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항식은 해석학에서 등장하는 가장 단순한 함수 중 하나입니다. 수치 계산에서 다항식은 유한한 수의 곱셈과 덧셈만으로 그 값을 구할 수 있어 작업하기 편리합니다. 6장에서는 로그 함수를 원하는 정확도로 계산할 수 있게 해주는 다항식으로 근사할 수 있음을 보였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지수 함수와 삼각 함수를 비롯한 많은 다른 함수들도 다항식으로 근사할 수 있음을 보일 것입니다. 만약 함수와 그 다항식 근사 사이의 차이가 충분히 작다면, 실제 목적상 원래 함수 대신 다항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주어진 함수 ff 를 다항식으로 근사하는 방법은 근사의 용도에 따라 다양합니다. 이번 장에서는 주어진 점에서 ff 와 그 도함수들 중 일부와 일치하는 다항식을 구하는 데 관심을 둘 것입니다. 간단한 예로 논의를 시작해 보겠습니다.
ff 가 지수 함수 f(x)=e^(x)f(x)=e^{x} 라고 가정하자. 점 x=0x=0 에서 함수 ff 와 그 모든 도함수들은 값 1을 가진다. 일차 다항식
g(x)=1+xg(x)=1+x
또한 g(0)=1g(0)=1 와 g^(')(0)=1g^{\prime}(0)=1 을 가지므로, 이는 ff 와 그 첫 번째 도함수와 0에서 일치한다. 기하학적으로 이는 gg 의 그래프가 그림 7.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점 (0,1)(0,1) 에서 ff 의 접선임을 의미한다.
만약 우리가 ff 를 ff 와 그 첫 두 도함수와 0에서 일치하는 이차 다항식 QQ 로 근사한다면, 적어도 점 (0,1)(0,1) 근처에서는 일차 함수 gg 보다 더 나은 ff 의 근사값을 기대할 수 있다. 다항식
Q(x)=1+x+(1)/(2)x^(2)Q(x)=1+x+\frac{1}{2} x^{2}
은 Q(0)=Q^(')(0)=1Q(0)=Q^{\prime}(0)=1 와 Q^('')(0)=f^('')(0)=1Q^{\prime \prime}(0)=f^{\prime \prime}(0)=1 을 가진다. 그림 7.1은 QQ 의 그래프가 점 (0,1)(0,1) 근처에서 직선 y=1+xy=1+x 보다 곡선 y=e^(x)y=e^{x} 에 더 가깝게 근사함을 보여준다. 우리는 ff 와 세 번째 및 더 높은 도함수에서도 일치하는 다항식을 사용하여 근사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다항식이
그림 7.1 점 (0,1)(0,1) 근처에서 곡선 y=e^(x)y=e^{x} 에 대한 다항식 근사
이 다항식은 점 x=0x=0 에서 지수 함수와 그 첫 nn 개의 도함수와 일치합니다. 물론, 이러한 다항식을 사용하여 지수 함수의 근사값을 계산하기 전에는 근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에 대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이 특정 예제를 더 자세히 논의하기보다는, 이제 일반적인 이론으로 넘어가겠습니다.
7.2 함수에 의해 생성된 테일러 다항식
ff 가 점 x=0x=0 에서 nn 차까지의 도함수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합시다(여기서 n >= 1n \geq 1 임). 그리고 ff 와 그 첫 nn 개의 도함수가 0에서 일치하는 다항식 PP 를 찾아보려고 합니다. 충족해야 할 n+1n+1 개의 조건이 있습니다. 즉,
n+1n+1 개의 계수를 결정해야 합니다. 우리는 (7.2)의 조건들을 사용하여 이 계수들을 차례로 결정할 것입니다.
먼저, (7.3)에 x=0x=0 을 대입하면 P(0)=c_(0)P(0)=c_{0} 을 얻으므로 c_(0)=f(0)c_{0}=f(0) 입니다. 다음으로, (7.3)의 양변을 미분한 후 다시 x=0x=0 을 대입하여 P^(')(0)=c_(1)P^{\prime}(0)=c_{1} 을 구합니다. 따라서 c_(1)=f^(')(0)c_{1}=f^{\prime}(0) 입니다.
(7.3)을 다시 미분하고 x=0x=0 을 대입하면 P^('')(0)=2c_(2)P^{\prime \prime}(0)=2 c_{2} 을 얻으므로 c_(2)=f^('')(0)//2c_{2}=f^{\prime \prime}(0) / 2 입니다. kk 번 미분한 후에는 P^((k))(0)=k!c_(k)P^{(k)}(0)=k!c_{k} 을 발견하게 되며, 이는 우리에게 공식을 제공합니다.
k=0,1,2,dots,nk=0,1,2, \ldots, n 에 대해. [ k=0k=0 일 때, f^((0))(0)f^{(0)}(0) 는 f(0)f(0) 을 의미한다고 해석한다.] 이 논증은 (7.2)를 만족하는 <= n\leq n 차 다항식이 존재한다면, 그 계수들은 반드시 (7.4)로 주어져야 함을 증명한다. ( PP 의 차수는 f^((n))(0)!=0f^{(n)}(0) \neq 0 일 때만 nn 과 같다.) 역으로, (7.4)로 주어진 계수를 가진 다항식 PP 이 (7.2)를 만족함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음 정리를 얻는다.
정리 7.1. ff 를 점 x=0x=0 에서 nn 차까지의 도함수를 가진 함수라고 하자. 그러면 n+1n+1 개의 조건을 만족하는 <= n\leq n 차 다항식 PP 이 유일하게 존재한다.
같은 방식으로, x=ax=a 에서 ff 와 그 첫 nn 개의 도함수와 일치하는 <= n\leq n 차 다항식이 유일하게 존재함을 보일 수 있다. 사실, (7.3) 대신 x-ax-a 의 거듭제곱으로 PP 를 쓸 수 있으며, 앞서와 같은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함수들을 0 대신 aa 에서 평가하면, 우리는 다음 다항식에 도달한다.
그리고 이것은 영국의 수학자 브룩 테일러(Brook Taylor, 1685-1731)를 기리기 위해 테일러 다항식이라고 불립니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식 (7.5)의 다항식은 점 aa 에서 ff 에 의해 생성된 차수 nn 의 테일러 다항식이라고 말합니다.
테일러 다항식 PP 이 ff 과 nn 에 의존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표기법이 있으면 편리합니다. 우리는 이 의존성을 P=T_(n)fP=T_{n} f 또는 P=T_(n)(f)P=T_{n}(f) 라고 써서 나타낼 것입니다. 기호 T_(n)T_{n} 는 차수 nn 의 테일러 연산자라고 불립니다. 이 연산자가 함수 ff 에 적용되면, 새로운 함수 T_(n)fT_{n} f 인 차수 nn 의 테일러 다항식이 생성됩니다. 이 함수의 xx 에서의 값은 T_(n)f(x)T_{n} f(x) 또는 T_(n)[f(x)]T_{n}[f(x)] 로 표기됩니다. 만약 aa 에 대한 의존성도 나타내고 싶다면, T_(n)f(x)T_{n} f(x) 대신 T_(n)f(x;a)T_{n} f(x ; a) 라고 씁니다.
