论”。实际上,这本书贯穿始终体现了华夷论的视角,“中国/朝鲜”被理解为“优/劣”、“美/丑”、“洁净/污秽”的关系。举几个例子。

(가)지금 솜씨가 좋은 장인을 시켜 모방하여 만들게 하되 한 자 한 치도 차이가 나지 않아 반드시 중국의 수레와 합치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cdots\cdots 중략 cdots\cdots
(甲)现在让技艺高超的工匠模仿制作,但一丝一毫都不能有差别,必须与中国的车完全一致。( cdots\cdots cdots\cdots
그들(산골에 사는 조선 인민-인용자)의 가난한 형편이 이 지경인 것은 대체 무슨 까닭인가?한 마디로 수레가 없기 때문이다. 4 4 ^(4){ }^{4}
他们(住在山谷的朝鲜人民——引者)贫困到这种地步,究竟是什么原因呢?一句话,没有车子。 4 4 ^(4){ }^{4}

(나)짐승을 다루는 방법이 궁해지자 나라가 마침내 부강하지 않게 되었다.그이 유는 다른 데 있지 않다.중국을 배우지 않은 탓이다. 5 5 ^(5){ }^{5}
(二)当处理牲畜的方法陷入困境时,国家最终变得不再富强。这一切的原因不在别处,而是因为没有学习中国。 5 5 ^(5){ }^{5}

(다)우리나라는 중국과 가갑게 접경하고 있고 글자의 소리가 중국의 그것과 대략 같다.그러므로 온 나라 사람이 본래 사용하는 말을 버린다고 해도 불가(不可)할 이 치는 없다.이렇게 본래 사용하는 말을 버린 다음에야 오랑캐라고 모욕적으로 불리 는 신세를 면할 수가 있다.그리고 수천 리 동국(東國)이 저절로 주(周)-한(漢)-
(三)我国与中国紧密接壤,文字的发音大致与中国相同。因此,即使全国人民放弃原本使用的语言,也并非不可。只有放弃原本使用的语言,才能摆脱被侮辱性地称为“夷狄”的命运。而且数千里的东国自然会成为周-汉-
당(唐)• 송(宋)의 풍기가 있는 나라가 될 것이다.이 어찌 크게 상쾌한 일이 아닌가? 6 6 ^(6){ }^{6}
将成为具有唐宋风气的国家。这难道不是一件非常令人振奋的事情吗? 6 6 ^(6){ }^{6}

(라)꽃에서 자란 벌레는 그 날개나 더듬이조차도 향기가 나지만 똥구덩이에서 자 란 벌레는 구물구물거리며 더러운 것이 많은 법이다.사물도 본래가 이러하거니와 사람이야 당연히 그러하다.빛나고 화려한 여건에서 나서 성장한 사람은 먼지 구덕 의 누추한 처지에서 헤어나지 못한 자들과는 반드시 다른 점이 있다. 7 7 ^(7){ }^{7}
(拉)从花朵中长大的虫子,即使是它的翅膀或触角也会散发香气,但从粪坑中长大的虫子则肮脏不堪,满是污秽。事物本来就是如此,人自然更是如此。在光明华丽的环境中出生成长的人,必然与那些无法摆脱尘埃污秽、处境卑微的人有所不同。 7 7 ^(7){ }^{7}

(가)에서 보듯,박제가는 중국은 수레를 사용하기 때문에 부유하고 조선은 수레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가난하다고 말하고 있다.그래서 조선이 가난 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수레 사용이 급선무라는 논지를 펴고 있다.이처럼 박 제가에게는 중국이 모든 면에 있어 조선의 전범이다.중국을 따라 배우기만 하면 조선의 문제는 다 해결된다고 보는 것이 그의 기본 관점이다.따라서 박 제가의 북학론은'중국 기술도입론'에 다름 아니다.
如(가)所示,朴齊家说中国因为使用车轮而富裕,朝鲜因为不使用车轮而贫穷。因此,他主张朝鲜要摆脱贫穷,首先必须使用车轮。对朴齊家来说,中国在各方面都是朝鲜的典范。他的基本观点是,只要效仿中国,朝鲜的问题就都能解决。因此,朴齊家的北学论无异于“引进中国技术论”。

(나)에서는,조선에서 목축이 시원찮고 그 결과 나라가 부강하게 되지 못한 원인이 중국을 배우지 않은 데 있다고 말하고 있다.조선의 문제를 중국을 배 우지 않은 탓으로 돌리는 것은(가)와 똑같다.
在(나)中,他说朝鲜畜牧业不振,导致国家无法富强,其原因在于没有学习中国。将朝鲜的问题归咎于未学习中国,与(가)中的观点完全相同。

(다)는 조선이 오랑캐 소리를 듣지 않고 중국 문명과 같아지기 위해서는 조 선어를 버리고 아예 중국어를 써야 한다는 주장이다.이를 통해 박제가가 품 었던 이상이 궁극적으로 조선을 중국과 동일화하는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점에서 북학의 이념적 기저는 중화주의이고,그 실천 원리는'중국 따라 배우기'임이 잘 드러난다.
(다)主张为了不被称为蛮夷,朝鲜应放弃朝鲜语,直接使用中文。由此可见,朴齊家所怀抱的理想最终是将朝鲜同化为中国。在这一点上,北学的意识形态基础是中华主义,其实践原则显然是“效仿中国”。

(라)는 중국의 골동서화를 찬미하면서 한 말인데,"꽃에서 자란 벌레""빛나 고 화려한 여건에서 성장한 사람"은 중국인을,"똥구덩이에서 자란 벌레""먼 지 구덕의 누추한 처지에서 헤어나지 못한 자들"은 조선인을 각각 암유暗喻)한다.사회진화론의 우승열패론(優勝少敗論)을 상도케 한다.박제가는 문명 의 우열에 과도하게 집착한 나머지'중국/조선'을'미/추'로 갈라 놓는 사고
(라)是在赞美中国古董书画时所说的话,“生于花中的虫子”“在光彩夺目的环境中成长的人”暗指中国人,“生于粪坑中的虫子”“无法摆脱偏远破败境地的人”暗指朝鲜人。此言隐喻社会进化论中的优胜劣败论。朴齊家过度执着于文明的优劣,将“中/朝”划分为“美/丑”的思维方式
법에 이르게 된 것으로 보인다.
似乎是达到了法律的层面。

당시 박제가는 ‘당벽(唐癖)’,즉 ‘중국에 대한 지나친 경도’가 있다는 평을 듣 고 있었는데,위의 예들을 통해,그가 왜 이런 평을 듣게 된 것인지 그 이유를 짐작할 수 있다.박제가의 북학론은,중국의 선진기술 도입을 통해 낙후된 조 선을 발전시키고 조선 인민을 가난함에서 벗어나게 하겠다는 절박한 심정에 서 제기되었다는 점에서 그 현실적 의의가 없지 않다.특히 그가 기기(器機)와 제도의'표준화'를 주창한 점8은 산업의 발전과 관련해 뛰어난 혜안(热眼)을 보인 것이라 평가할 만하다.그의 해외통상론 역시 자못 선구적인 주장이다. 이런 인정할 만한 점이 없는 것은 아니나,박제가의 북학론은 다음 몇 가지 점에서 간과할 수 없는 문제점 또한 내포하고 있다.
当时朴齊家被评价为“唐癖”,即“对中国过度倾斜”,通过上述例子,可以推测他为何会被如此评价。朴齊家的北学论,是出于通过引进中国先进技术来发展落后的朝鲜,使朝鲜人民摆脱贫困的迫切心情而提出的,因此具有一定的现实意义。特别是他主张器械和制度的“标准化”这一点,在产业发展方面展现了卓越的远见。他的海外通商论也颇具先锋性。虽然有这些值得肯定的地方,但朴齊家的北学论在以下几个方面也包含了不可忽视的问题。
첫째,단순화가 심하고 종종 일면적 사고에 머물고 있다는 점.조선의 어떤 문제를 언필칭 중국의 어떤 제도나 문물이나 풍속을 배우지 않은 탓으로 돌 리는 데서 이런 경향이 발견된다.이런 사고 경향은,문제를 다면적으로 파악 하거나 문제의 사회역사적 배경과 구조를 꿰뚫어 보는 것을 차단하게 만든 다.요컨대 박제가에게는 사회역사적 사고가 몹시 부족한 것으로 여겨진다.
第一,过于简化,且常常停留在片面思考上。这种倾向体现在他将朝鲜的某些问题一概归咎于未学习中国的某些制度、文物或风俗。这种思维方式阻碍了对问题的多面理解,也阻断了对问题社会历史背景和结构的洞察。总之,朴齊家显得极其缺乏社会历史的思考。
둘째,사회역사적 맥락에 대한 통찰의 결여는 기본적인 사회적 지배 관계 에 대한 인식의 결여로 이어진다는 점.박제가가'생산력'의 제고를 중시할 뿐 지주/전호(個戶)관계에 대해서는 어떤 고찰도 보여주지 않고 있음에서 이 점이 잘 확인된다.다시 말해 그는 기술도입을 통해 사회적 생산력을 향상시 킬 것만 생각했지 지주 • 부농/소농 • 빈농 간의 모순에 대해서는 사유하지 못했다.이 점에서 박제가의 북학론은 일종의'생산력주의'에 기초해 있다고 할 만하다.
第二,缺乏对社会历史脉络的洞察,导致对基本社会统治关系的认知缺失。这一点从朴齊家重视“生产力”的提升,却对地主/佃户(个户)关系毫无探讨可见一斑。换言之,他只考虑通过技术引进来提高社会生产力,却未曾思考地主•富农/小农•贫农之间的矛盾。在这方面,朴齊家的北学论可谓基于一种“生产力主义”

셋째,박제가의 생산력중시주의는 실제상 양반 지주층,부농(富農),관료 집 단,부상대고(富商大賈)의 이익을 대변하는 것으로 귀착되리라고 생각된다는 점.박제가는 해외통상을 적극 주장하여,"만약 외국과 선박을 통하여 통상한 다면 비단옷을 입고 죽지(竹紙)에다 글을 쓰는 정도는 넉넉하게 할 것이다"라
第三,朴齊家的重视生产力主义实际上被认为最终是代表了士大夫地主阶层、富农、官僚集团、富商大贾的利益。朴齊家积极主张海外通商,他说:“如果通过船只与外国进行通商,穿丝绸衣服、用竹纸写字的程度将会变得宽裕。”
고 했는데,여기서도 기층 농민에 대한 고려는 찾아보기 어렵다.요컨대 박제 가는 기술도입,유통 확대,해외통상을 거론하면서 그것이 조선에서 가난을 몰아내고 조선을 부강하게 만들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기는 하나,그것이 조 선의 인민,특히 기층 농민에게 어떤 결과를 초래할지에 대해서는 숙고하고 있지 않다.당대 조선의 지주/전호 관계라든가 국가의 수취(受取)제도,즉 국가에 의한 민(民)의 수탈 방식 등에 대한 어떤 고려도 없이,달리 말해 생산 관계에 대한 어떤 심중한 고려도 없이,북학을 통한 생산력의 향상만을 지 고(至高)지선(至善)의 가치로 내세우는 박제가의 주장은 말하자면 정치경제학 적 사고의 결여를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라 할 만하다.
但在这里也难以看到对基层农民的考虑。总之,朴齊家虽然提到技术引进、流通扩大、海外通商,并主张这些将驱除朝鲜的贫困,使朝鲜富强,但他并未深思这对朝鲜人民,特别是基层农民会带来什么结果。没有考虑当时朝鲜的地主/佃农关系,也没有考虑国家的征收制度,即国家对民众的剥削方式,换言之,没有对生产关系进行任何深入考虑,朴齊家将通过北学提升生产力视为至高至善的价值,这种主张可以说充分显示了其政治经济学思维的缺失。

넷째,박제가의 실용주의는 그러므로'가치지향성' 9 9 ^(9){ }^{9} 이 부족하고 다분히'상 인적 이익'만이 추구되는 경향이 강하다는 점.이 점에서 그가 그토록 내세웠 던 가난의 극복과 부의 성취는 다분히 맹목적이고,추상적이다.
第四,朴齊家的实用主义因此缺乏“价值指向性”,且明显带有强烈的“商人利益”追求倾向。在这点上,他极力主张的克服贫困和实现财富的目标显得盲目且抽象。

다섯째,중국이라는 타자에 대한 극도의 찬미가'자기비하'를 넣고 있다는 점.박제가의 중국 존모(拿窲)는 중국을 이상화,우상화하는 데 이르고 있다. 그에 반비례하여 ‘조선적 자기의식’,다시 말해 조선인으로서의 주체적 의식 은 극도로 위축되거나 소거되고 만다.이는 지적 균형감각의 부족을 보여주 는 것이라 할 만하다.
第五,对中国这一他者的极度赞美中包含了“自我贬低”。朴齊家对中国的尊崇达到了理想化、偶像化的程度。与此成反比的是“朝鲜式自我意识”,换言之,作为朝鲜人的主体意识极度萎缩甚至被抹杀。这可以说显示了其缺乏理性的平衡感
18세기 조선 사대부층은 청(清)을 오랑캐로 간주함으로써,중국은 이제 옛 날의 중국이 아니다,오랑캐로 화(化)한 중국에서 더 이상 배울 것은 없다며 중국을 야만시하고 깔보는 태도를 취하였다.박제가는 조선 사대부층의 이런 허위적 인식을 배격하고,현실주의적 자세로 청(清)의 선진 문물을 배워야 할 것을 주장했던바,적어도 이 점은 정당한 것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다만 원 려(遠虑)없이 단순화된 주장을 펼침으로써,당대 조선의 내부 모순을 투철히
18 世纪朝鲜士大夫阶层将清朝视为蛮夷,认为中国已不再是昔日的中国,在这个被蛮夷化的中国已无可学之处,因而采取了鄙视和轻视中国的态度。朴齊家反对朝鲜士大夫阶层这种虚假的认识,主张应以现实主义态度学习清朝的先进文化,这一点至少是合理的。只是由于缺乏长远考虑,提出了过于简单化的主张,未能深刻揭示当时朝鲜内部的矛盾
인식하기보다는,다시 말해'자기'에 대한 고통스런 내적 응시에 힘을 쏟기보 다는,그리하여 그런 내공(內ㄳㄳ)위에서 사회역사적 맥락을 십분 고려하며 나 라와 인민을 이롭게 하는 방책을 안팎으로 모색해 나가기보다는,손쉽게'중 국이라는 외부에서 만병통치약을 취하려 한 점이 문제였다고 할 것이다.박 제가가 18 세기 후반에 호명(呼名)해 낸 이'북학이라는 용어는 이후 조선 사상 계의 한 주요한 키워드가 되기에 이른다.하지만 앞에서 지적된 박제가의 북 학 담론에 내포된 문제점들이 극복되지 않는 한 북학 담론은 빛 좋은 개살구 가 되고 말 운명을 안고 있었다고 해야 하지 않을까.
与其说是认知,不如说是没有将精力投入到对“自我”的痛苦内省之中,因此也没有在这种内功基础上充分考虑社会历史背景,内外寻求有利于国家和人民的对策,而是轻易地试图从外部的“中国”那里寻找万能良药,这一点可以说是问题所在。朴齊家在 18 世纪后半叶提出的“北学”一词,后来成为朝鲜思想界的一个重要关键词。但正如前文所指出的,朴齊家的北学论述中所包含的问题若未能克服,北学论述注定只能成为华而不实的空谈

