这是用户在 2025-6-30 20:37 为 https://app.immersivetranslate.com/pdf-pro/a39a67cf-8b67-48a5-a5dc-11a2401f3a03 保存的双语快照页面,由 沉浸式翻译 提供双语支持。了解如何保存?

楚亭朴齐家的燕行与日常生活中的国际交流

  安大会*

  〈目 录〉
  1.前言
2.对国际交流的认知与态度
  1)与当代伙伴的友谊
  2)积极的交往意愿
  3)虚心向外国人学习的态度
  3.国际交流中体现的日常性
  1)日常交流场景
2)以女性为主题的对话
  3)绘制并交换小照
  4)各类物品的交换
  4.结语

  〈中文摘要〉

本论文考察了楚亭朴齐家(1750~1805)通过燕行所构建的国际交流样貌。楚亭与中国人士建立的人脉网络在数量上极为丰富,质量上也属最高水准。他缔结的人际关系为19世纪活跃的交流奠定了基础。这种交流并非单向,而是双向互动。在四次燕行中,楚亭与众多名士建立了深厚私谊,并发展为家族间世代往来的关系。他们相互拜访宴饮,馈赠礼物,长期保持跨国书信往来,将家族间的亲密交流代代相传。这份深厚情谊
体现在与艺妓六娥唱和的诗文、互绘小像相赠,以及文房器具等物品的往来馈赠中。
聚焦于与中国人士的交往本身进行研究后得出结论:楚亭与文化素养高的知识分子建立了亲密的人际关系,其交往范围之广、程度之深持续领先于同辈,他的人际交流引领了文化与知识的交融,并为后世延续了交流的传统
  核心词:朴齐家,国际交流,燕行,小照,缟纻集

  1.绪论

楚亭朴齐家( 1750 1805 1750 1805 1750∼18051750 \sim 1805 )是一位拥有国际人脉并认真思考国际关系的朝鲜时代代表性知识分子。他既非专业译官,也非负责外交事务的高级官员。尽管如此,他所开创的国际交流景象依然璀璨夺目。
楚亭与外国人交往的内容收录于其文集及《北学议》《缟纻集》中。四次中国之行的见闻体验体现在文集所载诗作里,《北学议》基于旅行见闻提出了朝鲜发展方向,《缟纻集》则记载了交流的具体事实与物证。这些内容亦散见于周边文士后辈的文集,以及与他交游的中国知识分子著作中。
与中国人士广泛交往的楚亭,其经历绝非个人化的单次体验
他的影响力远不止于此。旅途中所获的信息与知识凝结为经世著作流传后世,而他构建的人际网络更为后辈开创了交流新局。作为中韩知识分子交往的典范,其活动不仅在中国引发巨大反响,更激励鼓舞了朝鲜众多学人。他的国际交流活动绝非仅止于个人层面的行为,而是反映时代需求的重要文化现象,具有深远的历史意义。
超宗积累国际人脉、引领文化交流的实践很早就受到学界关注。围绕其游历过程、实学成就及学术文学成果,已有不少研究成果。但既有研究多聚焦于《北学议》的北学思想来探讨其国际交流成果,对每位交往对象的具体互动内容与模式尚未展开系统论述。
本文独辟蹊径,以超宗与中国知识分子缔结的人际纽带为核心关照其国际交流样态。他是同期学者中最强调国际交流必要性的人物,更力主与西方展开对话——其著作中大量涉及西方内容便是明证。但由于现实条件限制,其游历仅止于中国,知识网络也囿于中、日、蒙、越等国。鉴于这一客观局限,本文主要考察其与中国学人的交往形态。
注1:徐有榘《左苏集》卷二《感旧诗十首·其三》"贞诳朴永平齐家"云:"结交中夏尽词英,万口争传朴楚亭。剩把诗名惊海内,头衔不愧应奎星。"徐氏主要在文学层面盛赞朴齐家在中朝两国的活跃表现,但其活动范围实不限于文学领域。
2)典型事例体现在《北学议》中对西方医术的向往及其引进主张。参见 SHIN Dongwon,《1700-1876 年朝鲜医学话语中西方医学的文本与语境》。