예제 1. ff 이 지수 함수인 경우, 즉 f(x)=E(x)=e^(x)f(x)=E(x)=e^{x} 인 경우, 모든 kk 에 대해 E^((k))(x)=e^(x)E^{(k)}(x)=e^{x} 이므로 E^((k))(0)=e^(0)=1E^{(k)}(0)=e^{0}=1 이며, 0에서 EE 에 의해 생성된 차수 nn 의 테일러 다항식은
예제 2. f(x)=sin xf(x)=\sin x 일 때, f^(')(x)=cos x,f^('')(x)=-sin x,f^(''')(x)=-cos xf^{\prime}(x)=\cos x, f^{\prime \prime}(x)=-\sin x, f^{\prime \prime \prime}(x)=-\cos x , f^((4))(x)=sin xf^{(4)}(x)=\sin x 등이 성립하므로 f^((2n+1))(0)=(-1)^(n)f^{(2 n+1)}(0)=(-1)^{n} 과 f^((2n))(0)=0f^{(2 n)}(0)=0 이다. 따라서 사인 함수가 0에서 생성하는 테일러 다항식에는 xx 의 홀수 거듭제곱만 나타난다. 차수가 2n+12 n+1 인 테일러 다항식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
각 테일러 다항식 T_(2n)(cos x)T_{2 n}(\cos x) 은 테일러 다항식 T_(2n+1)(sin x)T_{2 n+1}(\sin x) 의 도함수임에 유의하라. 이는 코사인 함수 자체가 사인 함수의 도함수이기 때문이다. 다음 절에서는 함수들 사이에 성립하는 특정 관계들이 그들의 테일러 다항식으로 전달됨을 배우게 될 것이다.
7.3 테일러 다항식의 미적분학
어떤 함수 ff 가 한 점 aa 에서 nn 차 도함수를 가지면, 우리는 항상 다음 공식으로 테일러 다항식 T_(n)fT_{n} f 을 만들 수 있다.
때로는 도함수 f^((k))(a)f^{(k)}(a) 의 계산이 길어질 수 있으므로, 테일러 다항식을 결정하는 대체 방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정리는 테일러 연산자의 성질을 설명하며, 주어진 테일러 다항식으로부터 새로운 테일러 다항식을 얻을 수 있게 해준다. 이 정리에서 모든 테일러 다항식은 공통점 aa 에서 생성된다고 이해된다.
(c) 적분 성질. ff 의 테일러 다항식의 부정적분은 ff 의 부정적분의 테일러 다항식이다. 더 정확히 말해, 만약 g(x)=int_(a)^(x)f(t)dtg(x)=\int_{a}^{x} f(t) d t 이라면, 우리는 다음을 얻는다.
T_(n+1)g(x)=int_(a)^(x)T_(n)f(t)dtT_{n+1} g(x)=\int_{a}^{x} T_{n} f(t) d t
증명. 각 진술 (a), (b), 또는 (c)는 동일한 차수를 가진 두 다항식을 포함하는 방정식이다. 각 진술을 증명하기 위해 우리는 단순히 왼쪽에 나타나는 다항식이 오른쪽에 나타나는 다항식과 점 aa 에서 같은 값과 같은 도함수를 가짐을 관찰한다. 그런 다음 우리는 정리 7.1의 유일성 성질을 호출한다. 다항식의 미분은 그 차수를 낮추는 반면, 적분은 차수를 증가시킨다는 점에 유의하라.
다음 정리는 테일러 다항식에서 xx 을 cxc x 로 대체할 때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 알려줍니다.
정리 7.3. 치환 성질. g(x)=f(cx)g(x)=f(c x) 이라고 하자. 여기서 cc 은 상수이다.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T_(n)g(x;a)=T_(n)f(cx;ca).T_{n} g(x ; a)=T_{n} f(c x ; c a) .
특히, a=0a=0 일 때 T_(n)g(x)=T_(n)f(cx)T_{n} g(x)=T_{n} f(c x) 이 성립한다.
T_(n)g(x;a)=sum_(k=0)^(n)(g^((k))(a))/(k!)(x-a)^(k)=sum_(k=0)^(n)(f^((k))(ca))/(k!)(cx-ca)^(k)=T_(n)f(cx;ca).T_{n} g(x ; a)=\sum_{k=0}^{n} \frac{g^{(k)}(a)}{k!}(x-a)^{k}=\sum_{k=0}^{n} \frac{f^{(k)}(c a)}{k!}(c x-c a)^{k}=T_{n} f(c x ; c a) .
e^(x)e^{x} 에 대한 테일러 다항식에서 xx 을 -x-x 로 대체하면, 우리는 다음을 발견합니다.
정리 7.4. P_(n)P_{n} 을 차수가 n >= 1n \geq 1 인 다항식이라 하자. ff 와 gg 은 0에서 nn 차까지의 도함수를 갖는 두 함수이고, 다음을 가정한다.
f(x)=P_(n)(x)+x^(n)g(x)f(x)=P_{n}(x)+x^{n} g(x)
여기서 x rarr0x \rightarrow 0 일 때 g(x)rarr0g(x) \rightarrow 0 이다. 그러면 P_(n)P_{n} 은 ff 에 의해 0에서 생성된 테일러 다항식이다.
증명. h(x)=f(x)-P_(n)(x)=x^(n)g(x)h(x)=f(x)-P_{n}(x)=x^{n} g(x) 이라 하자. 곱 x^(n)g(x)x^{n} g(x) 을 반복적으로 미분하면, hh 와 그 첫 nn 개의 도함수들은 x=0x=0 에서 0이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ff 은 P_(n)P_{n} 과 그 첫 nn 개의 도함수들을 0에서 일치시키므로, 주장대로 P_(n)=T_(n)fP_{n}=T_{n} f 이 성립한다.
모든 x!=1x \neq 1 에 대해 유효하므로, 우리는 f(x)=1//(1-x),P_(n)(x)=1+f(x)=1 /(1-x), P_{n}(x)=1+x+cdots+x^(n)x+\cdots+x^{n} , 그리고 g(x)=x//(1-x)g(x)=x /(1-x) 일 때 (7.6)이 만족됨을 알 수 있습니다. x rarr0x \rightarrow 0 일 때 g(x)rarr0g(x) \rightarrow 0 이므로, 정리 7.4는 다음과 같이 알려줍니다.
테일러 다항식 T_(3)(sin x)=x-x^(3)//3T_{3}(\sin x)=x-x^{3} / 3 !과 T_(5)(sin x)=x-x^(3)//3!+T_{5}(\sin x)=x-x^{3} / 3!+x^(5)//5x^{5} / 5 !의 그래프를 그려라. 곡선들이 xx 축과 교차하는 지점에 특히 주의하라. 이 그래프들을 f(x)=sin xf(x)=\sin x 의 그래프와 비교하라.
연습 1과 같은 방법으로 테일러 다항식 T_(2)(cos x),T_(4)(cos x)T_{2}(\cos x), T_{4}(\cos x) 및 f(x)=cos xf(x)=\cos x 을 구하시오.
연습 3부터 10까지는 주어진 조건에 따라 테일러 다항식 T_(n)f(x)T_{n} f(x) 을 구하시오. 각 경우에서 f(x)f(x) 은 f(x)f(x) 이 의미를 가지는 모든 xx 에 대해 정의된다고 가정합니다. 정리 7.2, 7.3, 7.4는 많은 경우 계산을 단순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3. T_(n)(a^(x))=sum_(k=0)^(n)((log a)^(k))/(k!)x^(k)T_{n}\left(a^{x}\right)=\sum_{k=0}^{n} \frac{(\log a)^{k}}{k!} x^{k}.
6. T_(n)[log(1+x)]=sum_(k=1)^(n)((-1)^(k+1)x^(k))/(k)T_{n}[\log (1+x)]=\sum_{k=1}^{n} \frac{(-1)^{k+1} x^{k}}{k}.
4. T_(n)((1)/(1+x))=sum_(k=0)^(n)(-1)^(k)x^(k)T_{n}\left(\frac{1}{1+x}\right)=\sum_{k=0}^{n}(-1)^{k} x^{k}.
7. T_(2n+1)(log sqrt((1+x)/(1-x)))=sum_(k=0)^(n)(x^(2k+1))/(2k+1)T_{2 n+1}\left(\log \sqrt{\frac{1+x}{1-x}}\right)=\sum_{k=0}^{n} \frac{x^{2 k+1}}{2 k+1}.