3.‘북학파’라는 용어  3.“北学派”这一术语

‘북학파라는 용어는 1930년 최남선이 처음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최남선 의 r r ^(r){ }^{\mathrm{r}} 조선역사강화(朝鮮原史催辞)」에 다음과 같은 말이 보인다.
“北学派”这一术语似乎是 1930 年崔南善首次使用的。在崔南善的《朝鲜原史催辞》中可以看到以下的话
자기에 대한 엄숙한 성찰(省察)이 진행(淮行)함을 따라서 조선의 결함(缺陷)과 및 그 교구(镉剩)의 책(策)을 생각하는 풍(風)이 일어나니,그중에 두드러진 것은 조선 을 구(求)하려 하면 먼저 경제적으로 손을 대야 할 것이요,그리함에는 외국인(外國人)의 실제(實際)생활상(生活上)장처(長處)를 배우고,특히 그 진보한 교통(交通) 무역(贸易)의 실제를 본뜨자 하던 일파(一派)니,우선 북(北)으로 지나(支那)에서부 터 배우자 한 점으로 이네의 주장을 북학론(北學掄)이라고 부른다.북학론자(北學論者)는 박지원(朴趾源,燕麖),홍대용(洪大容,湛軒),이덕무(李德㷊,雅亭),박제가(朴齊家,楚亭)등 당시에 있어서 식견과 문학으로 다 일대(一代)의 준모(俊篮)들이요, 또 지나(支刜)의 실지(實地)를 답험(踏驗)하여 우열(優劣)을 변증(辨嬁)한 것이므로, 불행(不幸)히 그 실현이 크지 못하였으나,일대(一代)의 인심을 자극한 효과(效果)가 적지 아니하였다.
随着对自身的严肃省察的进行,出现了一种思考朝鲜缺陷及其对策的风气,其中突出的是认为要拯救朝鲜,首先应从经济上着手,并且要学习外国人的实际生活长处,特别是模仿其先进的交通和贸易实际情况的派别,首先主张向北从中国学习,这一主张被称为北学论。北学论者有朴趾源(燕麖)、洪大容(湛軒)、李德懋(雅亭)、朴齐家(楚亭)等,他们在当时以见识和文学成为一代俊杰,并且实地考察中国,辨别优劣,虽然不幸的是其实现不大,但对一代人的人心激发效果不小。
북학표(北學派)의 대표적 의견은 박연암(朴燕麖)의 『열하일기(熱河日記)」와 박 초정(朴楚亭)의 「북학의(北學議)」에 실려 있다. 10 10 ^(10){ }^{10}
北学派的代表性观点载于朴燕麖的《热河日记》和朴楚亭的《北学议》中。 10 10 ^(10){ }^{10}
여기서 보듯 최남선은 박지원,담헌,이덕무,박제가 네 사람을'북학펴'로 꼽고 있으며,이들의 주장을'북학론'이라고 규정하고 있다.그리고 북학론을 보여주는 대표적 저술로서 『열하일기』와 『북학의』를 들고 있다.최남선의 이 주장 이래'북학파'와'북학론'이라는 말이 우리 학계에서 학술적인 용어로 통 용된 것으로 보인다.학자에 따라 북학파의 범위를 좀 더 넓게 잡기도 하는 등 그 외연에 대한 이해에서 다소 차이를 보이기도 했으나,박지원 • 담헌 • 박제 가를 북학파의 핵심적 인물로 파악함에는 오늘날까지도 아무 차이가 없다.
如上所见,崔南善将朴趾源、潭轩、李德懋、朴齐家四人列为“北学派”,并将他们的主张界定为“北学论”。他还将《热河日记》和《北学议》作为展示北学论的代表著作。自崔南善此一主张以来,“北学派”和“北学论”这两个词在我国学界作为学术术语被通用。虽然学者们对北学派的范围有时会有所扩展,对其外延的理解也存在一定差异,但将朴趾源、潭轩、朴齐家视为北学派的核心人物至今没有任何分歧
앞서 지적했듯'북학'이라는 용어에는 화이론적 시각,중국중심적 시각이 강고하게 담겨 있다.이 점에서'북학파'라는 용어가 학술적으로 타당한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될 수도 있다.그렇기는 하나 어쨌건 박제가가'북학'을 주창 했고 박지원이 그에 공조하는 태도를 취한 것은 분명한 만큼 이 두 사람을 묶 어서'북학파'로 이해하는 것은 별 문제가 없어 보인다.문제는 담헌을 그 울 타리 속에 넣을 수 있을까 하는 점이다.담헌은 비록 중국 여행기인 『연기(燕記)\&에서 중국의 문물이 보여주는 심법(心法)의 정밀함에 대해,그리고 그 제 도와 규모의 엄밀함과 갖추어짐에 대해 눈여겨보거나 찬탄하는 기술을 하고 있기는 하나, 11 11 ^(11){ }^{11} 그렇다고 해서 박제가나 박지원처럼'북학이라는 말을 쓰거 나 북학을 제론(提致)하고 있지는 않다.담헌은 시종 학자적 태도로 냉정하고 도 균형 잡힌 태도로 중국의 문물을 관찰하면서,그 취할 만한 점을 자세히 적시(摘示)하기도 하고,우리 것과 그 장단점을 비교하기도 하고,그 문제점을
如前所指出,“北学”这一用语中强烈包含了华夷论视角和以中国为中心的视角。从这一点来看,“北学派”这一用语在学术上是否合理,可能会引发质疑。尽管如此,既然朴齊家提出了“北学”,朴趾源也采取了配合的态度,将这两人归为“北学派”似乎并无大碍。问题在于是否可以将淡轩纳入这一范畴。淡轩虽然在其中国游记《燕记》中,详细描写并赞叹了中国文物所体现的心法的精密,以及其制度和规模的严密与完善, 11 11 ^(11){ }^{11} 但他并未像朴齊家或朴趾源那样使用“北学”一词或提出北学理论。淡轩始终以学者的态度冷静且均衡地观察中国文物,既详细指出其值得借鉴之处,也比较了与我方的优劣,且讨论了其问题所在。
거론하기도 한다.몇 개의 예를 들어 본다.
举几个例子说明。

(가)(市㹉는-인용자)북경에서는 정양문(正陽門)밖이 가장 번성하며,봉성(鳳城)같은 곳은 변두리 문으로 황벽(荒僻)한 곳이어서 물건들도 보잘것없지만 그래도 시장문만은 단청(丹青)을 해 두었고,심양(添陽)에 오니 모두 채색을 하였다.북경 같 은 데는 창문이나 가게문을 다 아로새겨 금은빛이 찬란하고,간판과 문패들은 서로 다퉈 신기하게 만들었으며 의자와 탁자,장막과 주렴 등을 극히 화사하게 만들었다. 대개 이렇게 하지 않으면 매매가 잘 안 되며 물건들도 잘 모여들지 않는 모양이다. 점포를 차릴 경우 바같 설비만도 수천 수만 금이 넘게 드는 모양이다.
(甲)(市㹉——引者注)在北京,正阳门外最为繁华,凤城等地则是边陲之门,荒僻之地,货物也不多,但市场门却都绘有丹青,到了沈阳则全部彩绘一新。像北京这样的地方,窗户和店门都雕刻得金碧辉煌,招牌和门牌争相制作得新奇别致,椅子、桌子、帐幕和珠帘等都极为华丽。大体上如果不这样做,买卖就难以兴隆,货物也难以聚集。开店铺时,外部装修就要花费数千数万金。

대개 번화한 길목이나 입구에는 주루(酒樓)들이 많이 차려져 서로 길을 끼고 마주 바라보고 있다.모두 처마 밖으로 난간이 나오도록 꾸몄는데 매우 화려하였다.하지 만 비를 맞고 바람을 받게 되어 있어 한 번 여름 장마를 치르고 나면 새로 만들어야 하게 되어 있다.아무리 재력이 넉넉하다 하더라도 당장을 줄기기 위해 막대한 비용 을 아끼지 않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12 12 ^(12){ }^{12}
一般在繁华的街口或入口处,酒楼林立,彼此相邻相望。都装饰有伸出屋檐外的栏杆,非常华丽。但因要经受雨淋风吹,一旦经历一场夏季长雨后,就得重新修建。无论财力多么充裕,为了眼前利益而不惜巨额开支,这种行为是难以理解的。 12 12 ^(12){ }^{12}

(나)북경의 모든 시장에,이따금 종이로써 거마車馬)나 사람 같은 것을 만들어 아이들의 장난감으로 팔고 있는데,이것은 다손을 대기만 하면 부서져 버린다.한푼 어치도 안 될 것 같은데 그래도 가게에서 팔리니 이는 일반 풍속이 허영과 사치를 숭 상해서다. 13 13 ^(13){ }^{13}
(나)在北京的所有市场上,偶尔会用纸做成车马或人等形状,作为孩子们的玩具出售,这些东西只要一碰就会破碎。看起来一文不值,但仍然能在店里卖出去,这是因为一般风俗崇尚虚荣和奢侈。 13 13 ^(13){ }^{13}

(다)관문(關門)밖에는 혹 홁집이 있는데,위는 평평하게 벽처럼 발라 두었고 빛 깔은 석회처럼 희다.토질이 차지고 여물어 잘 갈라지지도 않고 물이 잘 새지도 않으 니 가운데를 약간만 높게 하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을 텐데,그대로 평평하게 발라 두고 암기와마저 얹지를 않아 비가 조금만 와도 방바닥이 마른 데가 없게 되니 그까 닭을 알지 못하겠다. 14 14 ^(14){ }^{14}
(다)关门外面有些茅屋,屋顶平整得像墙一样涂抹着,颜色像石灰一样白。土质坚硬且成熟,不易开裂,也不容易漏水,只要中间稍微高一点就能防止漏水,但他们却平铺着,也没有盖瓦片,只要下点雨,屋内地板就没有干的地方,真是让人不解。 14 14 ^(14){ }^{14}
(라)가마와 솥과 질독들은 우리나라 것과 같다.다만 다른 것은 독은 모양이 아래 가 좁아서 조금만 건드려도 넘어지고 만다.그리고 곡식을 되는 말은 크기가 우리나 라 것의 배가 되는데,이것은 또 위의 주둥이 부분 넓이가 바닥의 배가 되어 곡식을 되는 데 속이기가 쉽다.이 두 가지 그릇들이 잘못 만들어진 것에 대해서는 그 까닭 을 이해할 수 없다. 15 15 ^(15){ }^{15}
(라)瓮、锅和缸与我们国家的相同。不同的是,缸的形状底部较窄,稍微碰一下就会倒。而盛粮食的瓮大小是我们国家的两倍,且瓮口的宽度是底部的两倍,容易在盛粮食时被欺骗。这两种器皿制作不当的原因令人无法理解。 15 15 ^(15){ }^{15}

(마)가정 집에서는 깨끗한 변소를 보기가 어렵다.변기는 자기(瓷器)로 만들었는 데 감추어 두고 다른 사람은 쓰지 못하게 한다.남자 변기는 주둥이가 길고 여자 변 기는 주둥이가 평평하여 사용하기 편하게 되어 있다.그러나 다만 그런 제도를 빙자 하여 모양을 그렇게 만든 것은(남녀의 성기처럼 만든 것을 이름-인용자)유치한 일 이다. 16 16 ^(16){ }^{16}
(마)家庭中很难见到干净的厕所。厕所用瓷器制成,但被隐藏起来,不让别人使用。男厕的口较长,女厕的口较平,使用起来方便。但仅仅借用这种制度,将形状做成那样(像男女生殖器的形状——引者注)是幼稚的行为。 16 16 ^(16){ }^{16}