2. 对国际交流的认知与态度

秋汀与外国人建立毫无隔阂的人际纽带并非偶然,而是源于其明确而积极的动机。因此在探究国际交流具体实态之前,有必要先考察秋汀的思想意识。
  1)与同时代友人的情谊
东亚传统社会将友谊视为重要的伦理美德。无论平民还是士大夫,都极为重视与朋友的交往。特别是,以楚亭为首的北学派学者,将友谊珍视为人生与社会中最应重视的美德。 3 ) 3 ) ^(3)){ }^{3)}
他们将当时的朝鲜定义为不善交友的恶劣社会。诊断认为社会由封闭的人际关系构成,难以跨越身份与职业、地域与贫富、党派与家族的藩篱建立自由的交友关系。楚亭尤其率先痛斥这种人与人之间无法坦诚相对、分享友谊的朝鲜社会。
楚亭主张必须摆脱封闭的交友方式,建立开放的友谊。认为应超越身份与职业、党派与地域结交朋友,更进一步要突破国界,同时代的外国友人也应纳入交往范围。外国人不限于中国人,还应包括日本人、满洲人,甚至有必要邀请西方传教士和荒唐船(荷兰商船)。
  主张应当将其引入国内
실제로 외국인을 대하는 그의 태도에서 경계와 배척,혐오와 무시 의 기미를 읽을 수 없다.멸시와 증오의 대상이었던 만주족과 일본인 을 대하는 태도에서도 그런 점이 보이지 않는다.아니 거꾸로 그들의 장점을 배우려는 태도가 보인다.옛사람을 친구로 삼고자 하는 사대 부의 尙古的 자세보다 동시대 사람과의 유대를 더 중시하는 자세에 잘 나타난다.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세상 곳곳의 다양한 인간의 아름다움에 기꺼 이 매료될 마음의 준비를 한 초정의 모습은「懷人詩」 연작에 잘 나타 난다.그는「戲倣王漁洋歲暮懷人」60수,「懙人詩仿蔣心餘」50수,「續懙人詩」 18 수 등 총 128 수의 회인시를 통해 동시대 인물에 대한 우의와 매료된 심경을 표현했다.4)또「與李羹堂調元」과「與郭澹園執桓」,「謝鄭吏議志儉求見李吉大書」따위의 편지는 동시대 외국인 학자와 조선의 천민 기술자를 사귀는 문제를 두고 자신의 속내를 거침없이 발설했다. 
그렇듯이 우정은 그의 작품에서 중심축이다.李書九列에서 하룻밤 을 자고 난 뒤 쓴 시에서"형제이지만 동기간은 아니요/부부이지만 안방을 같이 쓰지는 않네./사람이 하루라도 벗이 없다면/왼손이나 오 른손을 잃은 꼴이지"5)라며 벗을 형제나 부부 같다고 말하기도 했 다.6)벗을 삶의 중심에 놓고 사유하는 태도를 엿볼 수 있다. 
4)안대회,박제가 시의 사물•인간•사회」,『18세기 조선지식인의 문화의식』,한 양대학교출판부,2001;박종훈,「초정 박제가의 懷人詩 小考」,『한국언어문화연 구』 30 집,한국언어문화학회, 2006. 
5)朴齐家,《楚亭全书》上卷,《夜宿薑山》,亚细亚文化社,1992年,第110~114页。"兄弟亦非气,夫妇不同室。人无一日友,如失左右手。"
6)这种表达方式深受白塔诗派成员喜爱,李德懋在《适言赞并序》(安大会,《古典散文散步》,Humanist 出版社,第 199~206 页,2008 年 9 月)中也写道:"不同室的妻子,非血缘的兄弟。生时冷眼相待,死后热泪相迎。(不室而妻,匪气之弟。生绝白眸,死堪热涕。)"
这种与同时代人建立纽带的态度,自然延伸至其看待学问艺术的视角,形成了超越尚古态度、更推崇同时代价值的进步立场。"文学之道,在于敞开心智拓展见闻,而非拘泥于效仿的旧时代",并指出"书法领域,当今学习中国技法者造诣最高",认为"现今中国人的书法既可信又易得,不如直接师法"。这种态度彰显出对当下成就的珍视,而非沉湎于光荣的往昔。正是这种现代性视角,推动了知识源泉从古代圣贤向同时代全球智者的转变。

  2)积极交游的意志

赵靖是个性格积极的人,就连结交朋友时也总是主动迈出第一步。她对朋友的热情不仅限于国内,更延伸至外国人。她常自豪地说:"在交友这件事上,我尤其倾注了全部真情。"9)在给中国友人的信中,她写道:"啊!我是个极易被情感打动的人[情人]"10),流露出对知己发自内心的情感。这种友谊并非基于理性判断或功利目的,
而是被一种难以名状的情感牵引着靠近对方。她的友情充满真挚,这一点也令她深感自豪。
这种主动性同样体现在燕行前向清朝学者致信的行为中。1773年8月2日她致信郭执桓,1777年又分别给李调元、潘庭筠写信。此前她研读过金在行、洪大容、柳琴等人整理的笔谈录,听闻相关轶事后,即便素未谋面,仍执笔修书以求神交。
真正引领赵靖积极与中国文人交往的契机,是与洪大容的相遇。"呜呼!朝鲜三百年间使节往来不绝,却未得见一位名士而归"11),她对洪大容能与中国名士缔结深厚友谊深感震撼。在阅读洪大容与潘庭筠等名士的笔谈集《天涯知己书》后,她主动登门求教——此前二人素不相识。在给徐常修、潘庭筠、李调元的信中,她以强烈语气表达了阅读这些笔谈时的震撼与激动,字里行间尽显其积极主动的性情
북경에 갔을 때 초정은 더욱 적극적으로 명사들과 교유했다.그는 사람들을 사귈 때 잇속이나 편견에 휘둘리지 않았다.앞서 인용한 말 처럼"벗을 사귀는 한 가지 일에서만큼은 유독 정을 듬뿍 쏟았다." 그 결과 이전에는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많은 수의 지식인과 깊이 있는 친분을 쌓았다.그런 결과는 결코 우연도 행운도 아니다. 
초정의 적극성과 열의를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가 있다.일면식도 없는 苹溪 王肇嘉란 秀才가 초정에게 성명과 字를 새긴 작은 인장 두 뿌를 보내주고,초정의 글씨를 쓴 부채를 부탁했다.나중에 나빙의 畫 
室에서 그를 만났을 때 초정은"나는 정녕 情을 위해 죽고자 하나, 그댈 만나고서 단번에 아득해졌다"12)는 시를 지었다.자신보다 더 정 에 이끌리는 사람을 만날 줄은 몰랐다는 놀라움을 표현했다.여기서情은 곧 우정으로,친구를 위해서는 죽기라도 하겠다는 언명이다.이 러한 적극성과 열의가 수많은 중국 인사와의 사귐을 유도했다. 

3)외국인으로부터 배우려는 태도 

赵靖积极与外国人交往的动机和目的,并非仅仅为了情感上的满足。通过自由结交他人、亲眼见证新世界,他获得了打破狭隘思维的机会;更直接的是,通过与外国人直接交流,从他们那里汲取先进文化与知识。
赵靖认为人际交往能帮助摆脱认知的固陋,获得客观审视自我的契机。在与朴齐家的笔谈中,他如此描述朝鲜知识分子的形象:"所谓士大夫者,亦困于宋儒小注之中不能自拔。及至此时,我方得发出自己的声音",以此鲜明对比了朝鲜知识分子的局限性与中国的开放氛围。
在《论与江南浙江商船通商》一文中,他写道:"孩童见生客则羞缩啼泣,非天性使然,实因见识寡而疑虑多所致。我国民亦复如是,易生畏惧多疑之心。风俗
愚钝,才识未开,究其根源,实因缺乏与外国通商之习。"他深信接触异文化能摆脱自我封闭的处境,因而主动成为打开交流之门的先行者
楚亭只在中国旅行过。但这并非意味着他没有意愿前往日本乃至西方,只是缺乏旅行的机会而已。从《北学议》可以看出,楚亭主张国人应当走出国门,并建议邀请外国人来访。他甚至提出邀请"荒唐船"(荷兰商船),以及精通几何学和实用民生之法的西方人前来朝鲜。