5. T_(2n+1)((x)/(1-x^(2)))=sum_(k=0)^(n)x^(2k+1)T_{2 n+1}\left(\frac{x}{1-x^{2}}\right)=\sum_{k=0}^{n} x^{2 k+1}.
8. T_(n)((1)/(2-x))=sum_(k=0)^(n)(x^(k))/(2^(k+1))T_{n}\left(\frac{1}{2-x}\right)=\sum_{k=0}^{n} \frac{x^{k}}{2^{k+1}}.
9. T_(n)[(1+x)^(alpha)]=sum_(k=0)^(n)((alpha )/(k))x^(k),quadT_{n}\left[(1+x)^{\alpha}\right]=\sum_{k=0}^{n}\binom{\alpha}{k} x^{k}, \quad 여기서 quad((alpha )/(k))=(alpha(alpha-1)cdots(alpha-k+1))/(k!)\quad\binom{\alpha}{k}=\frac{\alpha(\alpha-1) \cdots(\alpha-k+1)}{k!} .
10. T_(2n)(sin^(2)x)=sum_(k=1)^(n)(-1)^(k+1)(2^(2k-1))/((2k)!)x^(2k)T_{2 n}\left(\sin ^{2} x\right)=\sum_{k=1}^{n}(-1)^{k+1} \frac{2^{2 k-1}}{(2 k)!} x^{2 k}. [힌트: cos 2x=1-2sin^(2)x\cos 2 x=1-2 \sin ^{2} x .]
7.5 나머지 항을 포함한 테일러 공식
이제 우리는 한 점 aa 에서 함수 ff 을 테일러 다항식 T_(n)fT_{n} f 으로 근사할 때 발생하는 오차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이 오차는 차이 E_(n)(x)=E_{n}(x)=f(x)-T_(n)f(x)f(x)-T_{n} f(x) 로 정의된다. 따라서 만약 ff 가 aa 에서 nn 차 도함수를 가지면, 우리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이것은 나머지 항 E_(n)(x)E_{n}(x) 을 포함한 테일러 공식으로 알려져 있으며, E_(n)(x)E_{n}(x) 의 크기를 추정할 수 있을 때마다 유용하다. 우리는 오차를 적분으로 표현한 후 그 적분의 크기를 추정할 것이다. 주요 아이디어를 설명하기 위해, 먼저 선형 근사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고려해 보자.
정리 7.5. ff 이 a 근방에서 연속인 이계 도함수 f^('')f^{\prime \prime} 을 가진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이 근방의 모든 xx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E_(1)(x)=int_(a)^(x)(x-t)f^('')(t)dtE_{1}(x)=\int_{a}^{x}(x-t) f^{\prime \prime}(t) d t
증명. 오차의 정의로부터 우리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E_(1)(x)=f(x)-f(a)-f^(')(a)(x-a)=int_(a)^(x)f^(')(t)dt-f^(')(a)int_(a)^(x)dt=int_(a)^(x)[f^(')(t)-f^(')(a)]dtE_{1}(x)=f(x)-f(a)-f^{\prime}(a)(x-a)=\int_{a}^{x} f^{\prime}(t) d t-f^{\prime}(a) \int_{a}^{x} d t=\int_{a}^{x}\left[f^{\prime}(t)-f^{\prime}(a)\right] d t.
마지막 적분은 int_(a)^(x)udv\int_{a}^{x} u d v 으로 쓸 수 있으며, 여기서 u=f^(')(t)-f^(')(a)u=f^{\prime}(t)-f^{\prime}(a) 이고 v=t-xv=t-x 이다. 이제 du//dt=f^('')(t)d u / d t=f^{\prime \prime}(t) 과 dv//dt=1d v / d t=1 이므로, 부분적분 공식은 우리에게 다음을 제공한다
E_(1)(x)=int_(a)^(x)udv=uv|_(a)^(x)-int_(a)^(x)(t-x)f^('')(t)dt=int_(a)^(x)(x-t)f^('')(t)dtE_{1}(x)=\int_{a}^{x} u d v=\left.u v\right|_{a} ^{x}-\int_{a}^{x}(t-x) f^{\prime \prime}(t) d t=\int_{a}^{x}(x-t) f^{\prime \prime}(t) d t
왜냐하면 u=0u=0 일 때 t=at=a 이고, v=0v=0 일 때 t=xt=x 이기 때문이다. 이것으로 정리가 증명된다.
차수 nn 의 다항식 근사에 해당하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정리 7.6. ff 가 aa 를 포함하는 어떤 구간에서 n+1n+1 차 연속 도함수를 가진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이 구간에 속하는 모든 xx 에 대해 다음 테일러 공식을 얻는다.
이제 E_(n)(x)E_{n}(x) 에 대한 적분을 사용하고 (x-a)^(n+1)//(n+1)=int_(a)^(x)(x-t)^(n)dt(x-a)^{n+1} /(n+1)=\int_{a}^{x}(x-t)^{n} d t 임을 주목하여 다음을 얻습니다.
{:[E_(n+1)(x)=(1)/(n!)int_(a)^(x)(x-t)^(n)f^((n+1))(t)dt-(f^((n+1))(a))/(n!)int_(a)^(x)(x-t)^(n)dt],[=(1)/(n!)int_(a)^(x)(x-t)^(n)[f^((n+1))(t)-f^((n+1))(a)]dt]:}\begin{aligned}
E_{n+1}(x) & =\frac{1}{n!} \int_{a}^{x}(x-t)^{n} f^{(n+1)}(t) d t-\frac{f^{(n+1)}(a)}{n!} \int_{a}^{x}(x-t)^{n} d t \\
& =\frac{1}{n!} \int_{a}^{x}(x-t)^{n}\left[f^{(n+1)}(t)-f^{(n+1)}(a)\right] d t
\end{aligned}
마지막 적분은 int_(a)^(x)udv\int_{a}^{x} u d v 의 형태로 쓸 수 있으며, 여기서 u=f^((n+1))(t)-f^((n+1))(a)u=f^{(n+1)}(t)-f^{(n+1)}(a) 과 v=v=-(x-t)^(n+1)//(n+1)-(x-t)^{n+1} /(n+1) 입니다. 부분적분을 수행하고 t=at=a 일 때 u=0u=0 이며, t=xt=x 일 때 v=0v=0 임을 주목하면 다음을 발견합니다.
E_(n+1)(x)=(1)/(n!)int_(a)^(x)udv=-(1)/(n!)int_(a)^(x)vdu=(1)/((n+1)!)int_(a)^(x)(x-t)^(n+1)f^((n+2))(t)dtE_{n+1}(x)=\frac{1}{n!} \int_{a}^{x} u d v=-\frac{1}{n!} \int_{a}^{x} v d u=\frac{1}{(n+1)!} \int_{a}^{x}(x-t)^{n+1} f^{(n+2)}(t) d t
이로써 nn 에서 n+1n+1 로의 귀납적 단계가 완성되므로, 정리는 모든 n >= 1n \geq 1 에 대해 참입니다.