(바)양각등(羊角燈)은 쇠판과 쇠기둥은 같은데 둥근 통이 유리처럼 환하다.대개 뿔을 고아서 아교를 만드는 모양인데,그 방법은 듣지 못하였다.정월 보름밤에 다는 등은 화초와 새 • 짐승의 그림을 그 위에다 그리고 채색융단으로 술流蘇을 다는데 매우 화려하고 사치스러웠다. 17 17 ^(17){ }^{17}
(바)羊角灯的铁板和铁柱是一样的,但圆筒部分像玻璃一样透明。大多是用角磨制成胶的样子,但具体方法未曾听说。正月十五夜挂的灯笼上画有花草和鸟兽的图案,并用彩色绒毯装饰流苏,非常华丽奢侈。 17 17 ^(17){ }^{17}
이들 예는 대체로 중국의 문물에 의문을 표시하거나 그 결함을 지적한 것 이다.혹은 중국의 문물이 사치와 낭비로 흐르고 있다고 보아 은근히 부정적 인 시각을 드러낸 곳도 있다.박제가의 『북학의』에서는 일체 발견할 수 없는 면모다.박제가는 골동서화(骨董書畵)를 파는 북경 유리창(琉㻦廠)의 휘황찬란 함에 찬탄해 마지않았다. 18 18 ^(18){ }^{18} 하지만 담헌은 그곳에 잔뜩 쌓인 온갖 기기묘묘 한 물화(物貨)들을 보고는 백성들의 살림살이에 도움이 되는 것은 하나도 없 다고 말하고 있다.그 대목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这些例子大多是对中国的文物表示怀疑或指出其缺陷。有时也认为中国的文物流于奢侈和浪费,隐约流露出否定的观点。这是朴齊家的《北学议》中完全找不到的面貌。朴齊家对北京琉璃厂出售的古董书画的辉煌灿烂赞叹不已。 18 18 ^(18){ }^{18} 但淡轩看到那里堆积如山的各种奇巧物品后,却说对百姓的生活毫无帮助。相关内容如下:
이 길을 끼고 좌우로 있는 점포만도 수천 수백에 달하고 그 물건 만드는 데 소요 된 비용도 몇 만의 거액인지 알 수 없는데,기실 일반 백성들의 양생(登生)송사(㳂死)에 꼭 없어서는 안 될 것은 하나도 없었다.그저 모두가 이상한 재주에 음탕하고 사치스런 물건들로 사람의 뜻을 해치는 것뿐이다.이상한 물건들이 날로 불어나며 선비들의 기풍이 점점 흐려져 가니,중국이 발전 못하는 것도 다 그런 이유 때문인 것 같다.슬픈 일이다. 19 19 ^(19){ }^{19}
沿着这条路左右两边的店铺多达数千数百家,制作这些物品所花费的费用也难以估计,动辄数万巨款,但实际上对普通百姓的生老病死没有一样是必不可少的。全都是奇怪的技艺和淫靡奢侈的物品,败坏人的心志。奇怪的物品日益增多,士人的风气逐渐败坏,中国不能发展也许就是这个原因。真是令人悲哀。 19 19 ^(19){ }^{19}
인민적 입장에 서서 사치를 배격하고 절검을 숭상하는 담헌의 이런 면모는『임하경륜』이나 『의산문답』의 그것과 통한다.『연기』에는 이외에도 사치를 비판하고 절검을 높이는 내용이 여러 군데에 보인다.
淡轩从人民立场出发,反对奢侈,崇尚节俭的这种面貌,与《林下经纶》或《义山问答》中的观点相通。《烟记》中也多处批判奢侈,推崇节俭
흥미롭게도 박제가는 유리창의 성대한 물화(物货)에 대한 혹자의 다음과 같 은 비판,즉"부유하다고 할 수는 있겠다.그러나 백성들에게 아무 이익을 주 지 못한다.그러니 그 물건을 전부 불에 태운다 한들 무슨 상관이 있겠는 가" 20 20 ^(20){ }^{20} 라는 비판에 대해 그것이 몰취미(沒趣味)하다는 점을 들어 반비판하고 있 다.'혹자'가 설혹 담헌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라 할지라도,적어도 담헌과 박 제가 사이의 입장의 대치선(對峙線)이 이에서 명확히 확인된다 할 것이다.
有趣的是,朴齊家针对有人对玻璃窗这一盛大物货的批评,即“虽可说富裕,但对百姓毫无益处。即使将这些物品全部焚烧,又有什么关系呢” 20 20 ^(20){ }^{20} ,以其缺乏趣味为由进行了反驳。即使“有人”并非指淡軒,至少可以明确确认淡軒与朴齊家之间立场的对峙线。
문제는 담헌에게서 사치의 배격과 절검의 숭상이 그의 문명론적 전망 및 사회발전 구상과 깊이 맞물려 있으며,그래서 본질적인 사안이라는 점이다. 바로 이 문명론적 전망에 있어,그리고 사회발전의 구상에 있어 담헌과 박지 원 • 박제가 양자 간에는 심중한 차이가 있으며,이 때문에 이들이 그린 사회, 이들이 꿈꾼 세계가 자못 달라졌다고 생각된다.
问题在于,淡軒对奢侈的排斥和节俭的崇尚与他的文明论视角及社会发展构想深度交织,因此这是一个本质性的问题。正是在这一文明论视角和社会发展构想上,淡軒与朴지원、朴齊家之间存在着深刻差异,因此他们描绘的社会、他们梦想的世界显得截然不同。
위에서 든 예를 통해 알 수 있듯,담헌이 청의 문물을 읽는 태도는 단순히 '북학'의 관점이 아니다.적어도,흔히 북학이라고 말하거나,북학에서 기대하 는 것과는 다른 모종의 태도가 작동하고 있다.중국 문물에 대한 선망과 찬탄 일변도가 아니라,혹은 중국 문물을 도입해야 한다는 어떤 강박감 같은 것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비판적으로 취장사단(取長捨短)하고 있음에서 그 점이
如上例所示,淡軒阅读清朝文物的态度并非单纯的“北学”视角。至少,他所表现出的态度与通常所说的北学或北学所期待的有所不同。不是对中国文物的单一羡慕和赞叹,也不是表现出必须引进中国文物的某种强迫感,而是在批判性地取长补短中,这一点表现得非常明显。
잘 드러난다.요컨대 청의 문물을 대함에 있어 담헌은 박제가-박지원과 그 시좌나 입장이 퍽 다르다.그러므로 청의 문물에 대한 태도 하나만 갖고 말하 더라도,만일 담헌을 북학파에 포함시킬 경우 그의 문제의식이나 사상의 본 질을 정당하게 포착하기는커녕 심하게 왜곡할 공산이 크다.
总之,面对清朝文物,淡軒与朴齊家——朴지원及其视角或立场大不相同。因此,即使仅凭对清朝文物的态度来论断,若将淡軒归入北学派,不仅难以正当地把握其问题意识和思想本质,反而极易严重扭曲
한편,종래 학계에서는 담헌,박지원,박제가,이덕무 등을 묶는 용어로'연 암일파','연암그룹','연암학파' 21 등의 용어를 사용해 왔다.특히 한문학(漢文學)연구자들이 이런 용어를 많이 써 온 것으로 보인다.실제로 담헌 • 박지 원 • 박제가 등은 서로 친밀하게 교유하며 문학과 사상 방면에서 영향을 주고 받았으므로 하나의 인맥으로 묶어서 이해해도 아무 문제가 없다고 생각된다. 문제는 이들 용어 모두가 연암 박지원이'중심'이라는 생각을 그 저변에 깔고 있다는 점이다.과연 박지원이 중심일까.이는 혹 박지원이 그 문학적 명성 때문에 실제 이상으로 과대평가된 데 기인하는 것은 아닐까.만일 문예창작 의 면만 갖고 본다면 박지원을 중심에 두는 데 이론(異論)이 있기 어렵다.하 지만 학문 내지 사상의 측면에서 본다면 사정이 달라진다.박지원은 결코 담 헌과 동렬에서 논의되기 어렵다.학문 내지 사상을 기준으로 생각한다면 담헌 이 이들 그룹의 중심인 것이다.이런 점을 고려한다면'연암일파'나'연암그룹' 이라는 용어는 문학사 연구에서는 적절할 수 있어도 사상사 연구에서는 그리 적절하지 않다.또한 이 그룹이 학문적으로 내적 통일성을 담보하고 있는 것 도 아닌데다 연암이 이 그룹의 학문적 리더도 아니었다는 점에서 ‘연암학파’라 는 용어 역시 그리 적절하지 못하다.따라서 필자는 그것을 대체하는 용어로 ‘담연(湛燕)그룹’이나 ‘담연일파’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22 이 용어
另一方面,传统学界一直使用“延岩一派”、“延岩集团”、“延岩学派”等术语来指代潭轩、朴趾源、朴齊家、李德懋等人。特别是汉文学研究者似乎较多使用这些术语。实际上,潭轩、朴趾源、朴齊家等人彼此亲密交往,在文学和思想方面相互影响,因此将他们作为一个人脉群体来理解也没有问题。问题在于,这些术语都以延岩朴趾源为“中心”的观念为基础。那么,朴趾源真的是中心吗?这是否可能是因为朴趾源的文学声誉而被过度高估了呢?如果仅从文学创作方面来看,将朴趾源置于中心几乎无可争议。但从学问或思想的角度来看,情况则不同。朴趾源绝不可能与潭轩处于同一水平线上讨论。如果以学问或思想为标准,潭轩才是该群体的中心。考虑到这一点,“延岩一派”或“延岩集团”这样的术语在文学史研究中或许合适,但在思想史研究中则不太合适。此外,该群体在学问上并不具备内在统一性,且延岩也不是该群体的学术领袖,因此“延岩学派”这一术语也不太恰当。因此,笔者建议使用“潭燕集团”或“潭燕一派”作为替代术语。该术语..
는 담헌과 연암을 병칭함으로써 학술과 문예를 아우르는 미덕이 있다.
通过将담헌和연암并称,体现了涵盖学术与文艺的美德

4.‘북학사상’이라는 용어  4.“北学思想”这一用语

현재 학계에서는'북학사상'이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23 23 ^(23){ }^{23} 하지만 '북학'뒤에'사상'이라는 말을 붙이는 것이 과연 합당한지는 따져볼 필요가 있다.'북학사상은'북학을 하자는 사상을 뜻하는 말이든가,'북학과 관련된
目前学界广泛使用“北学思想”这一术语。 23 23 ^(23){ }^{23} 但是,在“北学”后面加上“思想”一词是否合适,仍需加以考量。“北学思想”是指主张进行北学的思想,还是指与北学相关的思想,尚需明确
로는 느슨한 유대가 인정될 뿐이다.따라서 담연그룹이나 담연일파라는 용어는 하나의 사상유파나 학문유파를 뜻하는 말은 아니다.적어도 하나의 사상유파나 학문유파이기 위 해서는 학문행위나 사상행위의 코어(core)안에 기본적으로 동질적인 전제와 인식이 있 지 않으면 안 된다.담헌과 연암은 친분이 두터웠으므로 둘 사이에는 공유된 사상의 요소 나 학지(學知)도 적지 않다.이를테면 낙론적 사고라든가,음양오행의 부정이라든가,이 기철학의 사변적 행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라든가,실용과 실사(實事)에 대한 지향이 라든가,자연과학적 지식의 공유 같은 것이 그러하다.필자가 보기에 이들 중 대부분은 담 헌과 연암이 서로 합작해서 안출(案出)한 것이거나 연암의 사유가 담헌에게로 간 것이라 기보다,담헌의 사유나 공부가 연암에게로 간 것으로 판단된다.다시 말해 담헌의 영향이 크다고 생각된다.이런 점을 고려한다면 담헌을 그 안에 포함시키고 있는'연암학파'라는 용어는 정당하지도 적절하지도 못하다.더군다나 연암은,엄격한 의미에서,문인이요 경 세가이지'학자'나'사상가'는 아니다.그와 달리 담헌은 문인이라기보다'학자'이자'사상 가다.연암을 학자나 사상가로 보아온 기존의 관점에는 거품이 끼어 있다고 판단된다. '연암학파'라는 용어의 기저에는 이처럼 연암에 대한 과도한 평가가 자리하고 있다.이는 아마도 문학가로서 연암의 높은 명성에 좌우된 탓이 아닌가 한다.
只能承认是松散的联系。因此,“潭淵集团”或“潭淵一派”这一用语并不意味着一个思想流派或学术流派。至少要成为一个思想流派或学术流派,学术行为或思想行为的核心(core)中必须基本具有同质的前提和认识。潭献和延岩交情深厚,因此两者之间也有不少共享的思想元素或学识。比如乐论式思考、阴阳五行的否定、对理气哲学的思辨态度的否定、对实用和实事的指向、自然科学知识的共享等。在笔者看来,这些大多数不是潭献与延岩合力创作的成果,也不是延岩的思考传入潭献,而是潭献的思考或学问传入了延岩。换言之,潭献的影响较大。考虑到这一点,将潭献包含其中的“延岩学派”这一用语既不合理也不恰当。更何况,延岩严格意义上是文人和经世家,而非“学者”或“思想家”。与之相反,潭献与其说是文人,不如说是“学者”兼“思想家”。将延岩视为学者或思想家的既有观点中存在泡沫。“延岩学派”这一用语的根基正是对延岩的过度评价。这大概是受其作为文学家的高名声所左右的结果。

그런데 문제는 담헌과 연암이 상기(上記)한 공유점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학문행 위 내지 사상행위의 근간과 기저를 이루는 인식과 방법이 동질적이기는커녕 너무도 다르 다는 사실이다.이런 점을 감안하면 두사람을 하나의 학파로 묶어 이해하기는 어렵다.만 일 억지로 하나의 학파,하나의 사상유파로 묶는다면 두 사람의 사상 모두를 왜곡할 위험 이 커진다.따라서 현명한 일이 못된다고 판단된다.그래서 이들을 담연그룹이나 담연일 파로 명명하면서 한편으로는'함께'다른 한편으로는'따로'파악하는 태도가 요청된다.
然而问题在于,尽管潭献与延岩具有上述共享点,但构成其学术行为或思想行为根基的认识和方法不仅不相同,反而截然不同。考虑到这一点,很难将两人归为一个学派。如果勉强将两人归为一个学派、一个思想流派,则极易扭曲两人的思想。因此判断这并非明智之举。因此,称之为潭淵集团或潭淵一派时,一方面要“共同”理解,另一方面又要“分别”把握的态度是必要的。

23 이 용어가 들어간 논저 제목을 몇 개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유봉학,'북학사상의 형성과 그 성격-담헌 홍대용과 연암 박지원을 중심으로」, r r ^(r){ }^{r} 한국사론」 8, 서울대학교,1982;유봉 학,「연암일파 북학사상 연구」,일지사,1995;김인규,「북학사상의 철학적 기반과 근대적 성격 1 1 _(1){ }_{1}, 다운샘, 2000 ;김문용,「홍대용의 실학과 18세기 북학사상」,예문서원, 2005.
举几个包含该用语的论文标题作为例子如下。柳峰学,《北学思想的形成及其性质——以潭献洪大容和延岩朴趾源为中心》,《韩国史论》8,首尔大学,1982;柳峰学,《延岩一派北学思想研究》,日知社,1995;金仁圭,《北学思想的哲学基础与现代性》,Downsam,2000;金文容,《洪大容的实学与 18 世纪北学思想》,艺文书院,2005。
제반 사상'을 가리켜 하는 말이든가,'북학에 내포된 사상을 지칭하는 말이든 가 할 터인데,그 어느 쪽이든 간에'사상이라는 말을 쓰는 건 좀 부적절하지 않나 생각된다.적어도 학문적인 견지에서 하나의'사상이라고 하려면'사상' 이라는 말에 값하는 뭔가가 있지 않으면 안 된다.이를테면 독창적 사유구조 라든가,포괄적인 논리체계라든가,견고한 이념적 연관 같은 것이 필요할 터 이다.박제가나 박지원이 주장한 북학에서 과연 이런 점이 인정될 수 있을까? 필자는 회의적이다.'사상이라는 말은 역시 그에 합당한 내용과 실질을 갖는 대상에 한정해 사용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
无论是指“诸般思想”,还是指“北学中所包含的思想”,无论是哪一方面,我都觉得使用“思想”这个词有些不太合适。至少从学术的角度来看,要称之为一种“思想”,必须具备与“思想”一词相称的某种内容。比如说,必须有独创性的思维结构、包容性的逻辑体系,或者坚实的理念关联等。朴齊家或朴趾源所主张的北学中,真的能承认有这些方面吗?我持怀疑态度。我认为“思想”这个词还是应该限定用于具有相应内容和实质的对象比较好。

한편,유봉학 교수는'북학론과'북학사상의 개념을 구분하여,
另一方面,柳奉学教授区分了“北学论”和“北学思想”的概念,

'북학사상은'북학을 하였던 사람들의 학문내용과 현실인식-지향성 등 사상 전 반을 가리키는 것으로 여기에는'북학을 하자는 주장'북학론'으로부터'북학'을 통해 이룩한 학문내용의 변화와 현실인식의 변화 등이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게 된다.
“北学思想”是指那些从事北学的人们的学术内容和现实认知——指向性等思想的整体,其中包括“主张进行北学的‘北学论’”,以及通过“北学”所实现的学术内容的变化和现实认知的变化等,这些都成为重要部分。

그러므로'연암일파'의'북학사상을 청(清)의 문물과 학술을 배운다고 하는'북학 론'만으로 한정해 보아서는 안 된다.'북학론'은'연암일파'사상의 한 전환 계기를 지 칭할 뿐 그들 사상의 내용은 그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었던 것이다. 24 24 ^(24){ }^{24}
因此,不应仅以“延岩一派”的“北学思想”为“学习清朝文物和学术的‘北学论’”来限定。“北学论”只是指“延岩一派”思想的一个转折契机,他们思想的内容并不局限于此。 24 24 ^(24){ }^{24}
라고 하였다.그리하여 북학사상에는,단지 북학론만이 아니라,북학론을 제 기하게 된 전제조건으로서 연암일파의 새로운 현실인식과 그를 뒷받침하는 새로운 철학적 입장 • 학문관 • 문학론 및 세계관의 추이,정치의식과 경세론 등이 포함된다는 입장을 취하였다. 25 25 ^(25){ }^{25}
他说。因此,北学思想不仅仅包括北学论,还包括作为提出北学论的前提条件,延岩一派对新现实的认识及其支撑的新哲学立场、学问观、文学论和世界观的演变,政治意识和经世论等内容。

