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암의 문학사상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기존 연구의 주된 흐름은,주자사상 1 )에서 탈피한"實學"의 일환이 라는 관점에서 연암 문학사상의 진보성(=근대성)을 부각하려는 것이었다. 본고에서는 연암 문학사상의 본질과 그 문학사적 의의에 대해 먼저 살펴 본 다음,이에 근거하여 주자사상과의 관련 문제를 再檢討해 보고자 한다. 关于燕岩的文学思想,迄今已有诸多活跃的研究。现有研究的主要脉络,是从摆脱朱子思想 1)的"实学"组成部分这一视角,试图凸显燕岩文学思想的进步性(=近代性)。本文拟先考察燕岩文学思想的本质及其文学史意义,继而以此为基础重新审视其与朱子思想的关联问题
그런데 연암의 문학사상,나아가 조선후기 실학에 관한 종래의 연구는思想史豆 單線的으로 파악하는 경향이 없지 않았다고 생각된다.주자사상 과 실학을 不連續性의 면에서만 파악하여 양자의 관계를 단절함으로써 실 학의'근대성'을 부각하려는 경향은,양자를 連續性의 측면에서만 파악하 여 실학이라는 개념의 성립 자체를 懷疑하는 견해와 마찬가지로 一面的이 라 하지 않을 수 없다. 然而,对于燕岩的文学思想乃至朝鲜后期实学的既有研究,往往倾向于从思想史角度进行单线式把握。仅从不连续性的层面来理解朱子思想与实学的关系,从而割裂二者联系以凸显实学"近代性"的倾向,与仅从连续性角度把握而质疑实学概念成立本身的观点一样,都难免失之片面。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의식하여,본고에서는 주자사상에 대한 연암 문학 사상의 관련양상을(A)부정•비판,(B)긍정•답습,(C)창의적 수용의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2)){ }^{2)} 이 중 (B)(\mathrm{B}) 와 (C)(\mathrm{C}) 는 주자사상의 䋖 基于对此问题的认识,本文拟将燕岩文学思想与朱子思想的关联形态划分为:(A)否定批判、(B)肯定因袭、(C)创造性接受三种类型进行考察。其中 (B)(\mathrm{B}) 与 (C)(\mathrm{C}) 在继承朱子思想这点上具有共性,但不应将其简单视为"朱子思想残余"的现象。
承이라는 점에서 공통되지만,이들을 일률적으로 ‘주자사상의 殘滓’가 남 아 있는 현상으로 간주해서는 안 되리라 본다.또한(A)와(C)는 주자사 상의 克服을 지향하는 점에서 공통되지만,그 극복 방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대체로 보아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주자사상의 内部에서 출발하여 그 한계를 발전적으로 극복하고자 한 (C)(\mathrm{C}) 의 경우를 간과해 왔던 것이 아 닌가 한다. 虽然(A)与(C)在克服朱子思想的目标上存在共性,但其超越方式存在差异。总体而言,既往研究往往忽略了 (C)(\mathrm{C}) 这类从朱子思想内部出发,试图通过发展性突破其局限的案例。
2.연암 문학사상의 본질과 문학사적 의의 2. 燕岩文学思想的本质及其文学史意义
연암의 문학사상은 초시대적인 문학 일반론의 차원이 아니라,조선후기 한문학의 구체적인 전개 과정 속에서 철저히 역사석으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연암 문학사상의 핵심은"法战新"이라는 명제로 요약할 수 있 다.이러한 그의 법고창신론은 明术 清初 중국의 齐風 변화와 그에 영향 반은 당시 조선 문단의 동향을 깊이 의식한 위에서 창안된 이론이다. 燕巖的文学思想不应停留在超时代的文学一般论层面,而应在朝鲜后期汉文学的具体发展过程中进行彻底的历史性把握。燕巖文学思想的核心可概括为"法古创新"这一命题。他这种法古创新论,是在深刻意识到明清之际中国文风变化及其对当时朝鲜文坛产生影响的基础上所创立的学说