7.6 테일러 공식의 오차 추정치
테일러 공식에서 오차 E_(n)(x)E_{n}(x) 는 ff 의 ( n+1n+1 )차 도함수를 포함하는 적분으로 표현되었으므로, E_(n)(x)E_{n}(x) 의 크기를 추정하기 전에 f^((n+1))f^{(n+1)} 에 대한 추가 정보가 필요합니다. f^((n+1))f^{(n+1)} 의 상한과 하한이 알려져 있다면, 다음 정리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E_(n)(x)E_{n}(x) 에 대한 상한과 하한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정리 7.7. 만약 ff 의 (n+1)(n+1) 계 도함수가 다음 부등식을 만족한다면
m <= f^((n+1))(t) <= Mm \leq f^{(n+1)}(t) \leq M
aa 을 포함하는 어떤 구간 내의 모든 tt 에 대해, 이 구간 내의 모든 xx 에 대해 다음과 같은 추정치가 성립합니다:
m((x-a)^(n+1))/((n+1)!) <= E_(n)(x) <= M((x-a)^(n+1))/((n+1)!)quad" if "quad x > am \frac{(x-a)^{n+1}}{(n+1)!} \leq E_{n}(x) \leq M \frac{(x-a)^{n+1}}{(n+1)!} \quad \text { if } \quad x>a
and그리고
m((a-x)^(n+1))/((n+1)!) <= (-1)^(n+1)E_(n)(x) <= M((a-x)^(n+1))/((n+1)!)quad" if "quad x < am \frac{(a-x)^{n+1}}{(n+1)!} \leq(-1)^{n+1} E_{n}(x) \leq M \frac{(a-x)^{n+1}}{(n+1)!} \quad \text { if } \quad x<a
증명. 먼저 x > ax>a 이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E_(n)(x)E_{n}(x) 에 대한 적분은 구간 [a,x][a, x] 에 걸쳐 확장된다. 이 구간 내의 각 tt 에 대해 우리는 (x-t)^(n) >= 0(x-t)^{n} \geq 0 을 가지므로, (7.9)의 부등식은 다음과 같다.
(m)/(n!)int_(a)^(x)(x-t)^(n)dt <= E_(n)(x) <= (M)/(n!)int_(a)^(x)(x-t)^(n)dt\frac{m}{n!} \int_{a}^{x}(x-t)^{n} d t \leq E_{n}(x) \leq \frac{M}{n!} \int_{a}^{x}(x-t)^{n} d t
치환 u=x-t,du=-dtu=x-t, d u=-d t 은 우리에게 다음을 제공한다.
int_(a)^(x)(x-t)^(n)dt=int_(0)^(x-a)u^(n)du=((x-a)^(n+1))/(n+1)\int_{a}^{x}(x-t)^{n} d t=\int_{0}^{x-a} u^{n} d u=\frac{(x-a)^{n+1}}{n+1}
따라서 (7.12)는 (7.10)으로 축소된다.
만약 x < ax<a 이라면, 적분은 구간 [x,a][x, a] 에서 이루어집니다. 이 구간의 각 tt 에 대해 우리는 t >= xt \geq x 을 가지므로 (-1)^(n)(x-t)^(n)=(t-x)^(n) >= 0(-1)^{n}(x-t)^{n}=(t-x)^{n} \geq 0 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부등식 (7.9)에 음이 아닌 인자 (-1)^(n)(x-t)^(n)//n!(-1)^{n}(x-t)^{n} / n! 를 곱하고 xx 에서 aa 까지 적분하여 (7.11)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예제 1. 만약 f(x)=e^(x)f(x)=e^{x} 이고 a=0a=0 이라면, 우리는 다음 공식을 얻습니다.
f^((n+1))(x)=e^(x)f^{(n+1)}(x)=e^{x} 이므로, 도함수 f^((n+1))f^{(n+1)} 은 모든 구간에서 단조 증가하며, 따라서 [b,c][b, c] 형태의 모든 구간에서 e^(b) <= f^((n+1))(t) <= e^(c)e^{b} \leq f^{(n+1)}(t) \leq e^{c} 부등식을 만족합니다. 이러한 구간에서, 정리 7.7의 E_(n)(x)E_{n}(x) 에 대한 부등식은 m=e^(b)m=e^{b} 와 M=e^(c)M=e^{c} 로 만족됩니다. 특히, b=0b=0 일 때 우리는 다음을 얻습니다.
(x^(n+1))/((n+1)!) <= E_(n)(x) <= e^(c)(x^(n+1))/((n+1)!)quad" if "quad0 < x <= c\frac{x^{n+1}}{(n+1)!} \leq E_{n}(x) \leq e^{c} \frac{x^{n+1}}{(n+1)!} \quad \text { if } \quad 0<x \leq c
우리는 이러한 추정치를 사용하여 오일러 수 ee 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b=0,c=1b=0, c=1 , x=1x=1 를 취하고, 부등식 e < 3e<3 을 사용하여 다음을 얻습니다.
e=sum_(k=0)^(n)(1)/(k!)+E_(n)(1),quad" where "quad(1)/((n+1)!) <= E_(n)(1) < (3)/((n+1)!).e=\sum_{k=0}^{n} \frac{1}{k!}+E_{n}(1), \quad \text { where } \quad \frac{1}{(n+1)!} \leq E_{n}(1)<\frac{3}{(n+1)!} .
이를 통해 우리는 ee 을 원하는 정확도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ee 의 값을 소수점 일곱 자리까지 정확하게 구하고 싶다면, 3//(n+1)! < (1)/(2)10^(-8)3 /(n+1)!<\frac{1}{2} 10^{-8} 이 되도록 nn 을 선택합니다. 곧 알게 되겠지만, n=12n=12 이면 충분합니다. 1//n!1 / n! 의 값 표는 상대적으로 빠르게 계산될 수 있는데, 이는 1//(n-1)1 /(n-1) !을 nn 로 나누기만 하면 1//n!1 / n! 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음 3 <= n <= 123 \leq n \leq 12 에 대한 표는 이러한 숫자들을 소수점 아홉 자리까지 반올림한 값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각 경우의 "반올림 오차"는 더하기 또는 빼기 기호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는 실제 값이 기록된 값보다 큰지 작은지를 나타냅니다. (어떤 경우든 이 오차는 마지막 자리에서 반 단위 미만입니다.)
n=0,1,2n=0,1,2 에 해당하는 항들의 합은 (5)/(2)\frac{5}{2} 이다. 이를 표의 항목들의 합( n <= 12n \leq 12 에 대한)에 더하면 총 2.718281830이 된다. 반올림 오차를 고려하면, 이 합의 실제 값은 마지막 소수점 자리에서 최대 (7)/(2)\frac{7}{2} 단위만큼 이보다 작을 수 있고(7개의 마이너스 부호로 인해), 또는 최대 (3)/(2)\frac{3}{2} 단위만큼 이보다 클 수 있다(3개의 플러스 부호로 인해). 이 합을 ss 라고 하자. 그러면 이 계산을 통해 우리가 확언할 수 있는 것은 부등식 2.718281826 < s < 2.7182818322.718281826<s<2.718281832 뿐이다. 이제 오차 E_(12)(1)E_{12}(1) 에 대한 추정값은 0.000000000 <= E_(12)(1) < 0.0000000010.000000000 \leq E_{12}(1)<0.000000001 을 제공한다. e=e=s+E_(12)(1)s+E_{12}(1) 이므로, 이 계산은 ee 에 대한 다음과 같은 부등식으로 이어진다:
2.718281826 < e < 2.718281833". "2.718281826<e<2.718281833 \text {. }
이는 ee 의 값이 소수점 일곱 자리까지 정확하게 e=2.7182818e=2.7182818 임을, 또는 ee 의 값을 소수점 여덟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e=2.71828183e=2.71828183 임을 알려준다.
