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주요 10개) 参考文献(主要 10 个) |
1. 최민지, 《Instagram 漫画,真实感的日常生活》,大众叙事研究,28(3),2022,页 140-163。 2. 류유희, 《关于 SNS 网络漫画中社会弱者叙事的研究》,动画研究,17(3),2021,页 100-112。 3. 이보혜, 윤기헌, 《SNS 个人媒体网络漫画的趋势:以 Instagram 漫画为中心》,釜山大学研究生院设计系,2021,页 149-160。 4. 조효예, 《社交媒体网络漫画对订阅和口碑意图的影响研究:订阅者内容沉浸和共鸣的中介效应》,汉阳大学研究生院视觉设计专业硕士学位论文,2024。 5. 주혜탁, 박찬욱, 《社交电商中用户生成内容对消费者购买意图的影响研究:以产品参与度和共鸣能力的调节效应为中心》,经营咨询研究,24(4),2024,页 1-17。 6. 딩 메이쥔, 남인용, 왕수홍, 설원원, 《社交电商用户的价值共同创造行为对平台信任、感知价值和持续使用意图的影响:以中国小红书应用为中心》,韩国数字内容学会论文集,25(7),2024,页 1963-1975。 7. 유선욱, 《对真实性研究的回顾与未来课题的探索:以传播学期刊中出现的真实性概念和尺度、研究趋势为中心》,《韩国社会科学研究》,社会科学研究所,2020,页 403-472。 8. Mark Andrejevic, 《情感经济的工作》,文化研究,25(4-5),阿宾登:泰勒与弗朗西斯集团,2011,页 604-620。 9. Sara Ahmed, 《情感经济》,社会文本,79,杜克大学出版社,2004,页 117-139。 10. Rebekka Kreling, Adrian Meier, Leonard Reinecke, 《在社交媒体上感受真实:Instagram 故事和帖子中的主观真实性》,社交媒体社会,8(1),伦敦,英格兰:SAGE 出版,2022。
1. 최민지, 『인스타툰, 정동하는 진정성의 일상』, 대중서사연구, 28(3), 2022, pp. 140-163. |
2. 류유희, 『SNS 웹툰에서 그려지는 사회적 약자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애니메이션 연구, 17(3), 2021, pp. 100-112. |
3. 이보혜, 윤기헌, 『SNS 1 인 미디어 웹툰의 흐름: 인스타툰을 중심으 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2021, pp. 149-160. |
4.조효예, 『소셜 미디어 웹툰이 구독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구독자의 콘텐츠 몰입과 공감의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시 각디자인 전공 석사학위논문, 2024. |
5.주혜탁, 박찬욱, 『소셜 커머스에서 사용자 생성 콘텐츠가 소비자의 구 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제품 관여도와 공감능력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경영컨설팅연구, 24(4), 2024, pp. 1-17. |
6.딩 메이쥔, 남인용, 왕수홍, 설원원, 『소셜 커머스 사용자의 가치 공 동창출 행동이 플랫폼 신뢰, 지각된 가치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 향: 중국 샤오홍슈 앱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5(7), 2024, pp. 1963-1975. |
7.유선욱, 「진정성 연구 고찰과 미래 과제에 대한 탐색: 커뮤니케이션 학술지에 나타난 진정성의 개념과 척도, 연구경향을 중심으로」, 『한국 사회과학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020, 403-472쪽. |
8. Mark Andrejevic, 『The Work That Affective Economics Doe S』, Cultural Studies, 25(4-5), Abingdon: Taylor & Francis Group, 2011, pp. 604-620. |
9.Sara Ahmed, 『Affective Economies』, Social Text, 79, Duke University Press, 2004, pp. 117-139 |
10.Rebekka Kreling, Adrian Meier, Leonard Reinecke, 『Feeling Authentic on Social Media: Subjective Authenticity Across Instagram Stories and Posts』, Social Media Society, 8(1), London, England: SAGE Publications, 2022. |
1. 최민지, 『인스타툰, 정동하는 진정성의 일상』, 대중서사연구, 28(3), 2022, pp. 140-163.