「楚」集㡯」에서 연암은 明代 문학에 대해,法古派와 創新派로 분열하여 다투다가 둘 다"未뻐의 顀㕍"로 타락했다고 비판하였다.3)여기서 법고파 란 擬古:義를 제창한 前後七子를,창신파란 晚明의 公安派를 주로 지칭 한 것이다.그 중에서 전후 칠자의 문학은 角垌朝 이후 국내에 소개되어, 연암 當代에 이르도록 의고주의 문풍의 성행을 초래하였다.그러나 한편 으로 공안파의 문학이 뒤이어 유입되었을 뿐만 아니라,清朝 문단의 反의 고주의적 즈류가 국내에 알려지면서,종래의 의그주의 문풍에 대해 반성 의 기운이 일기 시작하였다.이와 같은 문학사의 추이를 배겅으로,연암은 당시 문단에서"법고"조 고문의 피상적인 모방만을 추구한 경향과"창 신"곧 현대적이고 참신한 표현만을 추기하는 경향이 대립하고 있음을 문 제시하고,양자의 한계른 변중법석으로 지양한 새로운 义而을 제시하고자 在《楚亭集》中,燕岩批评明代文学分裂为复古派与革新派相互争斗,最终都堕落为"未流之弊"。此处复古派主要指倡导拟古主义的前后七子,革新派则侧重晚明的公安派。其中前后七子的文学自朝鲜中期传入国内,直至燕岩时代仍盛行拟古文风。然而随着公安派文学相继传入,加之清朝文坛反拟古思潮的影响,国内开始对既有拟古文风进行反思。基于这种文学史流变,燕岩敏锐指出当时文坛存在两种对立倾向:或拘泥于"法古"而止步于古文形貌的摹拟,或标榜"创新"而一味追求现代表达的新奇。他通过辩证分析二者的局限,试图提出超越其上的新文道
했던 것이다. 《燕巖文学思想的性质——与朱子思想的关系》
이러한 법고창신론을 통해 연암이 창신 일변도의 作風에 대해서도 비 판을 가한 것은 사실이지만,그가 비판의 주 대상으로 삼은 것은 의고주 의적 문풍이었다.이 점에서 볼 때 연암의 문학사상이 공안파의 대표적 문인 袁広道의 문학사상과 현저한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음은 우연한 현상 이 아니다.이는 연암이 원굉도로부터 영향을 반은 결과로 해석될 여지도 있겠으나,4)그보다는 두 사람이 도두'의고주의의 극복'이라는 동일한 문 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새로운 女論을 모색한 결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그 러므로 연암과 원굉도의 문학사상을 비교 고찰하더라도 일부 논자처럼 양 자의 유사성에만 주목하여 영향관계를 단정하는 데 그칠 것이 아니라, 7 에 못지 않게 양자의 차이점에 대해서도 주목해야 하리라 본다.원굉도와 동일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했으되,그와는 다른 독자적인 문학사상을 정립 한 측면을 아울러 규명할 때,연암과 원굉도의 문학사상에 대한 비교 고 찰은 연암 문학사상의 특질을 銳角的으로 드러내는 하나의 효과적인 방법 이 될 수 있을 것이다. 通过这种法古创新论,燕岩确实对一味创新的作风也有所批判,但他主要的批判对象是拟古主义的文风。从这一点来看,燕岩的文学思想与公安派代表文人袁宏道的文学思想展现出显著相似性,这绝非偶然现象。虽然可以解释为燕岩受到袁宏道影响的结果,但更应当认为这是两人都从"克服拟古主义"这一共同问题意识出发,探索新文论所产生的共鸣。因此,在比较考察燕岩与袁宏道的文学思想时,不应像某些论者那样仅着眼于二者的相似性而草率断定影响关系,同时也要充分关注两者的差异。当我们在确认燕岩虽与袁宏道具有相同问题意识、却建立起不同独创性文学思想这一面向时,对两者文学思想的比较考察将成为锐利揭示燕岩文学思想特质的一个有效方法
연암과 원굉도는 의고주의 비판의 논리와'창신'의 방법론에 있어서 유 사성을 보여준다.첫째,의고주의가 전제하고 있는'情古聀今'의 復古史觀 에 대해"古"와 ‘⼋’의 구분이란 어디까지나 相對的 流動的임을 들어 비판 하고 있다.둘째,고문의 피상적인 모방으로는"真"을 표현할 수 없으며, ‘假’를 낳을 뿐이라고 비판하고 있다.셋째,‘奂’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为,"持變"에 따른 1I法의"善變’과 아울러,민요•소설 등에 풍부히 나타나 있는 厚率한 민중언어의 과감한 수용 등을 주장하고 있다. 燕岩与袁宏道在批判拟古主义的逻辑和"创新"方法论上展现出相似性。首先,针对拟古主义所预设的"情古贱今"复古史观,二者均以"古"与"今"的区分本质上是相对流动的进行批判。其次,批判对古文的表面模仿无法表达"真",只会产生"伪"。第三,作为表达"真"的方法,主张遵循"持变"原则的"善变"之法,同时大胆吸收民歌、小说中丰富的质朴民间语言。
그러나 연암의 문학사상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원굉도의 문학사상과 차이를 보여군다.첫째,'법고'와'창신'의 관계를 대립적으로만 보아 창신 일변도를 지향하지 않고,양자를 통일적으로 파악하려고 하였다:의고주의 가 그문의"形似"에 그친 점을 비판하면서도,고문의 典湩的 의의를 누정 하지 않고 그"心似"를 주장하였다.그리고 이너한'심사'를 통해 참신하 但燕岩的文学思想在以下方面与袁宏道存在差异:第一,并非将"法古"与"创新"简单对立而片面追求创新,而是力图统一把握二者——在批判拟古主义止步于文章"形似"的同时,并未否定古文的典范意义,主张追求其"心似"。正是通过这种"心似"来实现既新颖...