예제 2. ee 의 비합리성. 우리는 앞서의 오차 E_(n)(1)E_{n}(1) 에 대한 추정값을 사용하여 ee 이 비합리적임을 증명할 수 있다. 먼저 (7.13)의 부등식을 다음과 같이 다시 쓴다:
만약 n >= 3n \geq 3 이라면, 모든 nn 에 대해 kk 의 합은 정수입니다. 만약 ee 이 유리수라면, nn 을 충분히 크게 선택하여 n!en!e 도 정수가 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러면 (7.14)에 따라 이 두 정수의 차이는 (3)/(4)\frac{3}{4} 을 넘지 않는 양수가 되는데, 이는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ee 은 유리수가 될 수 없습니다.
다항식 근사는 종종 초등 함수로 직접 계산할 수 없는 적분의 근사치를 구할 수 있게 해줍니다. 유명한 예로는 확률론과 다양한 물리 문제에서 등장하는 적분
f(x)=int_(0)^(x)e^(-t^(2))dtf(x)=\int_{0}^{x} e^{-t^{2}} d t
이 있습니다. 이렇게 정의된 함수 ff 은 초등 함수가 아닌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즉, ff 은 다항식, 지수 함수, 로그 함수, 삼각 함수 또는 역삼각 함수를 유한한 단계 내에서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또는 합성 연산을 통해 얻을 수 없습니다. 이론과 실제 모두에서 자주 등장하는 다른 예로는 적분들이 있습니다.
int_(0)^(x)(sin t)/(t)dt,quadint_(0)^(x)sin(t^(2))dt,quadint_(0)^(x)sqrt(1-k^(2)sin^(2)t)dt.\int_{0}^{x} \frac{\sin t}{t} d t, \quad \int_{0}^{x} \sin \left(t^{2}\right) d t, \quad \int_{0}^{x} \sqrt{1-k^{2} \sin ^{2} t} d t .
(첫 번째 경우에서, t=0t=0 일 때 몫 (sin t)//t(\sin t) / t 은 1로 대체되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세 번째 적분에서 kk 는 상수이며 0 < k < 10<k<1 입니다.) 이번 섹션을 마무리하며, 테일러 공식을 사용하여 적분 int_(0)^(1//2)e^(-t^(2))dt\int_{0}^{1 / 2} e^{-t^{2}} d t 의 정확한 추정값을 얻는 방법을 보여주는 예제를 소개하겠습니다.
예제 3. n=4n=4 을 포함한 e^(x)e^{x} 에 대한 테일러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제 x <= 0x \leq 0 이라고 가정해 봅시다. [-c,0][-c, 0] 형태의 어떤 구간에서든 e^(-c) <= e^(x) <= 1e^{-c} \leq e^{x} \leq 1 이므로, m=e^(-c)m=e^{-c} 과 M=1M=1 을 사용하여 정리 7.7의 부등식 (7.11)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0 < (-1)^(5)E_(4)(x) <= ((-x)^(5))/(5!)quad" if "quad x < 0.0<(-1)^{5} E_{4}(x) \leq \frac{(-x)^{5}}{5!} \quad \text { if } \quad x<0 .
다시 말해, x < 0x<0 이라면 E_(4)(x)E_{4}(x) 은 음수이고 >= x^(5)//5!\geq x^{5} / 5! 입니다. (7.15)에서 xx 을 -t^(2)-t^{2} 으로 대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 -t^(10)//5! <= E_(4)(-t^(2)) < 0-t^{10} / 5!\leq E_{4}\left(-t^{2}\right)<0 . 만약 0 <= t <= (1)/(2)0 \leq t \leq \frac{1}{2} 이라면, 우리는 t^(10)//5! <= ((1)/(2))^(10)//5! < 0.000009t^{10} / 5!\leq\left(\frac{1}{2}\right)^{10} / 5!<0.000009 을 발견한다. 따라서 (7.16)을 0에서 (1)/(2)\frac{1}{2} 까지 적분하면 다음을 얻는다.
여기서 0 < theta <= 0.00000450<\theta \leq 0.0000045 . 소수점 넷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우리는 int_(0)^(1//2)e^(-t^(2))dt=0.4613\int_{0}^{1 / 2} e^{-t^{2}} d t=0.4613 을 발견한다.
*7.7 테일러 공식에서 나머지 항의 다른 형태들
우리는 테일러 공식의 오차를 적분 형태로 표현했으며,
E_(n)(x)=(1)/(n!)int_(a)^(x)(x-t)^(n)f^((n+1))(t)dtE_{n}(x)=\frac{1}{n!} \int_{a}^{x}(x-t)^{n} f^{(n+1)}(t) d t
이것은 또한 다른 여러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피적분 함수의 인자 (x-t)^(n)(x-t)^{n} 는 적분 구간에서 부호가 변하지 않으며, f^((n+1))f^{(n+1)} 은 이 구간에서 연속이므로, 적분에 대한 가중 평균값 정리(정리 3.16)에 의해 다음을 얻는다.
int_(a)^(x)(x-t)^(n)f^((n+1))(t)dt=f^((n+1))(c)int_(a)^(x)(x-t)^(n)dt=f^((n+1))(c)((x-a)^(n+1))/(n+1)\int_{a}^{x}(x-t)^{n} f^{(n+1)}(t) d t=f^{(n+1)}(c) \int_{a}^{x}(x-t)^{n} d t=f^{(n+1)}(c) \frac{(x-a)^{n+1}}{n+1}
여기서 cc 는 aa 과 xx 를 연결하는 닫힌 구간 내에 존재한다. 따라서 오차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이것을 라그랑주 나머지 형태라고 부른다. 이는 테일러 공식의 앞선 항들과 유사하지만, 도함수 f^((n+1))(c)f^{(n+1)}(c) 가 aa 가 아닌 알려지지 않은 점 cc 에서 계산된다는 점이 다르다. 점 cc 은 xx 와 nn 뿐만 아니라 ff 에도 의존한다.
다른 유형의 논증을 사용하여, f^((n+1))f^{(n+1)} 에 대한 연속성 요구 사항을 제거하고 더 약한 가정 하에서 라그랑주 공식과 나머지의 다른 형태들을 유도할 수 있다. f^((n+1))f^{(n+1)} 이 점 aa 을 포함하는 어떤 열린 구간( h,kh, k )에서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f^((n))f^{(n)} 가 닫힌 구간 [h,k][h, k] 에서 연속이라고 가정하자. [h,k][h, k] 내의 임의의 x!=ax \neq a 을 선택한다. 간단히 말해 x > ax>a 이라고 하자. xx 를 고정하고 구간 [a,x][a, x] 에서 새로운 함수 FF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F(x)=f(x)F(x)=f(x) 와 F(a)=T_(n)f(x;a)F(a)=T_{n} f(x ; a) 이므로 F(x)-F(a)=E_(n)(x)F(x)-F(a)=E_{n}(x) 입니다. 함수 FF 은
닫힌 구간 [a,x][a, x] 에서 연속이고 열린 구간 ( a,xa, x )에서 미분 가능합니다. F(t)F(t) 을 정의하는 합의 각 항이 곱셈 형태임을 염두에 두고 F^(')(t)F^{\prime}(t) 을 계산하면, 모든 항이 상쇄되고 하나의 항만 남아 다음 방정식을 얻습니다.
GG 을 다양한 값으로 선택함으로써 오차를 여러 형태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G(t)=(x-t)^(n+1)G(t)=(x-t)^{n+1} 을 선택하면 라그랑주 형태를 얻습니다.
E_(n)(x)=(f^((n+1))(c))/((n+1)!)(x-a)^(n+1),quad" where "quad a < c < x.E_{n}(x)=\frac{f^{(n+1)}(c)}{(n+1)!}(x-a)^{n+1}, \quad \text { where } \quad a<c<x .
G(t)=x-tG(t)=x-t 을 선택하면 나머지 항의 코시 형태라고 불리는 또 다른 공식을 얻습니다.