  3. 国际交流中体现的日常性

在朝鲜王朝社会中,像楚亭这样与众多中国知识分子建立亲密友谊的学者实属罕见。通常使节团在华停留时间仅四十余日,多数人仅能接触少数文人,而楚亭则与众不同。15)值得提及的是,壬辰倭乱时期部分官僚知识分子及19世纪后若干学者,曾通过与中国、日本知识分子的个人交往与学术对话构建了国际人脉网络。16)
14)朴齐家 著·安大会 译,《北学议》,Dolbegae 出版社,2003, 175 178 175 178 175∼178175 \sim 178
15)19世纪文人姜浚钦在为燕行正使洪义浩送行的诗注中评价道:"东国使臣入燕京,仅见一二文士便骄矜自满"(《三溟诗集》第五编《寄洪正使》)。
16)陈在教,《18世纪朝鲜王朝与清朝学人的学术交流》,《古典文学研究》第23辑,2003年,第301~326页;金东奭,《首尔与燕京学人的神交及其样态》,《汉文学报》第19辑,2008年,第935~965页。
即便与这些案例相比,楚亭(初名)的人脉无论在数量规模还是质量水准上都堪称顶级。19世纪之后活跃交流的开端,说是由楚亭开启也毫不为过。
与其他时代、其他知识分子的交往模式相比,楚亭的情况尤为特殊。这首先不是单方面的接触,而是双方都展现出强烈交往意愿的互动。正如朴长馣在《缟纻集》凡例中所言"先父仰慕诸位先生之情,与诸位先生怀念先父之谊,皆不应任其湮没",楚亭与中国文人之间的情谊始终保持着双向交流的特质
首先考察朴齐家四次燕行的过程及主要内容。朴齐家共进行了四次燕行,其时间与目的可归纳如下:
1. 第一次燕行:1778年(正祖二年)与李德懋同行,归国后根据见闻撰写了《北学议》。
2. 第二次燕行:1790年(正祖十四年)五月,为祝贺乾隆帝八旬圣寿,与柳得恭一同出使。
3. 第三次燕行:1790年九月,在第二次燕行归国途中奉王命再度入燕
第四次燕行:1801年随谢恩使团出使,以购买朱子著作为目的。
这四次旅行中交往的人物与内容,均收录于文集《北学议》与《缟纻集》中。主要以诗作呈现,其中尤以"怀人诗"组诗展现得最为充分。另一方面,楚亭去世后,其子朴长馣编纂的
17)朴长馣,《缟纻集》"凡例":"先父与诸君相互倾慕之情,终未能得酬。"
《缟纻集》是系统整理楚亭与中国文人交往详情的单行本。除"怀人诗"系列外,该集更鲜明体现了楚亭将结识新知视为人生要务的志趣取向
朴长岩在书的凡例中将与初亭交往的人物全部整理为110人并进行了分类。
(1)直接见过面的人:102人
(2)仰慕风采但未能见面的人:4人(陆筱饮,沈云椒,吴西林,袁简斋)
(3)有书信往来但未能见面的人:1人(郭东山)
(4)慕名而未得见者:2人(王椒畦,刘澄斋)
(5)有诗文往来但未谋面者:1人(严有堂)
本书以百余位人物的交往过程、交往形态及交往成果为核心资料进行编撰。通过整理秋史亲自创作的诗词散文,并参考其家中珍藏的文献资料加以补充。然而这些资料并无法全面展现他们交往的全部内容。
  1)日常交往场景
초정이 중국 지식인들과 교유한 내용을 살펴보면,짧은 시간에도 인 간적 깊이를 나눈 사이로 발전했음을 알 수 있다.서점가인 琉璃廠의五柳居書肆에서 많은 서책을 구경했고,또 거기에서 많은 지식인을 만 났다.오류거서사의 주인과도 친밀해졌고,서점을 찾는 많은 학자들 예 컨대,錢東垣,黃丕烈,盛學度,夏文壽,曺江 등과 친분을 맺었다. 
그런 만남은 여러 사람을 방문하거나 초빙을 받아서 식사하고 대화 하며 필담을 나누는 관계로 발전했고,또 그 자리에서 새로운 사람을 만났다.그런 만남이 이루어진 장소로 羅聘과 枌方綱,孫星衍의 집을 꼽을 수 있다.그 곳에서는 인상 깊은 文酒雅會가 펼쳐졌다.그 장면 을 생생하게 기록한 시문이 남아 있다.그런 우정의 양상을 몇 가지 사례로 살펴본다. 
清代의 저명한 화가이자 시인인 羅聘(1733~1799)은 北京 琉璃廠 옆의 觀音寺에 우거했다.초정은 나빙 본인뿐만 아니라 그 부인 方婉儀와 두 아들 羅允纘.允紹 형제와도 친해졌다.그런 인연이 이들 가족과 초정 아들과의 우정으로 연결되었다. 18 ) 18 ) ^(18)){ }^{18)} 
나빙은 한 시대의 名士이기에 그의 우거는 당시 북경 명사들의 사 교장이었다.內閣學士 芴方綱,禮部尙書 紀䏛,少詹事 錢大昕,國子監祭酒 法式善,詩人 張問陶,학자 洪亮吉과 같이 당대의 명사로서 청대 학술사를 대표하는 인물들이 그 일부였다.이들 외에도 張道渥과 같 이 비교적 덜 알려진 인물도 많이 드나들었다. 
罗聘对初鼎的诗词极为赞赏,初鼎也成为北京名士们争相结交的对象。初鼎为罗聘夫人——著名女诗人方婉仪的诗集《牛格诗集》题诗,并为名士们题字。此外,他还与刘墉共同为《鬼趣图》题跋。罗聘的名作《鬼趣图》向来只有显赫名流才有资格题跋,而刘墉与初鼎却能位列其中。
这里有个小故事,足以证明初鼎与罗聘交情之深。
除罗聘外,初鼎还通过引荐家人来巩固家族间的友谊。龚协是王渔洋的外曾孙,他主动提出交换详细记载家族历史的家谱,以示永志不忘。初鼎欣然应允,二人遂成挚友。曹江也与他推心置腹,连家族渊源都和盘托出。
19)黄苗子,《鬼趣图及其题跋》,载《古美术论集》,第163~168页
罗聘去世后,楚亭再次来到北京。他前往罗聘家中,在灵位前痛哭哀悼。江南人士目睹此景,纷纷感叹道:"真是个至情至性之人啊!(悍钟情)"
另一方面,罗聘与画家张道渥曾因争夺楚亭和柳得恭发生过争执。在罗聘家中,张道渥邀请两位检书官外出饮酒。罗聘因客人被抢走而发怒,张道渥也勃然大怒,场面一度十分混乱。最终不得不由柳得恭留在罗聘处,而楚亭则随张道渥去饮酒作结。
楚亭与使节团常受邀参加名士宴请。其中著名诗人张问陶曾设宴款待楚亭。席间张问陶以螃蟹宴飨客,楚亭即兴作诙谐诗,以蟹为题与众人唱和。对此情景,楚亭如此记述:
船山张问陶曾邀我至翰林馆品蟹。进士南德新食量最佳,十三李喜耕次之。我即兴题字示众:"南德新为蟹元(即解元,蟹之首也),李喜堪称螃眼(榜眼,蟹之目也),独我偏居八股(八股文,蟹之足也)。"船山击掌大笑
用螃蟹来比喻科举考试中的状元"解元"和榜眼"榜眼",分别写作代表螃蟹的"蟹"和"螃"字,并以最不会吃八股文章(暗指科举落第)来自嘲。更妙的是这些词语
都暗指螃蟹的头部、眼睛和腿脚,巧妙地描绘了场景。难怪船山会拍掌大笑。
原本楚亭(柳得恭)在国内就常与李德懋互相开玩笑戏谑。正如李箕元所言"楚亭与泠斋结为恶缘,用奇谈戏谑斗得旗鼓相当",可见二人素来热衷文字游戏。楚亭与中国文人交往时,也总是不遗余力地展现机智与才思。
就连总督孙士毅之子孙衡也对楚亭礼遇有加。他时常挽留楚亭畅谈至深夜,毫不吝惜地将珍藏之物相赠。 23 ) 23 ) ^(23)){ }^{23)} 甚至专门写信作诗到朝鲜安慰丧妻的楚亭,令楚亭感动赋诗道:"知我丧妻悲,万里寄诗慰"
赵徵在中国人士中受到了隆重的礼遇。在学问与艺术之前,我们足以见证深厚的人情与真挚的友谊。
2)以女性为主题的对话
赵徵与中国人士交往时,展现了那个时代人们独特的风情。他们围绕赵徵的妻子、妾室以及歌妓展开对话与诗文唱和,这正是彼此不拘礼节关系的明证。我们以平安道嘉山歌妓六娥为焦点,来探究这段往来佳话。
赵徵在第二次燕行时,与平安道嘉山擅长写诗的歌妓六娥结为知己。他为这位名为六娥的奇特歌妓题写了《嘉山诗姬六娥索诗,走笔》。然而抵达义州时,六娥却寄来了诗作。赵徵便依韵和诗两首。当遇见中国文士时,赵徵拿出与六娥唱和的诗作,一边闲谈一边炫耀。中国人士对这些诗作表现出了浓厚兴趣
在宁远卫遇见蔡炎林时,读到其和陆游诗作而写的初亭作品,不禁感叹:"若王渔洋前辈得见此作,定会评为杰作。我们这等埋没乡野的庸碌书生,怎敢妄评先生雅作?"遂次韵和诗一首。 25 ) 25 ) ^(25)){ }^{25)} 前文如是写道。
烟花识得翰墨香 非是倚门卖笑娘 风雅事在中原少 客途添得新诗行
  烟花知翰墨
  不是倚门人
  中原韵事少
  客路风流新
龚协是与我互称家族名讳的知交,不知何故也对柳如是表现出兴趣,包括草堂夫人在内。他将自己为柳如是诗作的和诗赠予了草堂。
前身分明是散花天女,却坠落凡尘历尽沧桑。若能在长庆桥西共度余生,维摩居士的禅悦该是何等清新鲜活
  前世应是散花人
  一落尘间几度春
  长庆桥西偕住好 维摩禅悦总清新
长庆桥是楚亭家附近的一座桥。正如诗题所示,这是戏赠楚亭的诗作。诗中借用《维摩经》中散花天女的故事,戏言若柳如是能成为楚亭的妾室,与夫人在长庆桥宅邸同住,楚亭定会更加欢欣。26)
공협은 이어서 육아가 쓴 절구를 우연히 보고서 다시 시 두 편을 지어 초정에게 전해주었다.여기에 그치지 않고 1792 년 정월 25 일에 초정에게 보낸 편지에서 공협은"荑室께서 마르고 병들었다니 가련합 니다.그러나 지면에서 꽃다운 용모를 한번 보지 못했으니 크게 유감 스런 일입니다.足下께서 나를 위해 마련해주지 않으니 너무 속됨에 가깝지 않은지요?그게 아니라면 수수한 몸단장과 가벼운 비단이 점 차로 朱欄으로 옮겨갈까봐 봄빛을 감춰두고서 무관한 자에게 알아차 리지 못하도록 하는 것인지요?"27)라고 썼다.초정의 아내 小照라도 보여주지 않느냐고 서운한 심경을 비쳤다.그런 공협이 또 육아에게 편지를 보냈다. 
서한을 六娥 仙史의 硯北에 바칩니다.次修 詞伯으로부터 大作 을 얻어 보고 紅塵세계를 벗어난 뜻을 알고 나니,저도 모르게 그 대에게로 정신이 내달립니다.삼가 작은 시 두 편을 부채에 써 바 쳐서 우러러 사모하는 마음을 보냅니다.모르겠습니다만,小照를 그려 제게 보내주시고 아울러 좋은 소식을 보내주셔서 멀리서 그 리워하는 마음을 위로해주실 수 있는지요?바라건대,고아한 마음 과 고상한 품성으로 저를 저속한 놈이라 보지 않으시기 바랍니다. 
총총히 이렇게 써서 문안 인사를 올리오니 천만 珍重하시기 바랍 니다.신해년 정월 22 일 笠澤의 漁郞은 손을 부여잡고 서한을 올립 니다.謹空. 28 ) 28 ) ^(28)){ }^{28)} 
이 서한에서도 앞서처럼 小照를 보내달라고 요청했다.편지와 시가 모두 일종의 희학과 운치의 행동에 속한다.아내를 비롯한 여성과 직 접 대면하고 시문을 수창하는 풍조는 당시 청나라 사회에서는 꽤 유 행한 것이었으나 조선에서는 쉽게 행동에 옮기지 못할 일이었다.초 정이 그의 요청을 희학으로 치부하고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은 것 은 그러한 연유 때문이다.조선에서 이러한 풍조가 일부 문사들 사이 에 가능한 것은 19 세기 이후의 일이다. 
另一方面,楚亭在丧妻之后纳了小室,这个消息甚至传到了远在中国的朋友那里,还收到了祝贺的诗篇。翰林庶吉士熊方受得知楚亭纳妾的消息后,寄来诗句"才子大名如日悬,新得佳人字莫愁"。纳妾的消息能传到北京友人处,可见中国文人对楚亭的关注之切;而通过使行团寄送贺诗,也足见情谊之深。 30 ) 30 ) ^(30)){ }^{30)}
  3)小像绘制与交换
楚亭与中国文人交往时,通常以诗文唱和为主。但有个引人注目的特殊现象不得不提——彼此互赠小像。前文已提及,中国文士曾渴望获得楚亭夫人与六娥的小像。小像即用写意笔法轻描淡绘的肖像画。现代人习惯用照片留存彼此影像作为纪念,而当时互绘小像频繁出现在楚亭与友人的交往中,实属特别。
朝鲜国内虽有绘制雅集图纪念特殊聚会的传统,但日常交往中互赠肖像画的风气并不普遍。不过楚亭在燕行前上元夜观斋聚饮时,曾赋诗表露"欲将诸君貌,摹作画中看"的愿望