2. 류유희, 『SNS 웹툰에서 그려지는 사회적 약자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애니메이션 연구, 17(3), 2021, pp. 100-112.
3. 이보혜, 윤기헌, 『SNS 1 인 미디어 웹툰의 흐름: 인스타툰을 중심으 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2021, pp. 149-160.
4.조효예, 『소셜 미디어 웹툰이 구독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구독자의 콘텐츠 몰입과 공감의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시 각디자인 전공 석사학위논문, 2024.
5.주혜탁, 박찬욱, 『소셜 커머스에서 사용자 생성 콘텐츠가 소비자의 구 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제품 관여도와 공감능력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경영컨설팅연구, 24(4), 2024, pp. 1-17.
6.딩 메이쥔, 남인용, 왕수홍, 설원원, 『소셜 커머스 사용자의 가치 공 동창출 행동이 플랫폼 신뢰, 지각된 가치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 향: 중국 샤오홍슈 앱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5(7), 2024, pp. 1963-1975.
7.유선욱, 「진정성 연구 고찰과 미래 과제에 대한 탐색: 커뮤니케이션 학술지에 나타난 진정성의 개념과 척도, 연구경향을 중심으로」, 『한국 사회과학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020, 403-472쪽.
8. Mark Andrejevic, 『The Work That Affective Economics Doe S』, Cultural Studies, 25(4-5), Abingdon: Taylor & Francis Group, 2011, pp. 604-620.
9.Sara Ahmed, 『Affective Economies』, Social Text, 79, Duke University Press, 2004, pp. 117-139
10.Rebekka Kreling, Adrian Meier, Leonard Reinecke, 『Feeling Authentic on Social Media: Subjective Authenticity Across Instagram Stories and Posts』, Social Media Society, 8(1), London, England: SAGE Publications, 2022.| 1. 최민지, 『인스타툰, 정동하는 진정성의 일상』, 대중서사연구, 28(3), 2022, pp. 140-163. |
| :--- |
| 2. 류유희, 『SNS 웹툰에서 그려지는 사회적 약자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애니메이션 연구, 17(3), 2021, pp. 100-112. |
| 3. 이보혜, 윤기헌, 『SNS 1 인 미디어 웹툰의 흐름: 인스타툰을 중심으 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2021, pp. 149-160. |
| 4.조효예, 『소셜 미디어 웹툰이 구독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구독자의 콘텐츠 몰입과 공감의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시 각디자인 전공 석사학위논문, 2024. |
| 5.주혜탁, 박찬욱, 『소셜 커머스에서 사용자 생성 콘텐츠가 소비자의 구 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제품 관여도와 공감능력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경영컨설팅연구, 24(4), 2024, pp. 1-17. |
| 6.딩 메이쥔, 남인용, 왕수홍, 설원원, 『소셜 커머스 사용자의 가치 공 동창출 행동이 플랫폼 신뢰, 지각된 가치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 향: 중국 샤오홍슈 앱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5(7), 2024, pp. 1963-1975. |
| 7.유선욱, 「진정성 연구 고찰과 미래 과제에 대한 탐색: 커뮤니케이션 학술지에 나타난 진정성의 개념과 척도, 연구경향을 중심으로」, 『한국 사회과학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020, 403-472쪽. |
| 8. Mark Andrejevic, 『The Work That Affective Economics Doe S』, Cultural Studies, 25(4-5), Abingdon: Taylor & Francis Group, 2011, pp. 604-620. |
| 9.Sara Ahmed, 『Affective Economies』, Social Text, 79, Duke University Press, 2004, pp. 117-139 |
| 10.Rebekka Kreling, Adrian Meier, Leonard Reinecke, 『Feeling Authentic on Social Media: Subjective Authenticity Across Instagram Stories and Posts』, Social Media Society, 8(1), London, England: SAGE Publications, 202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