유봉학 교수는 북학론의 사상적 • 학문적 배경을 중시하여 그것을 본격적 으로 검토하기 위한 요청에서 북학론보다 더 넓은 범주로서'북학사상을 상정 하고 있긴 하나,문제는 이렇게 규정된'북학사상'속에 북학 내지 북학론과 아 무 관계도 없는 사상적 • 학문적 부면들이 쏟아져 들어오게 된다는 점이다.따 라서 그것은 엄정히 말해 북학사상,즉'북학의 사상이 아닌 것이 되고 만다.
柳奉学教授重视北学论的思想和学术背景,并基于对其进行深入考察的需求,设定了比北学论更广泛的“北学思想”范畴,但问题在于,这样定义的“北学思想”中会涌入与北学或北学论毫无关系的思想和学术方面内容。因此,严格来说,这就不再是北学思想,即“北学的思想”。
서상(除上)의 점들을 두루 고려할 때'북학사상'이라는 용어는 그 적절성이 의심스럽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그보다는 최남선이 처음 사용한'북학론'이 라는 용어가,비록'북학이라는 단어가 갖는 문제점에도 불구하고,북학에 대 한 논의나 담론 일반을 가리키는 말로는 낫지 않나 생각된다.
综合考虑上述各点,不得不怀疑“北学思想”这一用语的适当性。相比之下,最南善最早使用的“北学论”一词,尽管“北学”一词本身存在问题,但作为指代关于北学的讨论或论述的通称,似乎更为合适。

5.북학론 형성 과정에서 홍대용의 역할
5.北学论形成过程中洪大容的角色

종래 담헌은 북학론자의 한 사람으로 거론되어 왔으나,여기에는 오해가 없지 않다.담헌은 박제가나 박지원처럼 적극적으로 북학론을 제기한 적이 없다.현재 그의 저서로 전하는 『연기(勤記』,「임하경륜』,「의산문답」그 어 디에도 북학에 대한 언급은 없다.그렇다면 담헌은 왜 북학론자로 오해된 것 일까?
历来谈宪被视为北学派论者之一,但这里面不无误解。谈宪不像朴齊家或朴趾源那样积极提出北学论。目前传世的他的著作《勤记》、《临河经纶》、《义山问答》中,都没有提及北学。那么,谈宪为何会被误认为是北学论者呢?

여기에는 두 가지 사정이 관련되어 있다.하나는,그가 처음으로 청 왕조와 중원(中原)의 문물을 분리해 파악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논리를 명확히 정 초(定碳했다는 점이고, 26 26 ^(26){ }^{26} 다른 하나는 그가 청을 중국으로 인정하는 현실주 의적 자세를 취했다는 점이다.기왕의 숭명배청론,대명의리론과 확연히 구 별되는 담헌의 이런 면모는,다소의 내적 편차는 없지 않지만,크게 보아 북
这里涉及两个方面的原因。一是他首次明确提出必须将清王朝与中原的文物分开来看;另一点是他采取了承认清为中国的现实主义态度。谈宪这种与以往崇明排清论、大明义理论明显不同的面貌,虽有一定的内在差异,但总体上与北学论的基础逻辑或背景思维轨迹是一致的。
학론의 기저적 논리 내지 배경적 사고와 궤(軌)를 같이한다.요컨대 담헌은 비 록 그 스스로 북학을 제기하거나 북학론 쪽으로 나아간 것은 아니나,북학론 의 형성에 있어 논리와 시각상에서 큰 영향을 미쳤다고 말할 수 있다.이와 관련해 담헌의 다음 말이 주목된다.
总之,谈宪虽然本人并未提出北学论或走向北学论,但可以说他在北学论形成的逻辑和视角上产生了重大影响。与此相关,谈宪的以下言论值得关注。
지금의 중국이 옛날의 중국이 아니고 그 사람들이 입고 있는 옷이 저 옛날 중국의 선왕(先王)들이 만든 옷이 아니라는 걸 난들 왜 모르겠습니까?그렇기는 하나 그들 이 살고 있는 땅이 어찌 요(棠),순(舜),유(禹),텅(湯),문(文)• 무(武),주공(周公),공 자가 밟던 땅이 아니겠습니까?또 그들이 사퀴는 선비가 어찌 제(齊),노(魯),연(燕),
“如今的中国已非昔日的中国,那些人所穿的衣服也不是古代中国先王所制的衣服,我怎会不知?虽如此,他们所居之地,难道不是尧、舜、禹、汤、文、武、周公、孔子曾踏足之地吗?他们所居住的先贤难道不是齐、鲁、燕……”

아니겠습니까?그리고 그들이 읽는 책이 어찌 삼대(三代)이래 사해 만국에서 나온 온갖서적이 아니겠습니까? 27 27 ^(27){ }^{27}
不是吗?而且他们所读的书,难道不是自三代以来从四海万国传来的各种书籍吗? 27 27 ^(27){ }^{27}
박지원이 쓴 「회우록서(會友錄序)」라는 글의 한 대목인데,담헌의 말을 박지 원이 듣고 기록한 것이다. r r ^(r){ }^{\mathrm{r}} 회우록서,는 담헌이 엮은 책인 r r ^(r){ }^{\mathrm{r}} 회우록」에 써 준 서문이다.담헌은 1765 년 겨울에 중국을 방문하고 익년 귀국했는데,『회우 록』은 그가 북경에 체류할 때 사귄 중국인들과 주고받은 필담과 편지를 귀국 직후 정리해 엮은 것이다.일명'간정동 회우록(蔬深術會友錄)'이라고도 하고,'간 정동 필담(就深術篗談)'이라고도 한다.박지원은 이 책을 읽은 소감 및 담헌과 주고받은 대화를 토대로 이 서문을 썼다.그 쓴 시기는 1766 년으로 추정된다.
这是朴지원所写的《会友录序》中的一段话,是담헌的话被朴지원听到后记录下来的。 r r ^(r){ }^{\mathrm{r}} 《会友录序》是담헌为他所辑的书《会友录》所写的序文。담헌于 1765 年冬天访问中国,次年回国,《会友录》是他在北京逗留期间与中国人交往时所交换的笔谈和信件,回国后整理编纂而成。该书又名“蔬深术会友录”,也称“蔬深术笔谈”。朴지원基于阅读此书的感想及与담헌的对话写下了这篇序文,推测写作时间为 1766 年。
상기 인용문에서 담헌은 청 왕조와 중원의 문물을 분리해 파악하는 관점을 보여준다.그리하여 당시의 중국을 오랑캐의 나라로 멸시한 조선 지식인의 일반적인 중국관법(中國䂓法)과는 다른 인식을 보여준다.담헌의 이런 중국관 법이 청 치하(治下)의 중화 문명에 유의하게 하고 그것을 존중하는 태도를 낳 게 되리라는 점은 췌언을 요치 않는다.그리고 그런 태도 속에는'중국'을 배 워야 한다는 생각이 잠복되어 있을 수 있으며,또 설사 꼭 그렇지는 않다 하
上述引文中,담헌展现了将清王朝与中原文物分开理解的观点。因此,他表现出与当时朝鲜知识分子普遍将中国视为蛮夷之国的中国观不同的认识。담헌的这种中国观必然使人关注清治下的中华文明,并产生尊重的态度,这一点无需多言。在这种态度中,可能潜藏着“必须学习中国”的想法,即使不完全如此,也可能存在。
27 박지원,「연암집」,「회우록서」,번역은 박희병 외 역,「연암산문정독,돌베개,2007, 111 면 참조.
27 朴지원,《燕岩集》,“会友录序”,译文见朴희병等译,《燕岩散文精读》,돌베개,2007 年,第 111 页参照
더라도,그런 태도에서 한 발짝만 더 내디딘다면'중국을 배우자'라는 구호로 이행될 수 있는 게 아닌가 생각된다.적어도 논리적인 견지에서 본다면 상기 인용문이 보여주는'청 왕조/중원 문물'분리의 관점과'학중국(學中國)=북 학의 관점은 쉽게 연결될 수 있는 관계에 있다고 생각된다.그렇기는 하나 담헌 스스로는 단지 ‘청 왕조/중원 문물’ 분리의 관점을 제시했을 뿐 ‘학중국 = = == 북학의 주장을 한 것은 아니었다고 보인다.상기 인용문에 이어지는 담헌 의 다음 말이 그런 추정을 뒷받침한다.
即使如此,如果在这种态度上再迈进一步,难道不会转变为“学习中国”的口号吗?至少从逻辑的角度来看,上述引文所展示的“清王朝/中原文物”分离的观点与“学中国=北学”的观点是可以轻易联系起来的。虽然如此,但我认为淡轩本人只是提出了“清王朝/中原文物”分离的观点,并没有主张“学中国=北学”。上述引文之后淡轩的下一句话支持了这种推测。
제도는 비록 변했어도 도의(道義)는 바뀌지 않거늘,이른바 엣날의 중국이 아니라 고 한 그곳에 어찌 그 백성은 될지언정 그 신하는 되지 않겠다는 사람이 없다고 하겠 습니까?
制度虽然变了,道义却没有改变,所谓的古代中国,难道会有人说自己不做那里的臣子,尽管可能成为那里的百姓吗?
그렇다고 한다면 저들 세 선비가 나를 볼 때 중화와 오랑캐의 구별이라든가 의 론(議論)이나 지체가 다른 데 대한 거리낌이 왜 없었겠습니까?그럼에도 번거로운 법도를 깨뜨리고 자잘한 예절도 치워 버리고는 진정(偵情)을 드러내고 간담을 토로 했으니 그 크고 너른 마음이 쩨제하게 명예나 권세나 이익의 길에서 아득바득하는 자들과 어찌 같다고 하겠습니까? 28 28 ^(28){ }^{28}
如果是这样,那这三位士人看我时,难道不会对中华与夷狄的区别,或者议论和身份的不同有所顾忌吗?尽管如此,他们打破繁琐的礼法,抛开细碎的礼节,真诚地吐露心声,倾诉衷肠,他们那宽广的胸怀,怎能与那些在名誉、权势和利益的道路上拼命争斗的人相提并论?
여기서 보듯,담헌은 홀륭한 한족(渶族)선비들이 동이(東夷)의 선비인 자신 을 격의 없이 대해 준 것,그리하여 서로 깊은 우정을 나누게 된 것을 부각시 키고 있다.담헌의 말은 여기서 끝난다.어세(語势)의 흐름을 중시한다면,‘청 왕조/중원 문물'분리의 관점을 제기한 앞부분의 말은 기실 이 뒷부분의 말 을 위한 포석이라고 볼 수 있다.즉 이 뒷부분에 더 무게가 실려 있다고 생각 된다.이런 주지(主旨)에서라면'중국을 배워야 한다'는 주장은 맥락에 안 맞는 것일 수 있고,따라서 나오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如上所见,淡轩强调了优秀的汉族士人毫无隔阂地对待作为东夷士人的自己,因此彼此结下了深厚的友谊。淡轩的话就此结束。如果重视语势的流动,提出“清王朝/中原文物”分离观点的前半部分,实际上可以看作是为后半部分铺垫。也就是说,后半部分更为重要。从这样的主旨来看,“必须学习中国”的主张可能与语境不符,因此难以出现

흥미로운 점은 「회우록서,에서 확인되는 담헌의 사유가 10 년쯤 후 성대중 의 글에 인입(引入)되고 있음이 확인된다는 사실이다.다음이 그것이다.
有趣的是,可以确认《会友录书》中体现的淡轩的思考大约十年后被成大中引入其文章中。以下是内容。
(가)지금 중국이 비록 오랑캐의 수중에 들어 있지만 성현(聖賢)의 예악(禮樂)과 영웅의 공업(功業),충신과 열사(烈士),문장과 제도의 옛 자취는 그대로 남아 있다. 이번에 공(公,신사운을 가리킴-인용자)이 사행(使行)가서 산해(山海)의 웅장함과 들판의 광활함,성곽의 웅대함,백성과 물산(物産)의 번성함을 둘러보고,우리나라를 돌이켜보아 그 삭약(削弱)함을 진작(振作)시키고 편소(偏小)함을 넓힐 것을 생각한 다면 뜻이 더욱 서게 될 것이다.그리고 유(禹)임금의 자취를 밟아 연경(燕京)에 이르 러 개연히 중국의 문물과 전인(前人)들의 사업을 생각해 본다면 마음이 더욱 넓어질 것이다.또한 삼대(三代)의 남겨진 서적들을 구입하고 백왕(百王)의 남기신 제도를 얻어,돌아와서 우리 조정에서 강론한다면 학문이 더욱 깊어질 것이다.
(甲)虽然现在中国虽处于蛮族手中,但圣贤的礼乐和英雄的功业,忠臣和烈士,文章和制度的旧迹依然存在。这次公(公指申思运——引者注)出使,游览了山海的雄伟、田野的广阔、城郭的宏大、百姓和物产的繁盛,回顾我们国家的衰弱,思考振作精神、扩大狭小之处,志向将更加坚定。如果追随禹王的足迹,到达燕京,顺理成章地思考中国的文物和前人的事业,心胸将更加宽广。此外,购得三代遗留下来的书籍,获得百王留下的制度,回国后在朝廷讲论,学问将更加深厚。

(나)무릇 천하의 예악(隔樂)을 모아 그것을 절충하는 것을'대성'(大成)이라고 한 다.만일 그것이 채용할 만한 것이라면 오링캐에라도 나아갈 것이다.( cdots\cdots 중략 cdots\cdots )하 물며 저 중국 땅은 실로 삼대(三代)예악의 땅임에랴!그러므로 기물(器物)의 유제(遗制)를 징험할 수 있고,서적은 송나라와 명나라의 옛 것이며,천문을 관측함은 탕약 망(湯若望)과 이마두(利瑪竇)가 남겨 놓은 것이다.그 병제(兵制)와 형법(刑法),토지 와 성곽의 제도는 간편하고 굳세어 지키기 쉽다.이 때문에 청(洅)이 중국을 아우를 수 있었던 것이다.저의 장점을 취해 우리의 단점을 보완한다면 자강(自强)의 술(術)로 삼더라고 무방할 것이다.그러니 우리들이 널리 채용하고 신중하게 선택함 에 있을 따름이다.
(乙)凡是收集天下的礼乐并加以折衷,称为“大成”。如果其中有值得采纳的,即使是蛮族之地也会前往采纳。( cdots\cdots cdots\cdots )问道:中国这片土地真是三代礼乐之地吗!因此可以考察器物的遗制,书籍是宋明两代的旧物,天文观测是汤若望和利玛窦留下的。其兵制和刑法,土地和城郭的制度简便坚固,易于守护。正因如此,清朝才能统一中国。如果取其长处,补我短处,即使作为自强之术也无妨。所以我们只需广泛采纳,慎重选择。