보통 외국인 친구와의 만남에서 한 번 이별은 곧 영이별이 될 가능 성이 높기에 얼굴을 그려 眞影을 간직하는 것이 이별 뒤의 그리움을 달래는 길이었다.조선 지식인이 일본이나 중국에 사절단의 일원으로 갔을 때 간혹 필획이 적은 스케치로 초상화를 그려서 주고받았다.일 본인 화가가 홍세태나 성대중,이언진의 초상화를 그린 작품이 현존 하고,홍대용과 ㅁ⿱⿰口口⿸厂⿰⿱乛耳⿱⿰㇒一乂 誠이 서로의 초상화를 그려서 간직한 사례가 있 다.32) 
초정과 그 주변 문사들은 중국인 친구들과의 만남에서 유달리 초상 화를 빈번하게 주고받았다.연행하기 전에 이조원이 柳琴에게 자신의 
小照를 보낸 것을 보고서 초정은 감동하여"초상을 보고 부처에게 절 하듯이 절한다"는 구절의 「기하실 유금이 소장한 운룡산인 이조원의小照에 쓰다(題幾何室所藏雲龍山人小照)」를 썼다.이들은 만 리 멀리 떨어진 친구를 그리워하며 그의 생일에 초상화를 앞에 놓고 생일을 축하하는 모임을 갖기도 했다.초상화를 조선까지 보낸 것이 깊은 인 상에 남아「懐人詩」에서 이를 언급하기도 했다.33)초정과 그 아들 박 장암은 이러한 柳琴의 사례를 본받고 싶어했다. 34 ) 34 ) ^(34)){ }^{34)} 
1778년 초정과 이덕무가 祝芷塘의 처소를 방문하여 그의 小照를 청 했을 때 그가 우거진 숲과 수려한 바위 옆에 한 미인이 거문고 소리 를 듣고 있는 그림을 주었다.35)이 때 축지당은 초정에게 자신의 小照를 선물했고, 2 차 연행 때 초정은 이 소조를 가지고 가서 그 제자 인 李鼎元으로 하여금 발문을 쓰게 했다.36) 
이정원은 또 후에 유배간 초정을 애달파하며 박장암에게 보낸 편지 에서 초정을 蘇軾과 楊升庵에 견주고 자신의 35 세 때 모습을 그린 行樂小像을 보냈다.이 小像은 박장암의 요청에 부응한 것으로 추정한다. 
중국 명사들이 자신의 小照를 준 것은 초정의 요청에 따랐거나 아 니면 그들의 자발적 증정이었다.그들은 소조를 보내는 데 그치지 않 고,역으로 초정의 小照도 요구했다.郭東山은 자신의 小像을 보내고 나서 초정의 小照를 보내 달라 부탁했다.그저 神交만 맺고 직접 손 을 맞잡을 수 없는 처지를 아쉬워하며 초상화를 봄으로써 직접 만나 는 것을 대신하고자 한다는 취지에서였다."이렇게 하면 비록 아침저 
녁으로 손을 맞잡는 절절함에는 미치지 못하나 마음속으로 그 모습을 상상할 수는 있다" 37 ) 37 ) ^(37)){ }^{37)} 고 했다.그의 말에서 소조를 교환하는 절절한 동기를 포착할 수 있다. 
小照를 주고받는 양상은 1790 년 나빙이 귀국하는 초정의 소조를 그 리고 거기에 전별의 시를 써준 일에서 정점에 이른다.나빙은 먼저 墨梅와 소조를 그렸고,이어 절구 두 편을 썼다.그 절구는 이렇다. 
三千里外远道而来的客人   相对三千里外人
为纪念遇见这位俊朗的儒生,特此绘制肖像   欣逢佳士写来真
可爱的你风采能比何物?   爱君丰韵将何比
想必是梅花幻化成了你的身躯。 知是梅花化作身
为何一见你便觉亲近   何事逢君便与亲
可曾听闻那离别的锥心之语?   忽闻别我话酸辛
从今对翩翩君子也该意兴阑珊了   从此冷眼看才子
唯有离别最伤神   唯有离情最伤神
삼천리 저 너머서 오신 분을 마주하고 相對三千里外人 멋진 선비 만난 기념으로 초상을 그리네. 欣逢佳士寫來眞 사랑스런 그대 풍채 어디에 비할거나? 愛君丰韻將何比 매화가 변신하여 그대 몸이 되었겠지. 知是梅花化作身 무엇 하러 그대 만나 바로 친해져 何事逢君便與親 날 떠난다는 괴로운 말을 들었던가? 忽聞別我話酸辛 이제부터 멋진 선비에는 심드렁해져야지 從今淡漠看佳士 이별의 정이 가장 마음 슬프게 만들 뿐이니. 唯有離情最愴神| 삼천리 저 너머서 오신 분을 마주하고 | 相對三千里外人 | | :--- | :--- | | 멋진 선비 만난 기념으로 초상을 그리네. | 欣逢佳士寫來眞 | | 사랑스런 그대 풍채 어디에 비할거나? | 愛君丰韻將何比 | | 매화가 변신하여 그대 몸이 되었겠지. | 知是梅花化作身 | | 무엇 하러 그대 만나 바로 친해져 | 何事逢君便與親 | | 날 떠난다는 괴로운 말을 들었던가? | 忽聞別我話酸辛 | | 이제부터 멋진 선비에는 심드렁해져야지 | 從今淡漠看佳士 | | 이별의 정이 가장 마음 슬프게 만들 뿐이니. | 唯有離情最愴神 |
罗聘称赵晴为梅花的化身,并因与他的离别之痛而宣称从此不再结交风雅之士。虽言辞夸张,却真切展现了他对赵晴的诚挚情谊与离别之痛。藤塚曾收藏的这尊塑像现已不存,但通过其著作中的影印本仍可一睹真容。此画是现存唯一身着军装的赵晴全身肖像
罗聘除了为楚亭绘制小照外,还为柳得恭创作了肖像画。当经常出入罗聘宅邸的柳得恭与楚亭多日未至时,罗聘便将柳得恭的小照绘于画册相赠。38)此画现已失传。
与朝鲜正襟危坐的肖像画相比,这些小照以写意笔法轻松勾勒。值得注意的是,这类小照主要出现在朝鲜后期积极结交外国人士的群体中。热衷国际交往的人物之间,互赠小照已形成如仪轨般的惯例。
楚亭的交往模式与后期士大夫文化动向密切相关。曾两度随楚亭往来中国的李箕元,在其《洪厓文集》卷首刊载了自绘小照。这种将小照辑入文集的方式,后见于姜玮等多家文集。而翁方纲向朝鲜赠送小照等跨国肖像交换的延续,正是以楚亭为代表的文化交流活动的延伸。