면서도"典雅한"글을 창작할 것을 요구하였다.이 점에서 보자면 연암의 문학사상은 어디까지나 고문의 전통 내부에서 이를 혁신하고자 한 이론이 었다고 할 수 있다. ...又要求创作"典雅"文章。由此观之,燕岩的文学思想终究可视为在古文传统内部进行革新的理论
둘째,연암과 원광도의 문학사상에 있어서"眞"은 표현대상(=현실세계) 의 생동하는 모습을 남김없이 포착한"寫實性"과,표현주체(=작가)의 개성 과 감정을 숨김없이 표출한"眞率함"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 다.그런데 泰州學派의 영향을 받은 원굉도가"獨抒性靈"을 주장하면서 주로 후자의 의미로'진'을 강조했다면,연암은 특히 寫貫性으로서의'진' 을 강조하였다:연암은 현실세계를 생생하게 표현하기 위해,일체의 선입 견을 배제한 예리한 관찰과 아울러,"벌레의 수염과 꽃술 하나하나까지도 헤아려 볼 수 있는"5)극히 정밀한 묘사를 할 것을 요구하였다.그가"그 림을 모르면 글을 알 수 없다"고 하면서6),종종 그림에 비기어 文論을 전 개한 것도 이러한 사실성으로서의'진'을 강조하기 위함이었다.이러한 점 에서 연암의 문학사상은 近代以前의 寫質主義(=現實):義)문학론이 도달 했던 頂点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第二,燕岩与袁宏道的文学思想中,"真"包含双重意蕴:既要全面捕捉表现对象(现实世界)的生动样貌而体现"写实性",又要毫无保留地流露表现主体(作家)的个性情感而彰显"真率性"。受泰州学派影响的袁宏道主张"独抒性灵",主要强调后者之"真";而燕岩则特别突出写实性之"真"——为鲜活呈现现实世界,他既要求摒弃一切成见的锐利观察,又追求"虽虫须花蕊亦必计数"的极致精微描写。其"不识画者不可与言文"的论述,以及常借绘画比拟文论的做法,皆旨在强化这种写实性之"真"。就此而言,燕岩文学思想堪称前近代写实主义(现实主义)文论所达致的巅峰。
셋째,의고주의 비판의 논거로서,중국과는 다른 우리"朝鮮"의 역사-문 화•풍속의 獨自性을 강조하고,‘창신’의 한 방법으로 조선 고유의 地名‘官號와 조선 민중의 언어(속어-속담-민요 둥)를 적극 사용할 것을 주장하였 다.원굉도가"性靈"곧 주관적인 개성의 표현을 강조했다면,연암은"文所间血字所獨也"라고 하면서7)민족적인 개성의 표현을 역설했다고 볼 수 있다.이와 같이"朝鮮的인"漢文學의 존립그거와 창작방법을 이론화한 점 에서,연암의 문학사상은 중국문학과는 다른,"東文"으로서의 조선한문학 이 지향해야 할 바를 명시했을 뿐 아니라,나아가 근대 민족문학론의 한先駱가 되었다고까지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第三,作为拟古主义批判依据,他着重强调与中国迥异的朝鲜历史-文化•风俗的独特性,并将积极运用朝鲜固有地名、官称及民众语言(俗语-谚语-民谣等)作为"创新"方法。较之袁宏道侧重"性灵"即主观个性表达,燕岩提出"文所同而字所独也"的主张,可谓力主民族个性表达。如此系统论证"朝鲜式"汉文文学的存在依据与创作方法,燕岩文学思想不仅明确了作为"东文"的朝鲜汉文学应区别于中国文学的发展方向,更可视为近代民族文学论之先声。
3.연암 문학사상과 주자사상 3.燕岩文学思想与朱子思想
(A)부정•비판의 측면 (A)否定•批判的面向
연암은 주자의 문학사상,또는 이를 계숭한 조선 주자학파(=道學派)의 문학사상예 대해 아무런 비판적 언급을 남기지 않았다.그렇기는 하지만, '법고창신'을 골자로 하는 그의 문학사상이 주자학적 문학사상과 합치하지 않음은 자명하다.주자는 周敦頋의"文以載道"설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文從道中流出"을 주장하여,文과 道의 合一을 더욱 철저히 요구하였다. 주자가 문학의 모범으로 삼은 것은"道心으로부터 저절로 流露한"聖賢之文이었다.또한 그는 문학수업에 있어서"古本舊法"을 준수하고 모방할 것을 강조하였다.