(가)는 서장관(書狀官)의 직책을 띠고 중국에 가는 신사운(申思運)에게 써 준 r 동지 서장관(冬至書狀官)신응교(申㦄教)에게 써 준 송서(送序)」 29 29 ^(29){ }^{29} 라는 글의 한 대목이고,(나)는 부사(副使)의 직책을 띠고 중국에 가는 서호수(徐浩修)에게 써 준 「부사로서 연경에 가는 서시랑(徐侍郎)에게 준 송서」 30 30 ^(30){ }^{30} 라는 글의 한 대목이 다.두 글 모두 1776 년에 쓰인 것인데,공통적으로 「회우록서」에서 확인되는 담헌의 사유를 따르고 있다.그런데 주목되는 것은 담헌이 제시한 논리를 따
(甲)是写给担任书状官、前往中国的申思运的《冬至书状官申应教送序》中的一段,(乙)是写给担任副使、前往中国的徐浩修的《副使赴燕京徐侍郎送序》中的一段。两篇文章均写于 1776 年,共同遵循了《会友录书》中确认的淡轩的思考。值得注意的是,淡轩提出的论理被继承…
르면서도 그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중국 문물의 ‘채용’,즉 ‘중국 배우기’를 설 파하고 있다는 점이다.뿐만 아니라(나)에서 보듯,"만일 그것이 채용할 만한 것이라면 오랑캐에라도 나아갈 것"이라고 하여,슬그머니 논리를 좀 더 확장 시키고 있음이 주목된다.성대중은 1766 년 통신사 서기(書記)의 직책으로 일 본을 다녀온 바 있다.그는 일본을 여행하면서 오랑캐로 멸시해온 일본의 놀 라운 발전상에 적지 않은 충격을 받았으며,그 결과 세계 인식이 크게 변모되 었다.'오랑캐에라도'운운은 그의 이런 일본 경험이 투사된 발언일 수 있다.
同时,他更进一步主张采纳中国的文物,即“学习中国”。不仅如此,如(나)所示,他还悄悄地将逻辑进一步扩展,提出“如果值得采纳的话,即使是蛮夷也会去学习”。成大中曾于 1766 年以通信使书记的身份访问过日本。他在日本旅行时,对曾被视为蛮夷的日本惊人的发展感到相当震惊,结果他的世界观发生了巨大变化。“即使是蛮夷”之说,可能反映了他这次日本经历的影响。

주목되는 점은,'중국을 배우자'는 성대중의 이 발언이 박제가의 『북학의』나 박지원의 「북학의서」의 주장보다 적어도 공식적으로는 앞선 것이라는 사실 이다. 31 31 ^(31){ }^{31} 박제가는 1778 년 중국을 방문했으며 그 해 귀국해 「북학의」를 저술 했다.물론 박제가는 성대중과 달리 중국을 배우자는 주장을'북학이라는 말 로써 슬로건화함으로써 더욱 강렬하고 전투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는 차이 가 있기는 하나,그럼에도 그 논리구조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성대중과 궤 를 같이하고 있다.그러므로 비록'북학이라는 말을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담 론 전개에 있어'북학론'의 논리구조를 최초로 제기한 인물은,적어도 문헌상 확인되는 바로는,박제가가 아니라 성대중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박제가는 성대중의 논의를'북학으로 개념화하면서 논의를 한층 구체화시키는 작업을 했다고 할 만하다.
值得注意的是,成大中“学习中国”的这一主张,至少在官方层面上,比朴齊家《北学议》或朴趾源的《北学议书》更早提出。朴齊家于 1778 年访问中国,并于同年回国后撰写了《北学议》。当然,朴齊家与成大中不同,他将“学习中国”的主张以“北学”一词作为口号,采取了更为强烈和战斗性的态度,但在逻辑结构上基本与成大中一致。因此,虽然没有使用“北学”一词,但在论述展开上,最早提出“北学论”逻辑结构的人,至少从文献上来看,应当是成大中,而非朴齊家。朴齊家则是在成大中的论述基础上,将其“北学”概念化,进一步具体化了论述。

한편'북학으로 개념화되는 과정에서 조선의 정체성 인식에 심중한 변모가 야기되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즉 성대중의 경우'중국 배우기' 는 중화문물의 유일한 보존자이자 계승자인 조선의 문화를 좀 더 나은 쪽으 로 보완하여 완성하기 위한 계기로서의 성격을 갖지만,박제가의 경우'북학' 은 어디까지나 지극히 낙후된'조선=이(夷)'를 구제하기 위한 방도로서의 성 격을 갖는다.이 점에서 성대중이 조선중화주의와 일정하게 연결되어 있다 면,박제가는 그것을 부정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另一方面,在“北学”概念化的过程中,不应忽视朝鲜身份认知发生了深刻变化。即成大中的“学习中国”,具有作为中华文物唯一保存者和继承者的朝鲜文化,向更优方向补充完善的性质;而朴齊家的“北学”,则完全是作为拯救极度落后的“朝鲜=夷”的手段。在这一点上,成大中与朝鲜中华主义有一定联系,而朴齊家则是否定这一点。
『북학의』에서는 다음과 같은 논리구조가 발견된다.
《北学议》中可以发现如下的逻辑结构
청나라가 천하를 차지한 지가 백여 년이 흘렀다.중국 백성의 자녀들이 태어나고 보석과 비단이 생산되는 것이라든지,집을 짓고 배와 수레를 만들며 경작하는 방법 이며,최씨 • 노씨 • 왕씨 • 사씨와 같은 명문가의 씨족은 여전히 그대로 남아 있다. 그런데 저들까지도 깡그리 오랑캐로 몰아세우며,그들의 법까지도 팽개친다면 그것 은 크게 옳지 못한 일이다.만약 백성들에게 이익을 가져다준다면 그 법이 비록 오랑 캐에서 나온 것이라 하더라도 성인(瑟人)은 그 법을 채택할 것이다.더구나 중국의 옛 땅에서 만든 법이 아닌가. 32 32 ^(32){ }^{32}
清朝称霸天下已逾百年。中国百姓的子女出生,宝石和丝绸的生产,建造房屋、制造船只和车马以及耕作的方法,像崔氏、卢氏、王氏、司氏这样的名门望族依然存在。然而,即便是他们,也被一概视为蛮夷,连他们的法律也被抛弃,这显然是不妥的。如果法律能给百姓带来利益,即使是蛮夷之法,圣人也会采纳。更何况这不是在中国的旧土地上制定的法律吗? 32 32 ^(32){ }^{32}
성대중의 논리구조와 흡사함을 볼 수 있다.그러므로,담헌이 새로운 중국 관법(中國谟法)을 정초하고,성대중이 이를 토대로 한 새로운 담론을 제기했으 며,이 담론을 개념화-구체화한 것이 박제가라 할 것이다.바로 이 점에서 담헌은 비록'북학론'을 제기한 것은 아니나,그 담론 형성에 일정한 역할을 했다고 말할 수 있을 터이다.
可以看到与成大中逻辑结构的相似之处。因此,潭轩奠定了新的中国官法,成大中基于此提出了新的论述,而将这一论述概念化、具体化的则是朴齊家。正是在这一点上,虽然潭轩并未提出“北学论”,但可以说他在该论述的形成中起到了一定作用。

잘 알려져 있다시피 북학론의 전개에서 박제가와 박지원은 보조를 같이하 였다.다음은 박지원의 말이다.
众所周知,在北学论的发展中,朴齊家与朴趾源步调一致。以下是朴趾源的话。

(가)(우리나라는-인용자)이른바 사민(四民)이라는 것도 겨우 명목만 남아 있고 이용후생(利用厚生)의 도구는 날이 갈수록 빈약해지고 있다.이는 다름이 아니라 배 우고 물을 줄을 몰라서 생긴 폐단이다.
(甲)(我国——引者)所谓四民,不过是名义上的存在,利用厚生的工具却日益贫乏。这无非是因为不懂得学习和引进所致的弊端
만일 장차 배우고 문기로 할진대 중국을 놓아두고 어디로 가겠는가.그렇지만 그 들(우리나라 선비들-인용자)의 말을 들어 보면"지금 중국을 차지하고 있는 주인은 오랑캐들이다"하면서 배우기를 부끄러워하여,중국의 엣 법마저도 다 함께 얕잡아 무시해 버린다.저들이 진실로 변벌(繚髶)을 하고 오랑캐 복장을 하고 있지만,저들 이 살고 있는 땅이 삼대(三代)이래 한(漢),당(唐),송(宋),명(明)의 땅이 어찌 아니겠
如果将来要学习和掌握文艺,抛开中国,能去哪里呢?但是听那些人(我国的士大夫——引者)的话说:“现在占据中国的主人是胡虏”,因此羞于学习,连中国的旧法都一并轻视无视。他们确实穿着胡服,实行变法,但他们所居住的土地自三代以来,难道不是汉、唐、宋、明的土地吗?
으며,그 땅 안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삼대 이래 한,당,송,명의 유민(遗民)이 아니겠 는가.진실로 법이 홀륭하고 제도가 아름다울진댄 장차 오랑캐에라도 나아가 배워야 하는 법이거늘,하물며 그 규모의 광대함과 심법(心法)의 정미함과 제작(制作)의 굉 원(宏遠)함과 문장의 찬란함이 아직도 삼대 이래 한,당,송,명의 고유한 옛 법을 보 존하고 있음에랴: 33 33 ^(33){ }^{33}
而且生活在那片土地上的人,难道不是三代以来汉、唐、宋、明的遗民吗?如果法律高明、制度美好,将来即使是胡虏,也应当去学习,更何况其规模宏大、心法精妙、制作宏远、文章辉煌,至今仍保存着三代以来汉、唐、宋、明固有的旧法呢: 33 33 ^(33){ }^{33}

(나)우리나라 사대부로서 춘추존양(春秋尊攘)을 논하는 자들이 우뚝이 서로 이 어져 백년을 하루같이 하니 성대한 일이라 이를 만하다.그러나 존주(尊周)는 본디 존주(尊周)이고 이적은 본디 이적일 뿐이다.중화의 성곽,궁실,인민은 실로 그대로 있으며,정덕이용후생(正德利用厚生)의 도구도 실로 그대로 있다.최씨 • 노씨 • 왕 씨-사씨의 씨족도 실로 없어지지 않았고 주렴계-장횡거-정자-주자의 학문도 실 로 사라지지 않았다.삼대(三代)이후의 성제(聖帝)• 명왕(明王)과 한 • 당 • 송 • 명 의 훌륭한 법과 아름다운 제도도 실로 바뀌지 않았다.저 호로(胡虜)는 참으로 중국 이 이롭고 오래 누릴 만하다는 것을 알아 마침내 빼앗아 웅거하여 본디 자기 것처럼 하고 있다.천하를 다스리는 자는,진실로 이민후국(利民厚國)이라면 비록 그 법이 혹이적(夷狄)에게서 나왔다 할지라도 진실로 장차 그것을 취해 본받아야 할 터인데, 하물며 삼대 이후 성제 • 명왕과 한 • 당 • 송 • 명에 본디 있던 옛 제도임에랴.성인(퐁人)이 「춘추」를 지으신 건 실로 존화양이(拿華攘夷)를 위해서다.하지만 이적이 중 화를 어지럽힌 데 분개하여 중화의 높일 만한 것까지 배척하셨다는 말은 듣지 못했 다.그러므로 지금의 사람이 진실로 양이(攘夷)를 하려면 중화의 유법(遺法)을 모조 리 배워 먼저 우리 풍속의 미개한 점을 먼저 바꾸는 일이 급선무니,경(耕)• 잠(䁝)• 도(陶)•야(治)에서부터 공업과 상업에 이르기까지 배우지 않으면 안 된다. 34 34 ^(34){ }^{34}
(二)作为我国士大夫,论述春秋尊攘者,彼此高耸相连,百年如一日,堪称盛事。然而尊周本是尊周,异族本是异族。中华的城墙、宫室、人民确实依旧,正德利用厚生的道具也确实存在。崔氏、卢氏、王氏、司氏的氏族也确实未曾消失,周濂溪、张横渠、程颐、朱子的学问也确实未曾湮灭。三代以后圣帝、明王以及汉、唐、宋、明的优秀法律和美好制度也确实未曾改变。那些胡虏确实知道中国有利且值得长久享有,终于夺取并据为己有,仿佛本是自己的。治理天下者,若真是利民厚国,即使法律出自夷狄,也应当采纳效法,更何况这是三代以来圣帝、明王及汉、唐、宋、明本有的旧制度呢。圣人(孔子)著《春秋》实为尊华攘夷之用。但未曾听说他因异族扰乱中华而愤怒到排斥中华应当尊崇之物。因此,今人若真欲攘夷,必须悉心学习中华遗法,首先改变我国风俗中的落后之处,务必从耕作、织造、陶冶、治理到工商业都必须学习。 34 34 ^(34){ }^{34}

(가)는『북학의』서문의 한 대목이고,(나)는『열하일기』에 실린 「일신수 필(駒迅隨筆)」의 한 대목이다.박제가와 여출일수(如出一手)임이 확인된다.박지 원의 말 속에도,담헌과 성대중의 담론이 들어와 있다.그리하여 박제가의
(甲)是《北学议》序言中的一段,(乙)是《热河日记》中收录的〈日新随笔〉的一段。可以确认是朴齊家和如出一辙。朴趾源的话语中,也包含了淡轩和成大中之间的论述。因此,朴齊家的
「북학의」에 실려 있는 「존주론(寧周淪)」과 동일한 논리구조를 보이고 있다. 35 35 ^(35){ }^{35}
《北学议》中所载的〈尊周论〉与之呈现出相同的逻辑结构。 35 35 ^(35){ }^{35}

또한 주목해야 할 점은 박제가든 박지원이든 북학에 대한 제론(提淪)이'이 용후생(利用厚生)'에 대한 강조와 동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이다. 36 36 ^(36){ }^{36}'북 학론'이 내용적으론'이용후생론'임이 확인되는 것이다.
此外,值得注意的是,无论是朴齊家还是朴趾源,对于北学的提论都同时强调了“利用厚生”的观点。 36 36 ^(36){ }^{36} 由此确认“北学论”在内容上即是“利用厚生论”。

6.북학론과 홍대용 사상의 동이(同婴)
6.北学论与洪大容思想的同源(同婴)

지금까지'북학'북학파''북학사상''북학론'등의 용어에 대해 검토해 보았 다.이 작업은 담헌의 사상을 새롭게 규정하는 데 불가결한 것이다.왜나면 종래 담헌의 사상은 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규정되어 왔음으로써 이다.하지 만 필자는 담헌 사상이 이들 용어로 규정되어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 다.담헌 사상을 정당하게 이해하고 그 본질을 포착하기 위해서는 북학파에 서 담헌을 분리해 내는 작업이 필요하다.
到目前为止,我们已经审视了“北学”“北学派”“北学思想”“北学论”等术语。这项工作对于重新界定淡轩的思想是不可或缺的。因为以往淡轩的思想主要是通过这些术语来界定的。然而,笔者认为淡轩的思想不应被这些术语所限定。为了正当地理解淡轩思想并把握其本质,有必要将淡轩从北学派中分离出来。