E_(n)(x)=(f^((n+1))(c))/(n!)(x-c)^(n)(x-a),quad" where "quad a < c < x.E_{n}(x)=\frac{f^{(n+1)}(c)}{n!}(x-c)^{n}(x-a), \quad \text { where } \quad a<c<x .
만약 G(t)=(x-t)^(p)G(t)=(x-t)^{p} , 여기서 p >= 1p \geq 1 인 경우, 우리는 다음 공식을 얻습니다.
E_(n)(x)=(f^((n+1))(c))/(n!p)(x-c)^(n+1-p)(x-a)^(p),quad" where "quad a < c < x.E_{n}(x)=\frac{f^{(n+1)}(c)}{n!p}(x-c)^{n+1-p}(x-a)^{p}, \quad \text { where } \quad a<c<x .
7.8 Exercises7.8 연습문제
테일러 공식과 나머지 항의 예시가 연습 문제 1, 2, 3에 주어져 있습니다. 각 경우에 오차가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함을 증명하세요.
차이( r^(2)-arctan rr^{2}-\arctan r )는 양인가 음인가? 추론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라.
6. Prove that int_(0)^(1)(1+x^(30))/(1+x^(60))dx=1+(c)/( 31),quad\int_{0}^{1} \frac{1+x^{30}}{1+x^{60}} d x=1+\frac{c}{31}, \quad where quad0 < c < 1\quad 0<c<1. 6. int_(0)^(1)(1+x^(30))/(1+x^(60))dx=1+(c)/( 31),quad\int_{0}^{1} \frac{1+x^{30}}{1+x^{60}} d x=1+\frac{c}{31}, \quad 임을 증명하라, 여기서 quad0 < c < 1\quad 0<c<1 .
7. Prove that 0.493948 < int_(0)^(1//2)(1)/(1+x^(4))dx < 0.4939580.493948<\int_{0}^{1 / 2} \frac{1}{1+x^{4}} d x<0.493958. 7. 0.493948 < int_(0)^(1//2)(1)/(1+x^(4))dx < 0.4939580.493948<\int_{0}^{1 / 2} \frac{1}{1+x^{4}} d x<0.493958 임을 증명하라.
8. (a) 만약 0 <= x <= (1)/(2)0 \leq x \leq \frac{1}{2} 이면, sin x=x-x^(3)//3!+r(x)\sin x=x-x^{3} / 3!+r(x) 임을 보이시오. 여기서 |r(x)| <= ((1)/(2))^(5)//5|r(x)| \leq\left(\frac{1}{2}\right)^{5} / 5 !.
(b) (a) 부분의 추정치를 이용하여 적분 int_(0)^(sqrt2//2)sin(x^(2))dx\int_{0}^{\sqrt{2} / 2} \sin \left(x^{2}\right) d x 의 근사값을 구하시오. 오차에 대한 추정치도 반드시 제시하시오.
9. sin x\sin x 에 대한 테일러 공식의 처음 세 개의 0이 아닌 항을 사용하여 적분 int_(0)^(1)(sin x)//xdx\int_{0}^{1}(\sin x) / x d x 의 근사값을 구하고 오차에 대한 추정치를 제시하시오. [ x=0x=0 일 때 몫 (sin x)//x(\sin x) / x 이 1임을 이해하시오.]
10. 이 연습문제는 테일러 공식을 사용하여 pi\pi 을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이는 연습문제 3에서 주어진 arctan xx 의 테일러 공식을 기반으로 합니다. pi\pi 이 약 3.2이므로 (1)/(4)pi\frac{1}{4} \pi 은 약 0.8 또는 (4)/(5)\frac{4}{5} 이고, 이는 약 4arctan((1)/(5))4 \arctan \frac{1}{5} 임을 이용합니다. alpha=arctan((1)/(5)),beta=4alpha-(1)/(4)pi\alpha=\arctan \frac{1}{5}, \beta=4 \alpha-\frac{1}{4} \pi 이라 합시다.
(a) Use the identity tan(A+B)=(tan A+tan B)//(1-tan A tan B)\tan (A+B)=(\tan A+\tan B) /(1-\tan A \tan B) with A=B=alphaA=B=\alpha and then again with A=B=2alphaA=B=2 \alpha to get tan 2alpha=(5)/(12)\tan 2 \alpha=\frac{5}{12} and tan 4alpha=(120)/(119)\tan 4 \alpha=\frac{120}{119}. Then use the identity once more with A=4alpha,B=-(1)/(4)piA=4 \alpha, B=-\frac{1}{4} \pi to obtain tan beta=(1)/(239)\tan \beta=\frac{1}{239}. This yields the following remarkable identity discovered in 1706 by John Machin (1680-1751): (a) A=B=alphaA=B=\alpha 과 함께 tan(A+B)=(tan A+tan B)//(1-tan A tan B)\tan (A+B)=(\tan A+\tan B) /(1-\tan A \tan B) 항등식을 사용하고, 다시 A=B=2alphaA=B=2 \alpha 과 함께 사용하여 tan 2alpha=(5)/(12)\tan 2 \alpha=\frac{5}{12} 과 tan 4alpha=(120)/(119)\tan 4 \alpha=\frac{120}{119} 을 얻는다. 그런 다음 A=4alpha,B=-(1)/(4)piA=4 \alpha, B=-\frac{1}{4} \pi 과 함께 한 번 더 항등식을 사용하여 tan beta=(1)/(239)\tan \beta=\frac{1}{239} 을 얻는다. 이는 1706년 John Machin(1680-1751)이 발견한 다음과 같은 놀라운 항등식을 제공한다:
(b) Use the Taylor polynomial T_(11)(arctan x)T_{11}(\arctan x) with x=(1)/(5)x=\frac{1}{5} to show that (b) 테일러 다항식 T_(11)(arctan x)T_{11}(\arctan x) 을 x=(1)/(5)x=\frac{1}{5} 과 함께 사용하여 다음을 보이세요:
xx 를 aa 주변의 어떤 닫힌 구간 [a-c,a+c][a-c, a+c] 으로 제한하고, 이 구간에서 f^((n+1))f^{(n+1)} 이 연속이라고 가정합시다. 그러면 f^((n+1))f^{(n+1)} 는 이 구간에서 유계이므로 다음과 같은 형태의 부등식을 만족합니다.
|f^((n+1))(t)| <= M,\left|f^{(n+1)}(t)\right| \leq M,
여기서 M > 0M>0 입니다. 따라서 정리 7.7에 의해 다음과 같은 오차 추정을 얻을 수 있습니다.
|E_(n)(x)| <= M(|x-a|^(n+1))/((n+1)!)\left|E_{n}(x)\right| \leq M \frac{|x-a|^{n+1}}{(n+1)!}
각 xx 에 대해 [a-c,a+c][a-c, a+c] 안에 있다. 만약 x!=ax \neq a 를 유지하고 이 부등식을 |x-a|^(n)|x-a|^{n} 으로 나누면, 우리는 다음을 발견한다.
이제 x rarr ax \rightarrow a 을 취하면, E_(n)(x)//(x-a)^(n)rarr0E_{n}(x) /(x-a)^{n} \rightarrow 0 임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이 오차 E_(n)(x)E_{n}(x) 가 x rarr ax \rightarrow a 에 대해 (x-a)^(n)(x-a)^{n} 보다 더 작은 차수라고 말함으로써 이를 설명한다.
다시 말해, 명시된 조건 하에서 f(x)f(x) 은 aa 근처에서 nn 차수의 (x-a)(x-a) 다항식으로 근사될 수 있으며, 이 근사의 오차는 x rarr ax \rightarrow a 에 대해 (x-a)^(n)(x-a)^{n} 보다 더 작은 차수이다.