이와 같은 주자의 문학사상은 현실 그 자체에 대한 예 리한 관찰과 창의적이고 사실적인 표현을 추구한 연암의 문학사상과 양립 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그런 의미에서 연암의 문학사상은 주자사상 에 대해 대체로 부정비판의 관계에 있다고 하겠다. 燕岩对朱熹的文学思想,或继承朱熹思想的朝鲜朱子学派(=道学派)的文学思想并未留下任何批判性言论。尽管如此,以"法古创新"为核心的他的文学思想与朱子学派的文学思想不相符是显而易见的。朱熹在周敦颐"文以载道"说的基础上更进一步主张"文从道中流出",更加彻底地要求文与道的合一。朱熹将文学典范视为"从道心中自然流露"的圣贤之文。此外,他强调在文学修习中应遵循和模仿"古本旧法"。这样的朱熹文学思想与追求对现实本身的敏锐观察和创造性、写实性表达的燕岩文学思想确实难以共存。从这个意义上说,燕岩的文学思想大体上对朱熹思想持否定批判的关系。
(B)긍정•답습의 측면 (B)肯定·沿袭的方面
그러나 연암의 문학사상이 주자사상과 전적으로 무관한 것은 아니다.「懸處稿序」에서 연암은 李德懋의 시를 옹호하면서,그가"朝鮮人"이라는 점을 강조하고,朝鮮은 지리적•문화적으로 중국과 다르며 독립된 역사와美風良俗을 지닌 나라임을 역설했다.또한『詩經』이란"閭巷男女의 언어" 를 옮겨놓은 것에 불과하므로,"조선 남녀의 性情"을 노래한 이덕무의 시 야말로 『시경』의 정신에 충실한"朝鮮의 國風"이라 할 수 있다고 예찬했 다.8)여기에 전제되어 있는 바 조선의 獨自的 역사•문화•풍속에 대한 자각 과,或風을 여항 남녀의 성정을 노래한 것으로 보는 詩經觀은 주자사상을 긍정•답습한 例로 볼 수 있을 것이다. 然而燕岩的文学思想并非与朱熹思想完全无关。在《悬处稿序》中,燕岩在为李德懋的诗辩护时,强调其作为"朝鲜人"的身份,并力陈朝鲜在地理、文化上与中国不同,是具有独立历史和美风良俗的国家。他还称赞《诗经》不过是"闾巷男女的语言"的转述,因此歌颂"朝鲜男女性情"的李德懋的诗才是忠实于《诗经》精神的"朝鲜之国风"。8)这里所体现的对朝鲜独特历史、文化、风俗的自觉,以及将国风视为歌咏市井男女性情的诗经观,可以视为对朱熹思想的肯定与沿袭之例
조선후기에 이르면 역사학•지리학•繪畫 등 학문과 예술 각 방면에서'우 리 것'을 찾으려는 노력이 나타나는데,연암의 문학사상에 있어서'조선적 인’ 한문학의 추구도 그 일환으로 나타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같은 추세 를 야기한 사회적 動서들에 관해서는 다각적인 규명이 필요하겠으나,그 중의 하나로 理仝的 動达을 든다면 그것은 明清交替期의 大下大誷을 겪으 며 고조된"朝鮮中華I:義에서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한다.조선중화주의는 병을 중심으로 한 사대주의적 국세질서가 무너진 이후 뚱아시아 각국에서 출현한'민족주의적'사조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9)사상사적으로 볼 때, 이러한 조선중화주의는 일찍이 迶金과의 대결 국면에서 俀花攘夷를 고춰 했던 중국'东代 주자사상의'민족주의적'측면을 계승한 것으로서,이는北伐論으로 분출하기도 하고,朱丁家腾外 中童의 我㝴制度를 준수하며 주 자학만을 신봉하는 데에 대한 자긍심으로 표출되기도 했다.이덕무는'조 선인'이므로'조선적인'시를 지어 마땅하다는 연암의 주장 역시,시대를 앞질러 근대 민족주의나 근대 민족문학론을 표명한 것이라기보다는 당대 의 지배적 이념이었던 조선중화주의를 사상적 배경으로 하여 제기되었던 것으로 보아야 하지 않을까 한다. 到了朝鲜后期,在历史学、地理学、绘画等学术与艺术的各个领域都出现了寻找"我们自己的东西"的努力,而燕岩文学思想中追求"朝鲜式"汉文学的现象也可视为这一趋势的组成部分。虽然引发这种趋势的社会动因需要多角度考察,但若举出其中思想层面的动因,或许可以从经历明清交替期天下大乱后高涨的"朝鲜中华主义"中找到答案。朝鲜中华主义可谓是以明朝为中心的朝贡体系崩溃后,东亚各国出现的"民族主义"思潮之一。从思想史来看,这种朝鲜中华主义继承了早年在对抗后金局势下高呼"尊华攘夷"的中国宋代朱子思想中的"民族主义"面向,其表现形式既有北伐论的爆发,也有以恪守朱子家礼中冠婚丧祭制度并独尊朱子学为荣的自豪感。柳得恭主张"朝鲜人"理应创作"朝鲜式"诗歌的观点,与其说是超前表达了近代民族主义或近代民族文学论,不如视为以当时主导意识形态——朝鲜中华主义为思想背景提出的见解。