여기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토대로 담헌의 사유와 북학론의 동이(同巽)를 개략적으로 정리해 보기로 한다.
在这里,基于迄今为止的讨论,尝试对淡轩的思考与北学论的同异进行概括性的整理。

담헌 사상의 전개는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파악될 수 있다.제 1 단계는 연 행(燕行)이전으로서,대명의리론과 조선중화주의를 견지하였다.제 2 단계는 연행 이후 고투를 벌이며 새로운 사상을 모색해 간 시기다.제 3 단계는 새로 운 사상을 확립한 시기로서, P P ^(P){ }^{\mathrm{P}} 임하경륜』 r r ^(r){ }^{\mathrm{r}} 의산문답」이 바로 이 단계에 써졌 다. 37 37 ^(37){ }^{37} 담헌 사상전개의 제 2 단계에서는 청 왕조와 중원의 문물이 분리되어 사
淡轩思想的发展大致可以分为三个阶段。第一阶段是燕行(赴燕国)之前,坚守大明义理论和朝鲜中华主义。第二阶段是燕行之后,经历苦斗,探索新思想的时期。第三阶段是确立新思想的时期,《임하경륜》(临河经纶)和《의산문답》(义山问答)正是在这一阶段写成的。在淡轩思想发展的第二阶段,清王朝与中原的文化被区分开来。
유된다.북학론은 담헌의 이런 사유태도를 그 담론의 논리적 기초로 받아들 였다.이 점에서 담헌의 사유는 북학론에 논리적 기초를 제공한 면이 없지 않 다.뿐만 아니라 『연기 _(_|_){ }_{\perp} 에서 확인되듯 담헌은'실용'을 중시하는 차원에서 중 국의 기용(器用)과 제도,풍속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있고,중국 인민의 살림 살이를 세심하게 들여다보고 있으며,서양의 과학기술에 학문적 관심을 기울 이고 있다.담헌의 이런 면모는'이용후생'을 실질로 심는 북학론과 그 지향에 있어서 일정한 부분 통하는 데가 없지 않다.
北学论接受了淡轩这种思考态度,作为其论述的逻辑基础。从这一点来看,淡轩的思考在一定程度上为北学论提供了逻辑基础。不仅如此,正如在《연기》(燕记)中所确认的,淡轩在重视“实用”的层面上,细致观察了中国的器用、制度和风俗,细心关注中国人民的生活状况,并对西方的科学技术表现出学术兴趣。淡轩的这些面向,在“利用厚生”实质上植根的北学论及其指向上,确实存在一定的共通之处

하지만 담헌의 사유와 북학론의 상통점은 대체로 이 정도에 불과하다.그 렇다면 담헌은 박제가 •박지원과 같은 북학론자와 어떤 점에서 구별되는가?
但是,淡軒的思考与北学论的大致相通之处也仅限于此。那么,淡軒在哪些方面与朴齊家、朴趾源等北学论者有所区别呢?

첫째 화이론에서 구별된다.박지원이나 박제가는 중화주의 내지 화이론에 서 벗어나지 못했다.북학론은 비록 청 문물의 발전을 인정하는 현실주의에 서 출발하고 있기는 하나,그리하여 청나라를 오랑캐로 무시 내지 멸시하는 태도를 벗어낫기는 하나,그럼에도'화/이'의 인식틀을 탈피한 것은 아니다. 북학론은 비록 당대 조선에 횡행하던 조선중화주의에 대한 반대에서 비롯된 것이기는 하나,수천 년간 동아시아 질서를 규율해온 화이론이라는 쉐마(Schema) 속에 있다는 점에서는 조선중화주의와 다르지 않다.다만 조선중화주의가 허 위적 자기의식을 강화하여 청 = = == 이(夷),조선 = = == 화(葷)라는 도식을 구축했다면, 북학론은 조선은 어디까지나 이(麦)이며 중화는 따로 있다는 쪽으로 인식의 방향을 수정했을 뿐이다.이 인식의 수정은 어찌 생각하면 전통적인 화이론 으로의 복귀를 뜻하는 것일 수 있다.특별한 가치론적 의미를 갖는'북학'이라 는 용어를 사용하고 나선 것에서 이런 함의를 읽어낼 수 있다.
首先,它与华夷论有所区别。朴趾源和朴齐家未能摆脱中华主义或华夷论的框架。北学论虽然出发点是承认清朝文物发展的现实主义,因而摆脱了将清朝视为蛮夷的轻视或蔑视态度,但仍未跳出“华/夷”的认知框架。北学论虽然起因于反对当时朝鲜盛行的朝鲜中华主义,但在数千年规制东亚秩序的华夷论这一模式(Schema)中,与朝鲜中华主义并无二致。只是朝鲜中华主义强化了虚假的自我意识,构建了清为夷,朝鲜为华的模式,而北学论则将朝鲜始终视为夷,中华另有其地,认知方向有所修正。这种认知的修正,从某种角度看,可能意味着回归传统的华夷论。从使用具有特殊价值论意义的“北学”一词中,可以读出这种含义

이와 달리 담헌은 화이론 자체를 부정하는 쪽으로 나아갔다.이는 청을 오 랑캐로 보는 관점의 부정일 뿐 아니라,중국을 화(蓽),조선을 이(夷)로 보는 인 식틀의 부정이기도 하다.말하자면 담헌은 수천 년간 동아시아를 규율해온 세계관적 패러다임에 해당한다 할'화이론=중국중심주의'그 자체를 이론적 으로 부숴 버리고 새로운 대안적 세계관을 구축하는 지적 기획(企刷)을 수행 한 것이다. 38 38 ^(38){ }^{38} 이 점에서 담헌의 사상은,북학의 이용후생적 지향성을 완전히 부정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 할지라도(그렇다고 그에 완전한 공감을 표시하고 있는 것
与此相反,淡軒则走向了否定华夷论本身的方向。这不仅是否定了将清朝视为蛮夷的观点,也是否定了将中国视为华、朝鲜视为夷的认知框架。换言之,淡軒理论上摧毁了数千年来规范东亚的世界观范式——“华夷论=中国中心主义”,并进行了构建新的替代性世界观的知识企划。在这一点上,淡軒的思想虽不能说完全否定北学的利用厚生取向(但也未完全表示认同)
도 아니지만),북학의 세계관적 인식틀 자체는 부정하고 있는 것이 된다.이를 담헌이 북학의 내부에서 북학을 수정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이는,담 헌 사유의 어떤 계기가 비록 북학론자에게 원용(援用)되기는 했으나,담헌 스 스로는 북학과는 다른 경로로 자신의 사유를 발전시켜 나간 결과인 것이다.
虽然不是,但实际上是否定了北学的世界观认知框架本身。不能将此理解为淡轩在北学内部对北学的修正。这是因为,虽然淡轩思考的某些契机确实被北学论者援用,但淡轩本人是沿着与北学不同的路径发展了自己的思考
둘째,문명과 물질적 가치를 보는 관점상에서 구별된다.북학파는 기본적 으로 문명,특히 물질 문명의 우열을 인정했으며,열등한 문명은 우등한 문명 을 배워야 하며 그것을 통해 자기를 부강(富强)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였다.이러한 입장은 무엇보다도 기술과 생산력에 기초한 물질적 가치를 우선적으로 중시하는 태도를 그 바탕에 깔고 있다.박제가나 박지원이,'검소 함이 미덕이 아니라고 보면서 물질적 풍요에 기초한 세련을 긍정한 것도 이 와 관련이 없지 않다. 39 39 ^(39){ }^{39} 북학론자의 이런 태도가 조선의 가난을 극복하고자 하는 절박한 요청에서 연유한다는 점은 인정되나,그렇다고 하여 문명을 보 는 이들의 시각이'물질'의'효용'과'편리'에 맞추어져 있다는 사실이 간과되 어서는 안 될 것이다.
第二,从对文明和物质价值的看法上区分。北学派基本上承认文明,特别是物质文明的优劣,认为劣等文明应向优等文明学习,并通过此使自身富强。这种立场首先基于对以技术和生产力为基础的物质价值的优先重视。朴齊家和朴趾源不认为节俭是美德,肯定了以物质富裕为基础的精致生活,这与此不无关系。 39 39 ^(39){ }^{39} 虽然承认北学论者这种态度源于克服朝鲜贫困的迫切需求,但不能忽视的是,他们看待文明的视角是以“物质”的“效用”和“便利”为准的事实。
담헌 역시 물질에,그리고 효용과 실용에,관심을 안 가졌던 것은 아니나, 인간의 삶은,그리고 인간의 삶에 의해 총체적으로 구현되는 문명은,사치나 낭비가 아니라 절검(節儉),즉 절약과 검소함에 의해 그 건강성이 담보된다는 관점을 견지했다는 점에서,박제가 등과 구별된다.담헌이 중화 문명의 쇠락 과 호(胡),즉 북방 오랑캐의 흥기를 역사의 필연적인 방향으로 인식한 것도 문명을 보는 그의 이런 독특한 관법(観法)에서 기인한다. 40 40 ^(40){ }^{40} 요컨대,담헌이 좀 더'원리적'으로,그리고 좀 더 생태주의적으로 문명과 세계를 전망하는 태도
淡轩虽然也关心物质以及效用和实用,但他坚持认为人的生活,以及由人的生活整体实现的文明,不是奢侈和浪费,而是通过节俭,即节约和简朴来保证其健康性,这一点与朴齊家等人不同。淡轩将中华文明的衰落和胡族,即北方蛮族的兴起视为历史的必然方向,也源于他看待文明的这种独特观法。 40 40 ^(40){ }^{40} 总之,淡轩表现出更“原则性”、更生态主义地展望文明和世界的态度,
를 보여준다면,북학론자는 좀 더 공리적(功利的)으로 문명과 세계를 전망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而北学论者则更功利地展望文明和世界,这一点存在差异。

셋째,평등의 감수성에서 구별된다.북학파는 중국의 선진기술 도입을 통 한 부국강병을 추구했으나 사회적 • 인민적 평등에 대한 문제의식은 부족하 거나 불철저한 면모를 보여준다.이와 달리 담헌은 무엇보다도 사회적 • 인민 적 평등의 향상에 제 1 의적인 가치를 부여하였다.이 점에서 담헌과 박지원 • 박제가는 사회의 발전방향 내지 사회개혁에 대한 구상에 있어 노선을 달리한 다고 말할 수 있다.
第三,从平等的敏感性上区分。北学派追求通过引进中国先进技术实现富国强兵,但在社会和平等意识方面表现出不足或不彻底。与此不同,淡轩首先赋予社会和平等的提升以第一位的价值。在这点上,淡轩与朴趾源、朴齊家在社会发展方向或社会改革构想上可以说是路线不同
넷째,사상의 지향성에서 구별된다.박제가와 박지원의 사상은 크게 보아 유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박지원은 관념적인 성리학을 비판하며 그 말폐를 적극적으로 비판했으나 그렇다고 해서 그가 꼭 성리학의 틀 바깥으로 나간 것은 아니다. 4 41 4 41 4^(41)4^{41} 특히 만년의 박지원은 정주학(程朱學)에의 경사를 보여준 다.박지원이나 박제가는 북학론을 뒷받침하는 사상으로 『관자(管子)』에 주목 하기도 했으나, 42 42 ^(42){ }^{42} 그렇다고 해서 이들의 사상이 유가를 벗어나 법가(法家)쪽 으로 나아간 것은 아니다.
第四,在思想的指向性上有所区别。朴齊家和朴趾源的思想大体上并未脱离儒家思想。朴趾源批判了观念性的性理学,积极批判其弊端,但这并不意味着他一定跳出了性理学的框架。 4 41 4 41 4^(41)4^{41} 尤其是晚年的朴趾源表现出对程朱学的倾向。朴趾源和朴齊家虽然也关注《管子》作为支持北学论的思想依据, 42 42 ^(42){ }^{42} 但这并不意味着他们的思想脱离了儒家而转向法家。
이와 달리 담헌은 자신의 학문방법 내지 사상구축 방법을'공관병수(公觀鋳
与此不同,淡轩则在其学问方法或思想构建方法上采取了“公观铸
41 박지원의 주자학에 대한 태도는 김명호,「연암 문학사상의 성격」,「한국한문학연구」17, 한국한문학회, 1994 에 잘 정리되어 있다.
41 朴趾源对朱子学的态度,详见金明浩,《燕岩文学思想的性质》,《韩国汉文学研究》17,韩国汉文学会,1994 年的整理。