  4)多元物品的交换

초정은 중국 현지에서나 귀국한 이후에 중국 인사들과 많은 물건을 주고받았다.인적 교류에서 서화를 주축으로 한 물품의 교환은 우정 의 매개물로서 큰 역할을 한다.실제로는 많은 물품을 교환했으리라 추정하지만 구체적 내용을 밝혀줄 문건은 많지 않다.서로에게 특별 한 의미를 던지는 물품을 교환했을 경우에는 시와 문장에 반영했다. 시문의 도움을 받아 그 정황을 파악하는 것도 국제 교류의 일상적 모 습을 확인하는 계기가 된다. 
물품 교환의 정황을 보여주는 장면의 하나가 나빙에게 부친 시구에 등장한다.초정은"내 물건에는 銀貨로 산 것 하나도 없나니,시 주머 니 그림 축이 엉성함을 비웃노라(我貨都非銀子買,詩囊畫軸笑零星.)" 고 한 데서 받은 선물이 많았다고 실토했다.글씨와 그림을 주고받은 것은 더할 나위 없이 풍부했다.그렇기 때문에 박지원은 아들에게 보 
낸 편지에서"在先(筆者注:朴齊家의 字)의 집에 갖고 있는,우리나 라로 건너온 중국 사람의 詩筆 몇 첩을 빌려 볼 수만 있다면,이 며 칠 사이의 답답증을 누그러뜨릴 수 있을 것만 같구나.허나 그 인간 이 형편없고 무도하니,어찌 지극한 보물을 잠시인들 손밖을 벗어나 게 하겠느냐?그래도 모름지기 빌리도록 해라!"39)고 할 만큼 많은 서 화묵적을 갖게 되었다. 
초정이 지인들과 주고받은 물품과 서화가 곧바로 우정의 깊이를 보여 주는 것은 아니나 밀접한 관련이 있다.특히,양이 아니라 질의 문제를 놓고 볼 때 그렇다.초정이 사귄 사람들이 대체로 학자와 문인이었기에 그들은 시와 저술로 자신을 소개했다.큰 학자로 인정받는 洪亮吉은 초 정의 시를 보고서 몹시 칭찬하여 만나고자 했는데 그 때 자신의 저작을 예물로 보냈다.그 때의 상황이 초정이 쓴「洪亮吉傳」에 잘 나타나 있다.吳明煌은 徽墨 2갑,徽茶 2포,自鳴鐘 2개,湖筆 10개 등 주로 문방도구 위주로 선물했다.이처럼 서화와 문방도구가 선물의 주축을 이뤘다. 
中国方面的人士反而竭力寻求楚亭的书法和诗作。钱东垣致楚亭的书信中,就提到其友人严翼热切渴望获得楚亭真迹,恳请代为转交。
除书籍书画外,双方还互赠了不少物品。楚亭赠予中国友人的主要是清心丸、朝鲜纸张和折扇。清心丸是朝鲜使节团的代表性礼品。他们还携带朝鲜烧酒请中国友人品尝,中国人饮后评价其风味与日本酒相似。
39)朴趾源著·朴熙秉译,《送辣酱小坛》,돌베개出版社,2005年,17~24页。"在先家所有东来今人诗笔数帖,如得借观,当宽此数日躁症,而其人也,罔状无道,安能以至宝,暂时出手乎?第须借之。"
  40)朴长岩,前引书,316页
41)李德惁,위의 책. 
초정이 중국인에게 선물한 물건에는 이외에도 조선의 갓과 幅巾 따 위가 들어있다.갓을 羅聘에게 선물했고,潘庭筠이 욕심내어 나빙에게 달라고 하여 강남으로 가져갔다.그 사실이 반정균과 나빙이 각각 초 정에게 보낸 편지에 실려 있다.단순한 기념 이상의 의미를 갓에 부 여했다고 볼 수 있다.초정은 여러 건의 복건을 집에서 만들어 가지 고 가서 그 하나를 玉水 曹江에게 선물했다. 42 ) 42 ) ^(42)){ }^{42)} 
물품 가운데에는 日本產 먹과 종이,그리고 日本刀가 포함되었다. 초정은 郭東山에게 일본종이를,나빙에게 일본 먹을 선물했다.또 ㅂ本刀 두 자루를 지니고 가서 曾燠과 張問陶에게 주었다.두 시인은 이 특별한 선물을 받고서 각기 「朝鮮使贈日本刀爲作歌」와「日本刀歌贈陳瀚-刀爲朴楚亭贈物」의 장편시를 지었다.43)그 가운데 증욱에게 준 일본도는 조선 땅에서 발굴한 것으로 임진왜란 때 왜병이 사용한 물건이었다.굳이 일본산 물건을 소지하여 중국인들에게 선물한 의도 는 분명치 않으나 상업과 유통을 강조하고 국제적 교류를 중시한 성 향과 깊은 관련성이 있다고 추정한다. 
한편,초정이 문방도구와 서화만을 주고받은 것은 아니다.수레 한 대와 말 한 필을 사서 돌아갔고,44)양잠할 때 솜을 빼는 기구로서 씨 아의 일종인 羊腸彈이라는 기계를 수입했다.그는 이 기계를 조선에 들여와 실제 적용해보았다.45)이러한 종류의 물품이 적지 않았을 것 
42)朴珪寿,《庄庵交稿》"与洪一能良厚书"(《韫斋丛书》5,成均馆大学大东文化研究院编,1996年),301页。"朴楚亭齐家入燕时,携家制幅巾数件前往。玉水曹江果请教东国礼服之制,遂取一件相赠。玉水持此献予其母夫人以为寿礼。"
43)两首诗收录于《瓠渚集》。这两首诗的创作背景及其中渊源,藤塚邻在其旧藏中已有记载,详细说明见于藤塚邻《朴楚亭•柳惠风入燕与清儒》(《清朝文化东传之研究》,国书刊行会,34~48页,昭和50年)。
44)陈鳣《嘉庆六年夏四月既望,奉送贞葊词伯荣旋二首,郎求是正》(《瓠渚集》,318页)中有所记载。
45)李圭景,《五洲衍文长笺散稿》,"人事篇/服食类","羊肠弹旧絮线织结布辨证说"。"中原以羊肠制作弹棉弓弦...我东朴贞蕖齐家得之试用,崔上舍汉绮亦购得此物,然尚未试用云。"
虽然可以充分预料到,但由于没有留下记录,现已无法进一步确认。
据推测,当时与中国人士往来的物品种类相当丰富,包括文房用具和书画等,这些物品对促进交流起到了不小的作用。这些物品曾被草亭及其弟子们精心保管,但19世纪后便难以追踪其下落。其中部分书画留存至20世纪初,相当数量被藤塚邻所收藏。特别是在日据时期拍卖的书画中,包含铁保和伊秉绶赠予草亭的真迹,由此可窥见他们之间文墨奇缘的一斑。