한편 『시경』이 여항 남녀의 성성을 노래한 것이라 본 연암의 견해는 주자의 坫經觀을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주자는「詩集傳序」에서"川寺之所融風者,多出於生楼歌嗙之作,所謂男女相舆詠歌,各;其情者也"라고 했거니와,이처넙 주자가 「小序」의 속박에서 벗어나 國風을 정치적 풍자 시가 아니라 여항 남녀의 棌歌로 본 것은 실로 독창적인 견해로서,『시 경』 解釋史 1 :획기적인 공적으로 평가되고 있다.『열하일기』에서도 연암 은"시경』 해석과 관련하여,주자의 小字排除를 攻駁한 法依늘의 견해를 另一方面,燕岩将《诗经》视为闾巷男女咏唱性情的观点,可视为继承了朱子的诗经观。朱子在《诗集传序》中提出"凡诗之所谓风者,多出于里巷歌谣之作,所谓男女相与咏歌,各言其情者也",这种摆脱《小序》束缚、将国风视为闾巷男女情歌而非政治讽喻诗的见解,在《诗经》解释史上具有划时代的开创性意义。在《热河日记》中,燕岩就《诗经》解释问题批判了毛奇龄攻击朱子废弃小序的论点,明确捍卫了朱子立场。
비판하고,주자를 옹호하였다.10)이덕무의 시에 대한 옹호에서 보듯이,연 암은 한시의 창작에서 조선 민중언어(특히 민요풍)의 과감한 수용을 주장 하면서,주자의 시경관을 이러한 주장의 이론적 전제로 삼았다고 할 수 있다. 正如对李德懋诗歌的辩护所显示,燕岩在汉诗创作中主张大胆吸收朝鲜民众语言(尤其是民谣风格),同时将朱子的诗经观作为这种主张的理论前提。
(C)창의적 수용의 측면 (C)创造性接受的层面
그런데 연암은 이처럼 주자사상을 思考의 前提로 받아들이는 데에 그 치지 않고,나아가 이를 새로운 영역에 창의적으로 적용하려는 노력도 보 여주었다고 생각된다.「楚京集序」에서 그는"天地가 아무리 오래 되었어 도 斷히 生生하며,11月이 아무리 오래 되었어도 그 빛은 날로 새롭다" 고 하였다.11)또한 그는"㮅林의 새 소리를 들으면 제각기 다르고,海市의 보물들을 보면 件件이 새롭다"고 했으며,12)"하늘을 날며 지저귀는 저 새 는 얼마나 生急가 넘치는가!"라고 하면서 생동하는 현실세계야말로 작가 가 진정으로 모방해야할 대상이라고 주장했다.^(13)){ }^{13)} 이와 같이 연암은 현실 세계의 부단한 변화•발전과 풍부한 다양성을 들어,획일적이고 상투적인 표현을 비판했다.이러한 주장은 주자사상의'生生的'世界觀을 의고주의 비판과'창신'의 논리로 활용한 경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然而燕岩并非仅以朱子思想作为思考前提,更进一步展现出将其创造性应用于新领域的努力。在《楚京集序》中,他提出"纵使天地亘古长存,亦必生生不息;即便十一月岁岁轮回,其光辉日日常新"的观点。11)他还写道"聆听楸林鸟鸣,声声各异;观览海市珍宝,件件新奇"12),并赞叹"那翱翔天际、婉转啼鸣的飞鸟,蕴含着何等蓬勃的生机!",强调生动鲜活的现实世界才是作家真正应当效法的对象。 ^(13)){ }^{13)} 燕岩正是通过现实世界持续变化发展、丰富多元的特性,批判了千篇一律的陈腐表达。这种主张可视为将朱子思想"生生不息"的世界观运用于批判拟古主义并构建"创新"理论逻辑的典型案例。
大地가 만물을 부단히 생성하고 발전시키는 것으로 보는'生生説'은 본 래 老了의 선이였다.稿 J 와 주자는 이러한 도가적 세계관을 P 주역』에 대 한 해석과 결합하여,"天地生生道""天地生物之心"이 다름아닌"理’요 视大地为万物持续生成发展之本的"生生说"本属老子思想。朱熹将这种道家世界观与《周易》诠释相结合,提出"天地生生之道""天地生物之心"实为"理" 윤회관과 空叔說을 비판하는 한편,理의 능동성과 性善兗을 형이상학적으 在批判轮回观与空寂说的同时,从将"理"的能动性与性善论视为形而上学 의"责棵"로 보는 견지에서 불교를 비판풍자한 것은,그가 주자사상의 생 생적 세계관을 수용하고 있는 단적인 증거가 될 것이다.14)나아가,연암 之"根本"的立场对佛教进行批判讽刺,这正是他接受朱子思想生生世界观的有力佐证。14)进而,燕岩