1909년 E. Landau에 의해 도입된 특별한 표기법 †\dagger 은 특히 테일러 공식과 관련하여 사용될 때 매우 적절하다. 이것은 oo -표기법(리틀-오 표기법)이라고 불리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정의. aa 를 포함하는 어떤 구간에서 모든 x!=ax \neq a 에 대해 g(x)!=0g(x) \neq 0 라고 가정하자. 다음 표기법
f(x)=o(g(x))quad" as "quad x rarr af(x)=o(g(x)) \quad \text { as } \quad x \rightarrow a
기호 f(x)=o(g(x))f(x)=o(g(x)) 는 " f(x)f(x) 은 g(x)g(x) 의 리틀 오이다" 또는 " f(x)f(x) 은 g(x)g(x) 보다 더 작은 차수이다"라고 읽으며, xx 가 a,f(x)a, f(x) 근처에서 g(x)g(x) 에 비해 작다는 개념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예제 1. x rarr ax \rightarrow a 일 때 f(x)=o(1)f(x)=o(1) 는 x rarr ax \rightarrow a 일 때 f(x)rarr0f(x) \rightarrow 0 를 의미한다.
예제 2. f(x)=o(x)f(x)=o(x) 가 x rarr0x \rightarrow 0 일 때 (f(x))/(x)rarr0\frac{f(x)}{x} \rightarrow 0 는 x rarr0x \rightarrow 0 을 의미한다.
f(x)=h(x)+o(g(x))f(x)=h(x)+o(g(x)) 형태의 방정식은 f(x)-h(x)=f(x)-h(x)=o(g(x))o(g(x)) 또는 다른 말로 [f(x)-h(x)]//g(x)rarr0[f(x)-h(x)] / g(x) \rightarrow 0 이 x rarr ax \rightarrow a 일 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제 3. (sin x-x)/(x)=(sin x)/(x)-1rarr0\frac{\sin x-x}{x}=\frac{\sin x}{x}-1 \rightarrow 0 이 x rarr0x \rightarrow 0 일 때 sin x=x+o(x)\sin x=x+o(x) 이 성립하므로 우리는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테일러 공식의 오차에 대한 앞서 언급한 설명들은 이제 oo 표기법으로 표현될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f(x)=sum_(k=0)^(n)(f^((k))(a))/(k!)(x-a)^(k)+o((x-a)^(n))quad" as "quad x rarr a,f(x)=\sum_{k=0}^{n} \frac{f^{(k)}(a)}{k!}(x-a)^{k}+o\left((x-a)^{n}\right) \quad \text { as } \quad x \rightarrow a,
도함수 f^((n+1))f^{(n+1)} 가 점 aa 을 포함하는 어떤 닫힌 구간에서 연속일 때마다 성립한다. 이는 오차 항이 xx 이 aa 에 가까울 때 (x-a)^(n)(x-a)^{n} 에 비해 작다는 사실을 간결하게 표현한 것이다. 특히 앞서 논의한 내용으로부터, oo -표기법으로 표현된 테일러 공식의 몇 가지 예시를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1)/(1-x)=1+x+x^(2)+cdots+x^(n)+o(x^(n))quad" as "quad x rarr0],[log(1+x)=x-(x^(2))/(2)+(x^(3))/(3)-(x^(4))/(4)+cdots+(-1)^(n-1)(x^(n))/(n)+o(x^(n))quad" as "quad x rarr0],[e^(x)=1+x+(x^(2))/(2!)+cdots+(x^(n))/(n!)+o(x^(n))quad" as "quad x rarr0],[sin x=x-(x^(3))/(3!)+(x^(5))/(5!)-(x^(7))/(7!)+cdots+(-1)^(n-1)(x^(2n-1))/((2n-1)!)+o(x^(2n))quad" as "quad x rarr0],[cos x=1-(x^(2))/(2!)+(x^(4))/(4!)-(x^(6))/(6!)+cdots+(-1)^(n)(x^(2n))/((2n)!)+o(x^(2n+1))quad" as "quad x rarr0],[arctan x=x-(x^(3))/(3)+(x^(5))/(5)-(x^(7))/(7)+cdots+(-1)^(n-1)(x^(2n-1))/(2n-1)+o(x^(2n))quad" as "quad x rarr0]:}\begin{aligned}
\frac{1}{1-x} & =1+x+x^{2}+\cdots+x^{n}+o\left(x^{n}\right) \quad \text { as } \quad x \rightarrow 0 \\
\log (1+x) & =x-\frac{x^{2}}{2}+\frac{x^{3}}{3}-\frac{x^{4}}{4}+\cdots+(-1)^{n-1} \frac{x^{n}}{n}+o\left(x^{n}\right) \quad \text { as } \quad x \rightarrow 0 \\
e^{x} & =1+x+\frac{x^{2}}{2!}+\cdots+\frac{x^{n}}{n!}+o\left(x^{n}\right) \quad \text { as } \quad x \rightarrow 0 \\
\sin x & =x-\frac{x^{3}}{3!}+\frac{x^{5}}{5!}-\frac{x^{7}}{7!}+\cdots+(-1)^{n-1} \frac{x^{2 n-1}}{(2 n-1)!}+o\left(x^{2 n}\right) \quad \text { as } \quad x \rightarrow 0 \\
\cos x & =1-\frac{x^{2}}{2!}+\frac{x^{4}}{4!}-\frac{x^{6}}{6!}+\cdots+(-1)^{n} \frac{x^{2 n}}{(2 n)!}+o\left(x^{2 n+1}\right) \quad \text { as } \quad x \rightarrow 0 \\
\arctan x & =x-\frac{x^{3}}{3}+\frac{x^{5}}{5}-\frac{x^{7}}{7}+\cdots+(-1)^{n-1} \frac{x^{2 n-1}}{2 n-1}+o\left(x^{2 n}\right) \quad \text { as } \quad x \rightarrow 0
\end{aligned}
테일러 근사 계산에서는 종종 oo -기호를 포함하는 여러 항을 결합해야 할 필요가 생긴다. 다음 정리에서는 oo -기호를 조작하기 위한 몇 가지 간단한 규칙을 다룬다. 이는 실제로 발생하는 대부분의 상황을 포괄한다.
증명. (a) 부분의 명제는 f_(1)(x)=o(g(x))f_{1}(x)=o(g(x)) 이고 f_(2)(x)=o(g(x))f_{2}(x)=o(g(x)) 이면 f_(1)(x)+-f_(2)(x)=o(g(x))f_{1}(x) \pm f_{2}(x)=o(g(x)) 이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이해된다. 그러나 우리는
을 사용하고, 여기서 uu 을 g(x)g(x) 로 대체한 후 x rarr ax \rightarrow a 일 때 (g(x))/(1+g(x))rarr0\frac{g(x)}{1+g(x)} \rightarrow 0 이 됨을 주목한다.
예제 1. tan x=x+(1)/(3)x^(3)+o(x^(3))\tan x=x+\frac{1}{3} x^{3}+o\left(x^{3}\right) 일 때 x rarr0x \rightarrow 0 임을 증명하라.
풀이. 사인과 코사인의 테일러 근사를 사용한다. 정리 7.8의 (e) 부분에서 g(x)=-(1)/(2)x^(2)+o(x^(3))g(x)=-\frac{1}{2} x^{2}+o\left(x^{3}\right) 을 대입하면 다음을 얻는다.
(1)/(cos x)=(1)/(1-(1)/(2)x^(2)+o(x^(3)))=1+(1)/(2)x^(2)+o(x^(2))quad" as "quad x rarr0.\frac{1}{\cos x}=\frac{1}{1-\frac{1}{2} x^{2}+o\left(x^{3}\right)}=1+\frac{1}{2} x^{2}+o\left(x^{2}\right) \quad \text { as } \quad x \rightarrow 0 .