  4. 结语

草亭的四次北京访问在中韩知识分子交流史上具有重要意义。本文聚焦于这些会面本身展开讨论。研究结果表明,草亭与中国高水平知识分子建立了亲密的人际关系,并持续保持着最为广泛而深厚的情谊。在讨论外交议题和文化交流之前,他们首先建立了人与人之间的亲密纽带
最重要的是,在楚亭的交流中最为关键的是这一点。彼此相互拜访共进餐食,互赠礼物,长年累月跨越国境书信往来,将家族间的亲密交流代代相传。正是这种深入日常生活的交往,才使得文化与知识的交流成为可能,并为后世延续了交往的路径。
楚亭的交往并非单向。中国知识分子们也积极主动
46)金相烨等,《拍卖的书画》,532页。时空艺术。
地接近楚亭寻求交流。以楚亭为代表的这一时期知识分子的学问、文学、书法造诣及人品,在中国知识分子间同样备受尊敬与礼遇。他们秉持"何必强分中外?"47)的理念,热情接纳这位外国学者
另一方面,作为备受推崇的代表清朝文人阶层的知识分子,与楚亭保持具体交往的诸多证据留存至今。袁枚、洪亮吉、阮元、翁方纲、孙星衍、纪昀、罗聘、张问陶、李调元等名人的著作和书画中皆可见其交往痕迹。从中国文人的视角观察楚亭形象及其交流内容,其丰富程度足以单独成篇论述,故留待后续研究展开。