이 이러한 세계관을 一見 그와는 無緣한 문학의 영역에 적용하여,의고주 의 비판을 위한 효과적인 무기로 사용한 것은 사상가로서의 그의 독창성 을 보여준 좋은 사례라고 생각된다. 我认为,他将这种看似与之无关的世界观应用于文学领域,并将其作为批判拟古主义的有效武器,这正展现了作为思想家的独创性,堪称典范。
4.餘 論 4. 余论
연암의 문학사상은 그의 사상 솟般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따라서 그간 학계에서는 전자와 관련하여 후자에 대해서도 왕성한 논의가 이루어 져 온 실정이다.본고에서는 연암사상 전반과 주자사상의 관련 문제를 본 격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은 후일의 과제로 미루어 둘 수밖에 없다.다만, 연암의 문학사상과 주자사상의 비교 고찰에서 드러난 복합적인 관련양상 이 연암사상 전반과 주자사상 사이에서도 발견된다는 점을 添픔하고자 한 다. 燕岩的文学思想与其整体思想体系紧密关联。因此学界在探讨前者时,往往也会对后者展开充分讨论。本文虽无法全面考察燕岩思想与朱子学的关联问题(此项工作只能留待日后),但需要补充说明的是:通过比较燕岩文学思想与朱子学所呈现的复杂关联样态,可以推知这种复合性关联同样存在于燕岩整体思想与朱子学之间。
그 중 연암사상이 주자사상과 대립하는 측면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충 분히 언급되었다고 생각된다.형이상학적 思辨을 비판하고'利用厚生'을 우선시하는 실용주의적 사고,地球自轉說과 같은 과학적 自然觀과 相對主義的 인식론,「烈女成陽朴比傳折序」에서 볼 수 있는 情欲青䞗論 등이 그 대표적인 사례로 거론되었다.이에 비하면,연암사상이 주자사상을 계승한 측면은 거의 무시되다시피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其中关于燕岩思想与朱子学对立的层面,学界已有充分论述。诸如批判形而上学思辨、推崇"利用厚生"的实用主义思维,地转说等科学自然观与相对主义认识论,《烈女成阳朴比传折序》中体现的情欲肯定论等皆属其例。相较而言,燕岩思想对朱子学的承继层面则几乎被完全忽视,此说绝非夸张
연암사상이 주자사상을 긍정답습하고 있는 사례로서 두 가지만 지적하 고자 한다.첫째는 연암의 衣㝴制度改䓂論이다.연암은 고려말 이래 몽고 의 胡俗을 따르고 있던 당시 조선의 일부 의관제도를 古禮에 의거하여 개 혁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이는 尤菴이 尊明排清의 大義를 실천하는 방 燕岩思想对朱子思想的肯定继承方面,可以举出两个例证。其一是燕岩的衣冠制度改革论。燕岩主张应依据古礼改革当时朝鲜部分承袭高丽末年以来蒙古胡俗的衣冠制度,这实际延续了尤庵将"尊明排清"大义作为实践方案的主张
14)「주공탑명」은 이러한 생생적 세계과 외에도,주자가 「觀心說」에서 구사한 불교비 판의 논리를 답습하고 있다.불교의 幻安就을 逆利用하여,사리탑을 세우고 그 塔銘 을 구하는 행위를 허망한 짓으로 조롱하며,나아가 불교의 出世間 1 :義 자체를 비판 하고 있는 내용으로 미루어,이 작품은 탑명의 형식을 빌린 일종의 疏作일 가능성 을 배제할 수 없다.필자는 안대회,^(r){ }^{\mathrm{r}} 연암 박지원 산문의 표현기법과 주제 시고-주 공탑명을 중심으로」(정신문화여ㄴㅜㅜ원 어문연구실 학술세미나 발표논문,1992.11.27)에 대한 논평문에서 이상과 같은 점을 언급한 바 있다. 14)《周公塔铭》除了展现这种具象化世界外,还沿袭了朱熹在《观心说》中运用的批判佛教逻辑。该文通过逆向利用佛教"幻妄说",将建舍利塔求塔铭的行为讥讽为虚妄之举,进而批判佛教"出世间"教义本身。由此观之,此作很可能是借塔铭形式撰写的讽喻文章。笔者曾在评论安大晦《燕岩朴趾源散文的表现技法与主题试考——以〈周公塔铭〉为中心》(韩国精神文化研究院语文学术研讨会发表论文,1992.11.27)时提及上述观点。