예제 2. (1+x)^(1//x)=e*(1-(x)/(2)+(11x^(2))/(24)+o(x^(2)))quad(1+x)^{1 / x}=e \cdot\left(1-\frac{x}{2}+\frac{11 x^{2}}{24}+o\left(x^{2}\right)\right) \quad 일 때 quad x rarr0\quad x \rightarrow 0 임을 증명하라.
해답. (1+x)^(1//x)=e^((1//x)log(1+x))(1+x)^{1 / x}=e^{(1 / x) \log (1+x)} 이므로, log(1+x)\log (1+x) 에 대한 다항식 근사부터 시작합니다. 3차 근사를 취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 u=-x//2+x^(2)//3+o(x^(2))u=-x / 2+x^{2} / 3+o\left(x^{2}\right) 입니다. 그러나 u rarr0u \rightarrow 0 일 때 e^(u)=1+u+(1)/(2)u^(2)+o(u^(2))e^{u}=1+u+\frac{1}{2} u^{2}+o\left(u^{2}\right) 이므로, 우리는 다음을 얻습니다.
해결. 이 문제는 분자와 분모의 극한을 따로 계산해서 풀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분모는 0에 수렴하고 극한에 대한 몫 정리가 적용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 분자도 0에 수렴하며, 이 몫은 x rarr0x \rightarrow 0 일 때 "부정형 0//00 / 0 "을 가진다고 말합니다. 테일러 공식과 oo 표기법은 종종 이와 같은 부정형의 극한을 매우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게 해줍니다. 핵심 아이디어는 분자 a^(x)-b^(x)a^{x}-b^{x} 을 xx 의 다항식으로 근사한 다음, xx 으로 나누고 x rarr0x \rightarrow 0 으로 보내는 것입니다. 우리는 f(x)=a^(x)-b^(x)f(x)=a^{x}-b^{x} 에 직접 테일러 공식을 적용할 수도 있지만, a^(x)=e^(x log a)a^{x}=e^{x \log a} 과 b^(x)=e^(x log b)b^{x}=e^{x \log b} 이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지수 함수에 대해 이미 유도된 다항식 근사를 사용하는 것이 더 간단합니다. 선형 근사부터 시작한다면
e^(t)=1+t+o(t)quad" as "quad t rarr0e^{t}=1+t+o(t) \quad \text { as } \quad t \rightarrow 0
tt 을 각각 x log ax \log a 과 x log bx \log b 으로 대체하면, 우리는 다음을 발견한다.
a^(x)=1+x log a+o(x)quad" and "quadb^(x)=1+x log b+o(x)quad" as "quad x rarr0.a^{x}=1+x \log a+o(x) \quad \text { and } \quad b^{x}=1+x \log b+o(x) \quad \text { as } \quad x \rightarrow 0 .
여기서 우리는 o(x log a)=o(x)o(x \log a)=o(x) 과 o(x log b)=o(x)o(x \log b)=o(x) 이라는 사실을 사용했다. 이제 빼고 o(x)-o(x)=o(x)o(x)-o(x)=o(x) 임을 주목하면, 우리는 a^(x)-b^(x)=x(log a-log b)+o(x)a^{x}-b^{x}=x(\log a-\log b)+o(x) 을 발견한다. xx 으로 나누고 관계식 o(x)//x=o(1)o(x) / x=o(1) 을 사용하면, 우리는 다음을 얻는다.
(a^(x)-b^(x))/(x)=log((a)/(b))+o(1)rarr log((a)/(b))quad" as "quad x rarr0.\frac{a^{x}-b^{x}}{x}=\log \frac{a}{b}+o(1) \rightarrow \log \frac{a}{b} \quad \text { as } \quad x \rightarrow 0 .
(1)/(x)(cot x-(1)/(x))=-(1)/(3)+o(1)rarr-(1)/(3)quad" as "quad x rarr0\frac{1}{x}\left(\cot x-\frac{1}{x}\right)=-\frac{1}{3}+o(1) \rightarrow-\frac{1}{3} \quad \text { as } \quad x \rightarrow 0
예제 3. 모든 실수 aa 에 대해 lim_(x rarr0)(log(1+ax))/(x)=a quad\lim _{x \rightarrow 0} \frac{\log (1+a x)}{x}=a \quad 임을 증명하시오.
풀이. a=0a=0 인 경우, 결과는 자명하게 성립합니다. a!=0a \neq 0 인 경우, 우리는 선형 근사 log(1+x)=x+o(x)\log (1+x)=x+o(x) 를 사용합니다. xx 을 axa x 로 대체하면, log(1+ax)=ax+o(ax)=\log (1+a x)=a x+o(a x)=ax+o(x)a x+o(x) 을 얻습니다. xx 로 나누고 x rarr0x \rightarrow 0 로 극한을 취하면, 극한값 aa 을 얻습니다.
P(x)P(x) 이 x rarr0x \rightarrow 0 일 때 2^(x)=P(x)+o(x^(2))2^{x}=P(x)+o\left(x^{2}\right) 이 되는 이차 다항식을 구하시오.
P(x)P(x) 이 x rarr1x \rightarrow 1 일 때 x cos x=P(x)+o((x-1)^(3))x \cos x=P(x)+o\left((x-1)^{3}\right) 이 되는 삼차 다항식을 구하시오.
P(x)P(x) 이 x rarr0x \rightarrow 0 일 때 sin(x-x^(2))=P(x)+o(x^(6))\sin \left(x-x^{2}\right)=P(x)+o\left(x^{6}\right) 이 되는 최소 차수의 다항식을 구하시오.
a,b,ca, b, c 이 x rarr1x \rightarrow 1 일 때 log x=a+b(x-1)+c(x-1)^(2)+o((x-1)^(2))\log x=a+b(x-1)+c(x-1)^{2}+o\left((x-1)^{2}\right) 이 되는 상수들을 구하시오.
cos x=1-(1)/(2)x^(2)+o(x^(3))\cos x=1-\frac{1}{2} x^{2}+o\left(x^{3}\right) 이 x rarr0x \rightarrow 0 일 때 cos x=1-(1)/(2)x^(2)+o(x^(3))\cos x=1-\frac{1}{2} x^{2}+o\left(x^{3}\right) 이 x^(-2)(1-cos x)rarr(1)/(2)x^{-2}(1-\cos x) \rightarrow \frac{1}{2} 으로 수렴함을 증명하라. 같은 방법으로 x^(-4)(1-cos 2x-2x^(2))x^{-4}\left(1-\cos 2 x-2 x^{2}\right) 이 x rarr0x \rightarrow 0 일 때의 극한을 구하라.
30. 상수 aa 이 어떤 값일 때 x^(-2)(e^(ax)-e^(x)-x)x^{-2}\left(e^{a x}-e^{x}-x\right) 이 x rarr0x \rightarrow 0 으로 유한한 극한에 수렴하는가? 이 극한값은 무엇인가?
31. 0을 포함하는 어떤 구간에서 도함수를 갖는 두 함수 ff 과 gg 이 주어졌으며, gg 은 양수이다. 또한 x rarr0x \rightarrow 0 일 때 f(x)=o(g(x))f(x)=o(g(x)) 이라고 가정하자. 다음 명제들을 증명하거나 반증하라:
(a) int_(0)^(x)f(t)dt=o(int_(0)^(x)g(t)dt)\int_{0}^{x} f(t) d t=o\left(\int_{0}^{x} g(t) d t\right) as x rarr0x \rightarrow 0, (a) x rarr0x \rightarrow 0 일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