42 박지원의 관자(管子)에 대한 관심은 김윤조 역주,「역주 과정록」,태학사,1997,229면의 "매양 관중(管仲)-상앙(商鞅)의 공리와 실용을 추구하는 학문이 진실로 취할 만한 것이 있다 말씀하셨다"라는 말 참조.또 「연암집」 권16,「課農小抄」,「諸家總論」의"管商足佐㮶之才,而其能明於本末輕重之辨如此,是豈可以功利之説而忽之哉?"라는 말도 참조.박제가 의 경우,「북학의 자서」의"管仲日:衣食足而知䣓節"이라고 한 말과 「財富論」중"배로는 외국과 통상할 수 있고/수레로는 말과 노새를 편하게 하였다/이 두 기구를 다시 사용하 지 않는다면/관중(管仲)이나 안자(晏子)인들 방법이 있겠나"( P ^("P "){ }^{\text {P }} 북학의 1 , 174 1 , 174 _(1),174{ }_{1}, 174 면)라고 한 말 참조.한편,박지원과 박제가의 「관자」에 대한 주목이 꼭 특별한 것만은 아니다.이들 외에도 조선후기 실학자들 중에는 부국안민(富國安民)의 방책을 도모하는 과정에 「관자」 를 주목한 이들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가령 이익,유수원,정약용 등도 「관자」를 인거(引據)하고 있다.담헌 역시 「관자 」를 읽은 것으로 보인다.「계방일기」을미년(1775)3월 29 일조에서 그 점을 알 수 있다.조선후기 지식인들의 「관자」 독서 양상에 대해서는 심경호,「弪선후기 지성사와 제자백가-특히 「관자」와 r r ^(r){ }^{\mathrm{r}} 노자 」의 독법과 관련하여」, r r ^(r){ }^{\mathrm{r}} 한국실학연 구」 13,한국실학학회, 2007 참조.
42 关于朴趾源对《管子》的关注,参见金允祚译注,《译注程录》,泰学社,1997 年,第 229 页中“每每称管仲-商鞅的功利与实用学问确实值得采纳”的说法。另外,《燕岩集》卷 16,《课农小抄》,《诸家总论》中“管商足佐㮶之才,而其能明于本末轻重之辨如此,是岂可以功利之说而忽之哉?”的说法也可参考。至于朴齊家,则可参照《北学的自序》中“管仲曰:衣食足而知节俭”以及《财富论》中“船只可与外国通商/车马使马和驴更便利/若不再使用这两种工具/管仲或晏子岂有方法?”( P ^("P "){ }^{\text {P }} 北学的 1 , 174 1 , 174 _(1),174{ }_{1}, 174 面)的话语。同时,朴趾源和朴齊家对《管子》的关注并非特别独特。除了他们之外,朝鲜后期的实学者中也有不少人在谋求富国安民的对策过程中关注《管子》。例如李益、柳秀源、丁若镛等人也引用了《管子》。淡轩似乎也读过《管子》,这可从《戒方日记》乙未年(1775 年)3 月 29 日条中得知。关于朝鲜后期知识分子阅读《管子》的状况,参见沈京浩,《弪线后期知识史与诸子百家——特别是《管子》和 r r ^(r){ }^{\mathrm{r}} 《老子》的阅读法相关研究》, r r ^(r){ }^{\mathrm{r}} 《韩国实学研究》13,韩国实学学会,2007 年
受)'로 설정한 데서 잘 드러나듯,정주학(程朱學),나아가 유학 외부의 제 사상 을 이단으로 배척하지 않고 자신의 사유 속에 적극적으로 포섭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그리하여 전통적으로 유가가 그토록 배척해 마지않았던 양주(楊朱)와 묵적(婑翏)까지도 그 사상의 어떤 계기를 적극적으로 긍정하고 있다.특 히 묵자의 평등과 겸애의 사상을 공관병수하여 이를 토대로 새로운 세계관과 사회적 원리를 이념적으로 창조해 내고 있음은,종래에는 간과됐지만,각별 한 주목을 요한다.그리하여 담헌은,비록 그 출발은 유가였으나,종내에는 유가라고만 못 박기 어려운 독특한 사유체계를 구성해 보이고 있다. 43 43 ^(43){ }^{43} 말하 자면 담헌은 몇 개의 고개를 넘어 마침내,적어도 사유에 있어서는,당대 밖 으로,즉 체제 뷖 44 44 ^(44){ }^{44} 으로 훌쩍 나가 버린 것이다.
正如设定为“受)”所清楚显示的那样,程朱学派,乃至儒学之外的其他思想,并未被视为异端而排斥,反而表现出积极纳入自身思考体系的态度。因此,传统上儒家极力排斥的杨朱和墨翟的某些思想契机,也被积极肯定。特别是墨子的平等与兼爱的思想被公允地接受,并以此为基础理念创造出新的世界观和社会原则,这一点虽然以往被忽视,但值得特别关注。因此,淡轩虽然起点是儒家,但最终展现出难以单纯归为儒家的独特思维体系。换言之,淡轩跨越了几个关卡,最终至少在思考上,跳出了当时的体制框架,走向了体制之外。

북학론은,비록 당대의 보수적 학자들로부터는 비난받았을 수 있으나,그 렇다고 해서 그 사유방식과 사유틀이 유가 밖으로 나가거나 체제 밖으로 나 간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그것은 어떤 면에서 또 다른 방식으로 조선이라 는 체제를 뒷받침하는 논리였을 수 있다.진소본(璡疏本)『북학의』에 대해 군 주인 정조(正祖)가 보인 태도라든가,북학론의 19 세기적 향방에서 그 점이 잘 드러난다. 45 45 ^(45){ }^{45} 하지만 담헌 사상의 지향성은 체제와의 관계에 있어서나 그 혁 신성에 있어서나 북학론의 그것과는 본질적 차이가 있다.
北学论虽然可能受到当时保守学者的批评,但并不意味着其思考方式和思维框架脱离了儒家或体制之外。从某种意义上说,它也可能是以另一种方式支撑朝鲜体制的逻辑。从君主正祖对璡疏本《北学议》的态度,以及北学论在 19 世纪的发展方向中,这一点表现得很明显。但淡轩思想的指向性,无论是在与体制的关系上,还是在其创新性上,都与北学论存在本质差异。
43 박희병,「담헌 사회사상의 논리와 체계」,앞의 책, 182 면 참조.이 점에 대해서는 현재 필 자가 집필중인 『홍대용의 사회사상 이라는 책에서 좀 더 본격적으로 논의된다.
43 박희병,「담헌 사회사상의 논리와 체계」,前书,第 182 页参照。关于这一点,目前笔者正在撰写的《洪大容的社会思想》一书中将有更深入的讨论。

44 이 경우'체제'란 단지 조선만이 아니라 넓게는 동아시아 세계도 해당된다.담헌의 평등주 의적 사고는 교육을 통한 지식의 인민적 확산 및 신분제의 내파(內破)를 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동아시아 세계를 규율하던 화이론을 깨뜨려 버리고 있음으로 이다.박희병,위의 논문 참조.
44 此处所指“体制”不仅仅是朝鲜,广义上也包括东亚世界。淡轩的平等主义思考不仅旨在通过教育实现知识的民众普及和打破身份制度,还打破了规制东亚世界的华夷论。参见朴熙炳,上述论文

45 이 점에서 관료 학자인 홍양호와 서유구가 주목된다.이들을 통해 북학론은 이제 재야지 식인이나 소외된 학인(學人)만이 아니라,위정자들 역시 담론 형성에 참여하고 있음을 보 게 된다.
45 在这点上,官僚学者洪良浩和徐有榘值得关注。通过他们可以看到,北学论不仅仅是草根知识分子或被边缘化的学人参与的,执政者们同样也参与了话语的形成。

7.맺음말  7.结语

지금까지 한국 학계에서는 담헌이 북학파라는 사실에 어떤 회의도 품은 적 이 없다.그리하여 담헌의 사상은 줄곧 북학파의 프레임 속에서 조명되어 왔 다.담헌이 과연 북학파인가 아닌가 그 점을 곰곰이 따져 보는 것도 학문적으 로 중요하고 필요한 일이지만,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당시 조선 사상계의 지 형(地形)속에서,그리고 더 나아가 당시 동아시아 사상계의 지형 속에서 담헌 의 독특한 사상적 성취가 과연 무언지를 사려 깊게 따져 보는 일이 아닌가 필 자는 생각한다.그것은 동시에 북학파의 성취와 한계를 좀 더 냉철하게 직시 할 수 있게 해 주는 준거점을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없지 않다.말 하자면 조선후기 사상사를 읽는 우리의 눈을 좀 더 복안화(裍囮)하고 심 화深化하는 길이 되는 것이다.
直到现在,韩国学界从未对淡轩是北学派这一事实产生过怀疑。因此,淡轩的思想一直在北学派的框架内被照亮。淡轩究竟是不是北学派,仔细探讨这一点在学术上固然重要且必要,但更重要的是,在当时朝鲜思想界的地形中,乃至更广泛的当时东亚思想界的地形中,深思淡轩独特的思想成就究竟是什么。我认为,这同时也为我们更冷静地直视北学派的成就与局限提供了参照点。这就是说,这将成为我们阅读朝鲜后期思想史时,开阔视野、深化理解的途径。

담헌을 억지로 북학파 속에 구겨 넣어 버릴 경우 담헌 사상의 고유한 면모 가 사상(捨象)되어 버린다는 점만이 문제는 아니다.그것은,과거를 통해 배우 며 미래를 향해 다양한 사고의 유영(遊泳)을 시도해 나가야 할 오늘의 우리에 게도 별로 득 될 게 없는 일이라고 판단된다.
强行将淡轩塞进北学派的框架中,问题不仅仅是淡轩思想的独特面貌被舍弃了。这也被认为对今天的我们没有多大益处,因为我们应当通过学习过去,向未来尝试多样的思维游泳

박지원과 박제가는 담헌 사유의 어떤 계기를 원용(援用)해'북학'이라는 담 론을 창안해 냈다.이는 이들의 공이다.하지만 담헌은 이들과의 교분(交分)에 도 불구하고 북학과는 다른 문명론적 전망,북학과는 다른 데 방점(傍點)이 찍 히는 사회개혁 방안,북학과는 다른 사상적 전망을 모색하는 쪽으로 나아갔 다.요컨대 담헌은 박지원이나 박제가와는 다른 세계,다른 사회를 꿈꾸었다 고 생각된다.양자는 모두 조선을 개혁하여 잘 사는 나라,홀륭한 나라를 만 들고자 했으나 그 경로와 방법은 물론이려니와 인간과 자연의 관계 설정 자 체가 크게 달랐던 것이다.
朴趾源和朴齊家援引淡軒的某些思考契机,创造了“北学”这一谈论。这是他们的功劳。但淡軒尽管与他们有交往,仍走向了与北学不同的文明论视角、与北学不同的社会改革方案、与北学不同的思想视野。总之,淡軒被认为梦想着一个与朴趾源和朴齊家不同的世界、不同的社会。两者都希望改革朝鲜,建设富裕、优秀的国家,但其路径和方法,乃至人与自然关系的设定本身,都有很大差异。

북학파가 청나라의 선진기술 도입을 가장 중시했다면,담헌은 평등한 사회 로의 변혁을 가장 중시했다.북학파에게는 이런 평등의 지향이 부족하거나 불철저한 편이다.담헌 사상의 핵심은,국제관계에 있어서건 국내관계에 있
如果说北学派最重视引进清朝的先进技术,淡軒则最重视向平等社会的变革。北学派在这种平等的追求上显得不足或不彻底。淡軒思想的核心,无论是在国际关系还是国内关系上,都被认为正是这种“平等”。
어서건,바로 이'평등'에 있다고 판단된다.적어도 이 점에서만 본다면 담헌 은 급진 좌파에 가갑고,박지원 • 박제가는 중도 보수이거나 기껏해야 온건 좌파쯤에 해당될 터이다(이 두사람 간에도 또 얼마간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요컨대 사상의 스펙트럼이 다르다는 말이다.
至少从这一点来看,淡軒属于激进左派,而朴趾源、朴齊家则属于中间保守派,或者充其量是温和左派(这两人之间也存在一定差异)。总之,思想的光谱是不同的。

이 논문에서는 북학파와 구별되는 담헌 사상의 내질(內質)을 만족할 만큼 충분히 탐색하지 못했다.이 점에서 이 논문은 미흡하고 부족하다.이 점,차 후의 과제로 삼고자 한다.
本文未能充分探讨足以满足区别于北学派的淡軒思想的内涵。在这方面,本文尚显不足和欠缺。此点将作为今后的课题

Abstract  摘要

Is Hong Dae-Yong a Member of Bukhak School?;Park,Hee-Byoung Everyone thinks Hong Dae-yong as a member of the Bukhak School.And researchers have only highlighted the school's positive sides,mostly leaving out the problems their ideological aim involves.Also,Hong Dae-yong has been considered a member of the so-called'Yeonam School.'Denying these common notions in the academic world,this paper distinguishes Hong Dae-yong from the Bukhak School.And by doing so,this pa- per attempts to set the logical basis for critical appreciation of the Bukhak School's epis- temology,theory of civilization,and theory of social reform.This attempt will probably contribute to expanding the understanding of Korean history of thoughts.
洪大容是北学派成员吗?;朴熙炳 大家都认为洪大容是北学派成员。研究者们通常只强调该学派的积极方面,往往忽略了其意识形态目标所涉及的问题。此外,洪大容还被认为是所谓“延南学派”的成员。本文否定了学术界的这些普遍看法,将洪大容与北学派区分开来。通过这样做,本文试图为批判性评价北学派的认识论、文明理论和社会改革理论奠定逻辑基础。这一尝试可能有助于拓展对韩国思想史的理解。

Keywords:Hong Dae-yong,Park Ji-won,The Bukhak School,Bukhak
关键词:洪大容,朴趾源,北学派,北学

참고문헌  参考文献

자료  资料
김윤조 역주, r r ^(r){ }^{r} 역주 과정록, 2 ,태학사, 1997.
金允祚 译注,《 r r ^(r){ }^{r} 译注过程录》,2,太学社,1997。

金昌協,「農麇集」。  金昌协,《农麇集》。
「孟子」。
민족문화추진회, P P ^(P){ }^{\mathrm{P}} 국역 담헌서」.
民族文化推进会,《 P P ^(P){ }^{\mathrm{P}} 国译淡轩书》。

박제가,「北學議」。  朴齊家,《北学议》。
qquad\qquad ,안대회 역, r r ^(r){ }^{r} 북학의 2 2 _(2){ }_{2} ,돌베개, 2003.
qquad\qquad ,安大会 译, r r ^(r){ }^{r} 北学的 2 2 _(2){ }_{2} ,돌베개,2003。

박지원,「燕麖集」。  朴趾源,《燕麖集》。
박희병 외 역,「연암산문정독」,돌베개, 2007.
朴熙炳 等 译,《燕岩散文精读》,돌베개,2007。

성대중,『青城集』。  成大中,《青城集》。
신호열 • 김명호 역,「연암집」 하,돌베개, 2007.
申浩烈、金明浩 译,《燕岩集》下,돌베개,2007。

유수원,「迂書」.  柳秀源,《迂书》。
최남선,『朝鮮歷史講話」,『六堂崔南善全集』 1 ,현암사, 1973.
崔南善,《朝鲜历史讲话》,《六堂崔南善全集》1,玄岩社,1973。
논저  论著
(1)저서  (1)著作
김문용,「홍대용의 실학과 18 세기 북학사상」,예문서원, 2005.
金文用,《洪大容的实学与 18 世纪北学思想》,艺文书院,2005。

김인규, r r ^(r){ }^{\mathrm{r}} 북학사상의 철학적 기반과 근대적 성격 A A _(A){ }_{\mathrm{A}}, 다운샘, 2000.
金仁圭,《北学思想的哲学基础与现代性》,Downsam,2000。

유봉학,「연암일파 북학사상 연구」,일지사, 1995.
柳奉学,《燕岩一派北学思想研究》,一志社,1995 年。

(2)논문  (2)论文
김명호, r r ^(r){ }^{r} 연암 문학사상의 성격」, r r ^(r){ }^{r} 한국한문학연구」 17 ,한국한문학회, 1994.
金明浩,《〈0〉燕岩文学思想的性质》,《1 韩国汉文学研究》17,韩国汉文学会,1994 年。

박회병, r 담헌 사회사상의 논리와 체계」, r 담헌 홍대용 연구」(실시학사 실학연구총서 3),성균관대 출판부, 2012.
朴会炳,《r 淡轩社会思想的逻辑与体系》,《r 淡轩洪大容研究》(实学社实学研究丛书 3),成均馆大学出版社,2012 年。

심경호,「조선후기 지성사와 제자백가-특히 「관자」와 「노자」의 독법과 관련하여」,「한국실학연 구」 13,한국실학학회, 2007.
沈京浩,《朝鲜后期知识史与诸子百家——特别是关于〈管子〉与〈老子〉的解读方法》,《韩国实学研究》13,韩国实学学会,2007 年。

안대회,'조선 후기 燕行을 보는 세 가지 시선」,「한국실학연구」 19,한국실학학회, 2010.
安大会,《朝鲜后期燕行的三种视角》,《韩国实学研究》19,韩国实学学会,2010 年。