안의 하나로 주장한 이후 老論系 학맥을 통해 이어져 온 것이다.朴理壽 의『居家雜服放』는 이러한 연암의 의관제도개혁론을 계승하여 학문적으로 완성한 것이었다.^(15)){ }^{15)} 둘째는 ^(「){ }^{「} 答任亭五論原道書」에 피력된 연암의 心性論 이다.이 글은 연암의 철학사상이 주자사상에서 벗어난 증거로서 종종 인 용되고 있지만,栗谷에서 우암으로 이어지는 노론학파,특히 洛論系의 학 설에 따라 心과 性의 관계,性善과 明德을 논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这一脉主张通过老论系学统得以延续。朴理寿《居家杂服放》正是继承并学术性完善了燕岩这种衣冠制度改革论。其二当属《答任亭五论原道书》阐述的燕岩心性论。该文虽常被引证为燕岩哲学思想脱离朱子学的依据,但实质上应视为遵循栗谷至尤庵的洛论系学说,特别是基于畿湖洛学派理论对心性关系、性善与明德等命题的论述。
그런데 연암사상은 이와 같이 주자사상을 긍정•답습하는 데 그치지 않 고,창의적으로 수용한 측면도 보여주었다고 생각된다.낙론계의 思辨的인人物性同論을 清朝父物 수용을 위한‘北學’의 논리로,또는「虎叱」에서 볼 수 있듯이 문학적 풍자의 방법론으로 활용한 것은 그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이런 측면에서 보자면,연암사상은 주자사상과'법고창신'의 관계 에 있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值得注意的是,燕岩思想并非止步于对朱子学的肯定继承,更展现出创造性转化的面向。例如将洛论派思辨性"人物性同论"转化为接纳清朝文明的"北学"理论依据,或如《虎叱》所示转化为文学讽喻的方法论,皆属典型例证。从这个维度来看,燕岩思想与朱子学之间实则存在着"法古创新"的辩证关系
연암의 문학사상,나아가 조선후기의'실학'은 주자사상과 복합적인 관 련을 맺고 있다.본 발표에서는 이러한 관련양상을 세가지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주자사상을 부정•비판한 측면,긍정•답습한 측면,창의적으로 수용한 측면들은,연암사상의 내부에서 한편으로 유기적으로 연관되고 다 른 한편으로 모순갈등하면서 공존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그 중에서 오 늘날 계승해야 할 사상적 유산으로서 어떤 측면을 높이 평가할 것인가? 이와 같은 현재의 실천적 요구 때문에,종래의 연구에서는 연암사상에서 주로 주자사상과 대립하는 측면들을 강조했으며,여기에'근대적 성격'을 부여하였다.그 결과,조선후기 사상사와 문학사 연구에 크게 기여한 업적 들이 산출되었음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燕岩的文学思想,乃至朝鲜后期的"实学",与朱子思想形成了复杂关联。本报告将这种关联形态划分为三种类型进行考察。对朱子思想否定批判的侧面、肯定沿袭的侧面、创造性接受的侧面,在燕岩思想内部既有机联系又矛盾冲突地共存着。其中哪些侧面应作为当今需要继承的思想遗产予以高度评价?正是基于这种现实实践需求,既往研究主要强调燕岩思想中与朱子思想对立的侧面,并赋予其"近代性特征"。其结果是,这些研究为朝鲜后期思想史与文学史研究作出了重大贡献,这已是学界共识。
그러나 기존의 연구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역사적 實態를 규명하려는 과학의 견지에 한층 투철하기 위해서는,연암사상의 諸측면을 총체적으로, 즉 모순과 갈등을 내포하고 있는 그대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이 와 아울러,서구의 근대사회를 理想型으로 설정한 ‘근대주의’에 대한 근본 적인 반성이 대두하고 있는 현시점에서는,연암사상이나'실학'의 현재적 然而,为了不囿于既有研究成果,更彻底地秉持探究历史实态的科学立场,笔者认为有必要整体把握燕岩思想的诸侧面——即如实认知其中蕴含的矛盾与冲突。与此同时,在将西方近代社会作为理想型的"近代主义"面临根本性反思的当下,对于仅从"近代性"角度探寻燕岩思想及"实学"当代价值的倾向,也应进行必要反思。