유봉학,「북학사상의 형성과 그 성격-담헌 홍대용과 연암 박지원을 중심으로」,「한국사론」 8 ,서울 대학교, 1982.
柳奉学,《北学思想的形成及其性质——以淡轩洪大容与烟岩朴趾源为中心》,《韩国史论》8,首尔大学,1982 年。

이우성,「실학연구서설」,「실학연구입문」,일조각, 1973.
李宇成,《实学研究序说》,《实学研究入门》,一兆刻,1973 年。

임형택,「연암의 경제사상과 이용후생론」,「연암 박지원 연구」(실시학사 실학연구총서 4),성균관대 출판부, 2012.
任亨澤,《燕巖的经济思想与利用厚生论》,《燕巖朴趾源研究》(实事学社实学研究丛书 4),成均馆大学出版社,2012 年。

허태용,「'북학사상'을 연구하는 시각의 전개와 재검토」,「오늘의 동양사상」 14,예문동양사상연구 원, 2006.
许泰容,《“北学思想”研究视角的发展与再检讨》,《今日的东方思想》14,例文东方思想研究院,2006 年。

  1. 1 이는'경제발전'이라는 신화(神話)에의 포흭(捕獲),'기술과 생산력 발전'이라는 주술(呪術) 에의 긴박(緊縛)이라고 이를 만하다.
    1 这可以说是对“经济发展”这一神话的捕获,是对“技术与生产力发展”这一咒术的紧缚。

    2 박제가,「北學議」의 「序」,"取孟子陳良之語,命之日北學議."
    2 朴齊家,《北学议》的《序》,“取孟子陈良之语,命之曰北学议。”

    3 「孟子」,「滕文公」上。
  2. 4 박제가,안대회 역,「수레」,「북학의,돌베개,2003,31면.이하 본고에서 인용한 「북학의」 의 면수는 모두이 책의 것이며,펠자가 간간이 역문의 표현을 조금 바꾼 데도 있다.
    4 朴齊家,安大會 译,《车》,《北学议》,돌베개,2003,31 页。以下本文引用的《北学议》页码均为此书页码,译者有时对译文表达略作修改。

    5 「목축」,『북학의 2,79 면.
    5 《牧畜》,《北学议 2》,79 页。
  3. 6 「중국어」,「북학의」,107면.  6 《中文》,《北学议》,107 页。
    7 「골동품과 서화」,「북학의 」,129면.
    7 《古董与书画》,《北学议》,129 页
  4. 8 '표준'을 만들어 통일해야 한다고 주장한 점을 말한다.가령 「북학의 , 102 122 , 102 122 darr,102*122\downarrow, 102 \cdot 122 면 등 참조.
    8 这里指的是主张制定“标准”以实现统一的观点。例如,参见《北学的 , 102 122 , 102 122 darr,102*122\downarrow, 102 \cdot 122 面》等。
  5. 9 이 말은,생산력의 향상에 의한 부(富)의 증대가 사회적으로 어떻게 공평하게 분배될 수 있을지,즉지배층이나 부민(富民)만이 아니라 피지배층이나 빈핍(資乏)한 처지의 사회적 약자들에게 그 결실이 어떻게 돌아가게 할지,그리하여 그들의 삶의 질을 어떻게 향상시 킬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문제의식을 지칭한다.
    9 这句话指的是,如何通过生产力的提高带来的财富增长,在社会上实现公平分配的问题,即不仅统治阶层或富裕民众,而是如何让被统治阶层或贫困(资乏)处境的社会弱者也能分享成果,从而提升他们的生活质量的问题意识。
  6. 10 최남선,『朝鲜歷史講話,2,「六堂雀南善全集,1,현암사,1973,52~53면.원문에는 한자가 노 출되어 있으나 인용하면서 한글로 바꾸고 한자를 괄호 속에 병기(併記)처리하였다.원래 '조선역사강화'는 1930 년 「동아일보」에 연재된 글이다.이 글은 이듬해에 「조선역사」라는 이름으로 동명사라는 출판사에서 책으로 간행되었으며,해방 후인 1946년 2월 약간의 수 정을 더하여'신판 조선역사'라는 이름으로 재간행되었다.'북학파'라는 용어가 최남선의 이 글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은 허태용, r '북학사상'을 연구하는 시각의 전개와 재검토」( r r ^(r){ }^{\mathrm{r}} 오 늘의 동양사상 14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6,319 면)에서 처음 지적되었다.
    10 崔南善,《朝鲜历史讲话》,2,《六堂雀南善全集》,1,玄岩社,1973,52~53 页。原文中出现了汉字,但引用时改为韩文,并在括号中附注汉字。原本《朝鲜历史讲话》是 1930 年在《东亚日报》连载的文章。该文次年以《朝鲜历史》之名由同名出版社出版成书,解放后于 1946 年 2 月稍作修订,以《新版朝鲜历史》之名再版。关于“北学派”一词起源于崔南善此文的事实,最早由许泰容在《研究“北学思想”的视角展开与再检讨》( r r ^(r){ }^{\mathrm{r}} 《今日的东方思想》14,例文东方思想研究院,2006,319 页)中指出。

    11 「국역 담헌서 2 IV , 7 2 IV , 7 2IV,^(7)2 \mathrm{IV},{ }^{7} 燕涜」, r r ^(r){ }^{\mathrm{r}} 器用」,328~343면 참조.
    11 参见《国译淡轩书 2 IV , 7 2 IV , 7 2IV,^(7)2 \mathrm{IV},{ }^{7} 燕涂》, r r ^(r){ }^{\mathrm{r}} 器用》,328~343 页
  7. 12 「국역 담헌서」 IV ,「燕記」,「市肆」,309~310면.
    12 《国译淡轩书》IV,《燕记》,《市肆》,309~310 页。

    13 위의 책,311면.  13 上述书,311 页。
    14 「국역 담헌서」 IV,「燕記」,「屋宅」,321면.
    14 《国译淡轩书》IV,《燕记》,《屋宅》,321 页。
  8. 15 「국역 담헌서」IV,「燕記」,「器用」,342면,
    15 《国译淡轩书》IV,《燕记》,《器用》,342 页,

    16 위의 책, 343 면.
    16 上述书,343 页。

    17 위의 책.  17 上述书。
    18 r 18 r 18^(r)18{ }^{r} 골동품과 서화」,「북학의 2 , 128 2 , 128 _(2),128{ }_{2}, 128 면 참조.
    18 r 18 r 18^(r)18{ }^{r} 古董与书画」,「北学的 2 , 128 2 , 128 _(2),128{ }_{2}, 128 页参照。
  9. 19 1 19 1 19^(1)19{ }^{1} 국역 담헌서」 IV,「燕記」,「琉璃麈」,271~272면.
    19 1 19 1 19^(1)19{ }^{1} 国译《淡轩书》IV,「燕记」,「琉璃麈」,271~272 页

    20 「골동품과서화」,「북학의 」,128면.
    20 《古董与书画》,《北学的》,128 页。
  10. 21 '연암학파'라는 용어는 이우성,「실학연구서설」(「실학연구입문」,일조각,1973)에서 사용 된 이래로 임형택, r r ^(r){ }^{r} 연암의 경제사상과 이용후생론」( r r ^(r){ }^{r} 연암 박지원 연구」 실시학사 실학 연구총서 4,성균관대 출판부,2012)에 이르기까지 계속 사용되고 있다.
    21 “燕岩学派”这一术语自李宇成在《实学研究序说》(《实学研究入门》,一潮刻,1973 年)中使用以来,一直被林亨泽、 r r ^(r){ }^{r} 《燕岩的经济思想与利用厚生论》( r r ^(r){ }^{r} 《燕岩朴趾源研究》,实学社实学研究总书 4,成均馆大学出版社,2012 年)等人持续使用。

    22 '담연그룹'이나'담연일파'라는 용어는 담헌과 연암 간의,그리고 이들과 결속되어 있던 인 물들 간의 인간적 및 문학적 • 예술적 • 학술적 • 사상적 친밀성과 교제를 전제하는 말이 다.그렇기는 하나 이들 용어가 담헌과 연암의,그리고 담헌과 이 일파에 속한 다른 인물 들—이를테면 박제가나 이희경(李喜經)과 같은—간의 학문적.사상적 동질성까지 담 보하지는 않는다.오히려 이 용어들은 이들 일파의 학문적-사상적 동질성 여부가 아니 라,그 인간적 결속과 취미와 현실적 자세를 중시한 결과다.이 점에서 사상적 • 학문적으
    22 “淡然集团”或“淡然一派”这一术语,前提是淡轩与燕岩之间,以及他们所结盟的人物之间在人际、文学、艺术、学术和思想上的亲密关系和交往。尽管如此,这些术语并不涵盖淡轩与燕岩之间,以及淡轩与属于该派的其他人物——例如朴齐家或李喜经——之间的学术和思想上的同质性。相反,这些术语更强调的是该派的人际纽带、兴趣爱好和现实态度,而非学术和思想上的同质性。在这一点上,思想和学术方面
  11. 24 유봉학,위의 책, 19 면.
    24 柳奉学,上述书,19 页

    25 위의 책.  25 上述书籍
  12. 26 청 왕조와 중원 문물을 분리해 파악하는 시각의 단초는 멀리 김창협(金昌協)의 글 「睬薄敬之赴燕序」(「農㖩集」 권22 所收)에서도 발견되고(안대회,「조선 후기 燕行을 보는 세 가지 시선」「한국실학연구」 19,한국실학학회,2010,106면 참조),가까이는 유수원의 「汪背;권 1,「門開」에서도 발견된다.하지만 이들의 사유에는 말 그대로'단초'만 나타날 뿐 담헌에 서처럼 본격적인 의제설정(棫诲設定)이 되고 있지는 않다는 차이가 있다.김창협의 글 해 당 구절은 다음과 같다."我東僻在一隅,譺不改衣冠腆樂之雔,逐假然以小中荤自居,而视古
    26 清朝与中原文化分离理解的视角的端倪,早在金昌协的文章《睬薄敬之赴燕序》(收录于《农㖩集》卷 22)中就有所发现(参见安大会,《朝鲜后期燕行的三种视角》,《韩国实学研究》19,韩国实学学会,2010,第 106 页),近代则可见于柳秀源的《汪背》;卷 1,《门开》中。但他们的思考仅仅表现为“端倪”,并未像箕献那样形成正式的议题设定。金昌协文章中的相关段落如下:“我东偏处一隅,譺不改衣冠腆乐之雔,逐假然以小中荤自居,而视古…

    之叮微則遍参,"유수원의 글 해당 구절은 다음과 같다."是以中國,則型賢之澤,久而未㠼,
    之叮微则遍参,“유수원의 글 해당 구절은 다음과 같다.”是以中国,则型贤之泽,久而未㠼,


  13. 28 위의 책.  28 上述书籍
  14. 29 「青城集」권5,「送冬至書狀官申應教序」。  29 《青城集》卷 5,《送冬至书状官申应教序》。
    30 青城集」 30 青城集」  30「_("青城集」 ")30 「_{\text {青城集」 }} 5 , r 5 , r 5,「^(r)5, 「^{\mathrm{r}} 送徐侍郎以副价之燕序」。
  15. 31 성대중의 이 발언은 박지원이나 박제가의 영향일지 모른다.성대중은 두 사람과 친분이 있었다.하지만 설사 그렇다손 치더라도 북학론 논리구조의 최초의 공식적 제기가 성대 중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점은 인정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31 成大中这番话可能受到了朴趾源或朴齊家的影响。成大中与两人都有交情。但即便如此,也应当承认北学论逻辑结构的首次正式提出是由成大中完成的。
  16. 32 「존주론(尊周論)」,「북학의」,187~188면.
    32 《尊周论》,《北学议》,187~188 页。
  17. 33
    「燕厳集」」권6,「北學議序」,번역은 신호열 • 김명호 역,「연암집」 하,돌베개,2007,66면.「연암집」 권12,「열하일기 」,「騸迅随筆」.
    《燕严集》卷 6,《北学议序》,翻译为申浩烈·金明浩译,《燕岩集》下,돌베개,2007,66 页。《燕岩集》卷 12,《热河日记》,《騸迅随笔》。
  18. 35 아마도 「일신수펼」의 말은 박제가의 「존주론」을 부연한 것으로 보인다.
    35 也许“日新授佩”这句话是对朴齐家的《尊主论》的补充说明。

    36 이용후생에 대한 박지원의 주장은 상기 인용문에 보이고,박제가의 경우 r r ^(r){ }^{r} 북학의,자서 (自序)의 다음 말에서 확인된다."이용(利用)과 후생(厚生)은 한 가지라도 갖추어지지 않 으면 위로 정덕(正德)을 해치는 계단을 낳게 된다."
    36 关于利用厚生,朴趾源的主张见上述引文,朴齐家的情况则可从《北学》的自序中的以下话语确认:“利用和厚生若有一项不具备,便会产生损害正德的阶梯。”

    37 이에 대해서는 박희병, r r ^(r){ }^{r} 담헌 사회사상의 논리와 체계」, r r ^(r){ }^{r} 담헌 홍대용 연구 1, 성균관대 출 판부,2012,107-109면 참조.
    37 关于此点,参见朴熙炳,《담헌社会思想的逻辑与体系》,《담헌洪大容研究 1》,成均馆大学出版社,2012 年,第 107-109 页。
  19. 38 위의 글,제 3 장'「의산문답」의 사회사상 참조.
    38 以上文章,第三章“《义山问答》的社会思想”参照

    39 박지워,「연암집 2 권6,「북학의서」;박제가,「북학의」,「市井」참조.특히「市井」에서는, 소비와 생산의 관계를 우물의 물에 비유하여 말하기를,"汲則滿,廢則竭"이라고 했다.생 산 활동과 소비 행위의 확대에 대한,그리고 자연 자원에 대한 지극히 낙관적인 견해를 읽 을 수 있다.이와 달리 담헌은 자연 자원의 이용에 대해 마냥 낙관적으로만 보고 있지 않 다.담헌은 j j ^(j){ }^{\mathrm{j}} 의산문답 _(_|_){ }_{\perp} 에서 자연에 대한 인간의 착취 행위를 지극히 비판적인 눈으로 본 바 있다.그러므로 담헌에게서 인간의 생산 활동과 소비 행위는 다다익선(多多盆善)이 능 사가 아닌 것으로 될 수밖에 없다.
    39 朴志沃,《燕巖集》第二卷第 6 篇,《北学议书》;朴齊家,《北学议》,参见《市井》。特别是在《市井》中,将消费与生产的关系比作井水,称“汲则满,废则竭”。可以读出对生产活动和消费行为的扩大,以及对自然资源极为乐观的观点。与此不同,淡軒对自然资源的利用并非一味乐观。淡軒在《义山问答》中以极为批判的眼光看待人类对自然的掠夺行为。因此,在淡軒看来,人类的生产活动和消费行为不可能是多多益善的。

    40 박희병, r r ^(r){ }^{r} 담헌 사회사상의 논리와 체계」,앞의 책,124~126-159~160면 참조.
    40 朴熙炳,《淡軒社会思想的逻辑与体系》,前书,第 124~126 页、第 159~160 页参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