의의를'근대성'에서만 찾았던 경향에 대해서도 일정한 반성이 있어야 하 지 않을까 한다.봉건 잔재를 청산하기 위한 근대성의 추구가 여전히 중 요한 과제인 것은 사실이지만,그와 동시에 이제는 서구적 는대화 일변도 에서 벗어나 근대 이후를 전망하는 脫近代의 논리를 모색해야 할 시기라 면,연암사상이나 실학의 현재적 의의도 새로이 추구될 필요가 있다고 여 겨지는 것이다. 虽然清除封建残余的近代性追求仍是重要课题,但当下更需要摆脱唯西方现代化马首是瞻的单一模式,展望后近代的理路。在此背景下,燕岩思想与实学的当代意义也亟待重新探索
참 고 문 헌 参考文献
이가원,연암소설연구,을유문화사, 1965. 李圭元,《燕岩小说研究》,乙酉文化社,1965 年。
이동환,연암의 사상과 소설,김열규 외 공편,고전문학을 찾아서,문학과지성사, 1976. 李东焕,《燕岩的思想与小说》,金烈圭等合编,《寻找古典文学》,文学与知性社,1976 年。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成均馆大学汉文系教授
1)‘주자사상’이라는 용어는 ‘주자학’ ‘⽊子旌:義’ 등 유사한 용어가 做用되고 있는 실정 을 감안할 때,경우에 따라서는 엄밀히 定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일단 본고에서 는 주로 주자의 사상과 이를 계숭한 조선 주자학파의 사상을 통틀어'주자사상'이라 하기로 한다. 1)考虑到"朱子思想"这一术语与"朱子学"、"木子旌:义"等类似术语混用的现状,在某些情况下有必要对其进行严格定义。本文暂且将朱熹本人的思想及其继承者朝鲜朱子学派的思想统称为"朱子思想"。
2)물론 이러한 구분은 좀더 심도있는 분석을 위한 방편으로서 설정된 것이다.실제의 2)当然,这种划分只是为了便于进行更深入分析而设定的。实际上
연암 문학사상에는 이 세가지 양상이 混住해 있다고 보아야 한다.나아가,이들이 각기 어떠한 비중으로 나타나 있으며.서꼬 어떻게 연간되어 있는시 하는 문제는 변도의 고착을 요한다고 하셌다. 燕岩文学思想中应当认为这三种形态是共存的。进而,它们各自以何种比重呈现,以及如何相互关联的问题,正如他所说需要进一步的考究。
3)박영철 撰 연암잡』 권1,장3뒤-4앞. 3)朴永哲 撰《燕岩杂》卷 1,章 3 背-4 正
8)『연암집』 권7,장8앞 뒤. 8)《燕岩集》卷 7,章 8 正背面。
이러한 연암의 주장은 종래,"민족주의"내지"민족문학론"을 천명한 것으로 높이 평가되었는가 하면,-1 와는 무관하게"중국의 一地方的 継十性"으로서의"朝鮮風"을 말한 것에 불과하다는 반론도 제기되었다. 燕岩的这一主张历来被高度评价为"民族主义"乃至"民族文学论"的宣言,但同时也存在反对意见,认为这不过是在与中国无关的情况下,作为"中国一地方性继承"的"朝鲜风"表述。
9)긲명호,『열하일기 연가』(창작나비평사,1990),123 5면;손숭천,^(4){ }^{4} 조선시대 한일관 계사 연구』(지성의 샘,1994),229-51면 참즌 여기서 민조그의적이란 표현에 따옴표 를 붙인 것은,그대 이전의 민조주의(=종족주의)가 그대 민족주의(=곡민수의)와는 다르다는 선을 환기하기 위해서이다.전자는 i^(2)i^{2} 대 빈족주의의 선 1^(2)1^{2} 선재로서 -1淵源의 하나가 될 수 있지만,근대 민족수의와 곧바로 농인시될 수는 없는 섯이다. 이 점에 대해서는 임지현,「한독사학계의'민족'이해에 대한 비판적 검토」,역사무 제연부소,『역사비평』 26 죠( 1994 ,가을)착조. 9)金明浩,《热河日记研究》(创作与批评社,1990 年),第 1235 页;孙崇宪,《朝鲜时代韩日关系史研究》(智慧之泉,1994 年),第 229-251 页。此处"民族主义"一词加引号,是为了强调其与近代民族主义(=国民主义)存在本质区别。前者可作为近代民族主义的渊源之一,但不能直接等同于近代民族主义。关于此点,参见林志炫《韩国史学界"民族"概念之批判性考察》,历史问题研究所,《历史批评》第 26 号(1994 年秋季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