  〈参考文献〉

金相烨 等,《拍卖的书画》,时空艺术 2005年。
藤塚邻 著·尹哲奎 等 译,《清朝文化东传研究——秋史 金正喜 研究》(《清朝文化東傳の研究》,国书刊行会,昭和50年),果川文化院,2009年。
朴珪寿,《掷斋丵书》,成均馆大学大东文化研究院影印,1996年。
朴齐家 著 • 安大会 译,《北学议》,돌베개出版社,2003年。
朴齐家,《楚亭全书》,亚细亚文化社,1992年。
  朴趾源,《燕岩集》,朴英哲刊本,1932年。
朴趾源 著·金明浩 申浩烈 译,《国译 燕岩集》第2卷,民族文化推进会,2005年。
朴趾源 著·朴熙秉 译,《送来一罐辣椒酱》,돌베개出版社,2005年。朴宗采 著·金允朝 译,《译注 过庭录》,太学社,1997年。
47)朴长岩,前引书,第179页。"何中外之云?"此类表达曾作为惯用语被广泛使用。
柳得恭,《古芸堂笔记》(收录于《雪岫外史》等2种),亚洲文化社,影印本,1986年。
柳得恭 著·金允朝 译,《谁人知晓》,太学社,2005年。
  李尚迪,《恩诵堂集》,文集丛刊第312辑。
黄苗子,《鬼趣图及其题跋》,《古美术论集》第0页。
黄胤锡,《倾斋乱稿》,韩国精神文化研究院 脱草本。
金东锡,《首尔与燕京学人的神交及其样相》,《汉文学报》第19辑,2008年,第935~965页。
金文勇,《北学派交游论的思想史含义》,《朴趾源·朴齐家寻找新道路》,京畿文化财团,2006年,第174~204页。
朴秀蜜,《朴齐家诗作中呈现的人生轨迹与内心意识》,《古典文学研究》第27辑,2005年,第455~496页。
朴宗勋,《楚亭朴齐家怀人诗小考》,《韩国语言文化研究》第30辑,韩国语言文化学会,2006年。
朴贤旭,《朝鲜正祖朝检书官的角色》,《书志学研究》第20辑,第213~252页。
安大会,《朴齐家诗歌中的物·人·社会》,《18世纪朝鲜知识分子的文化意识》,汉阳大学出版社,2001年,第163~192页。
安大会,《朴齐家的〈竟信堂夹袋〉与北关风情》,《韩国汉诗研究》第12辑,2004年,第71~102页。
安大会,《楚亭朴齐家的人物形象与日常生活——以描写小室的诗文为中心》,《韩国汉文学研究》第36辑,2005年,第117~150页
金载教,《18世纪朝鲜王朝与清朝学人的学术交流》,《古典文学研究》第23辑,2003年,第301~326页。
郑珉,《新发掘〈燕岩先生书简帖〉的资料价值》,《大东汉文学》第22辑,2005年,第311~394页。

楚亭朴齐家的燕行与日常生活中的国际交流

黄仁建,《〈燕京杂绝〉中朴齐家的中国体验考察》,《韩国诗歌研究》第20辑,韩国诗歌学会,2006年。
申东元,《西方医学研究,1700-1876》
投稿日期:2009年2月4日 审稿日期:2009年3月3日 录用日期:2009年3月7日

朴齐家燕京之行与日常国际交往

  摘要

  安大浩*

本文探讨了朴齐家(1750-1805)燕京之行所展现的国际交流面向。朴齐家通过燕行构建的人际网络不仅数量庞大,且知识阶层水平堪称顶尖,他所缔结的交往关系直接推动了19世纪活跃的文化互动。

其交流具有双向互动特质,四次燕京之旅中与众多名士建立了深厚私谊。双方通过互访、宴饮、馈赠礼品与书信问候维系着密切的家族交往。作为这种深度交往的实证,本文特别考察了通过妓生绿阿为媒介交换的诗作、自画像及文房用品等实物。

可见楚亭与中国上层知识分子保持着亲密而稳定的广域深交,这种个人情谊不仅促成了文化学术交流,更为后代开辟了新的社交路径。

关键词:朴齐家;国际交流;燕行;自画像;《贞蕤阁集》

  1.   *成均馆大学副教授,韩国汉文学。
  2. 3)北学派知识分子的交游所具有的东亚意义,可参考金文镛,《北学派交游论的思想史含义》(《朴趾源·朴齐家寻找新道路》,京畿文化财团,174~204页,2006年)。
  3. 7)朴齐家,《楚亭全书》中,《诗学论》,23~25页。"文章之道,在于开其心智广其耳目,不系于所学之时代也。"
    8)朴齐家,同上文。"其于书也亦然。学晋人者最下,学唐宋以后帖者稍佳,直习今之中国之书者最胜。(中略)反不如中国今人之书之可信而易近。"
    9)朴齐家,同上书,《与郭澹园执桓》,269~272页。"呜呼!我检点身心,无一善行可称道,唯独在交友之道上,情意尤为深切。见古人最重知己,或千里驱车相访,片言相投者,便激动得不能自已。"
    10)朴齐家,同上书,《与潘秋串》,277~279页。"呜呼!我乃性情中人也。"
  4. 11)朴齐家,同上书,《与徐观轩常修》,263~267页。"呜呼!我东国三百年间使节往来,竟未得见一位名士而归。"
  5. 12)朴齐家《楚亭全书》上,《寄王苹溪秀才·苹溪与余素未谋面,却刻赠姓名表字二小印,索余书扇。后于两峰画所定交》,325~326页。"我定为情死,逢君一惘然。"
    13)朴齊家,『縞紵集』(朴長馣 編,『楚亭全書』제 3 책,亞細亞文化社,1992), 45 쪽. "所謂士大夫,亦頭出頭沒於宋儒小註中.我到此方能一出口氣." 
  6. 20)유득공,『熱河紀行詩註』,아세아문화사 영인,1986.499~500쪽. 
    21)박장암,위의 책,95쪽."先君記曰:"(張船山),嘗邀余食蟹于翰林館中.南進士德新最嗜食,李十三次之.余書示云,南爲蟹元,李爲螃眼.余却在八股外也.船山拊掌大笑." 
  7. 22)李箕元,『洪厓集』「簡青城丈人北青任所」,연세대 소장 필사본."楚亭泠齋惡因緣,奇嘲竗謔鄒魯鬨。" 
    23)박제가,위의 책,懷人詩,仿蔣心餘」,‘孫雲麓[衡]’."舍人有至性,往往苦留客.僮僕候車音,篝燈照深夕.相贈䡒傾囊,何偤有怪色." 
    24)박제가,위의 책,「燕京雜絶,464쪽."知我叩盆情,縬詩萬里慰." 
  8. 岱瞻,聯車夜至索近藁.讀前詩曰:"漁洋先輩若睹此作,定錄上乘,弟等草茅下士,何足重君。炎林走筆和之,略不構思。" 
  9. 26)초정이 이 육아에게 애정을 느꼈는지는 알 수 없다.李箕元이 육아가 다른 남 자에게로 갔다고 밝힌 점을 보면 마음에 없었던 것은 아닐 것이다.안대회,「楚亭 朴齊家의 인간면모와 일상-小室을 맞는 詩文을 중심으로」(『한국한문학 연구』 36 집,2005.117~150쪽)참조. 
    27)박장암,위의 책,262쪽."荑室瘦病可憐,然不得一覩紙上芳容,大是憾事.足下不爲我辦此,無乃近俗?或者淡粧輕素,取次入朱欄,故秘惜春光,不肯使等閒省識耶?" 
  10. 28)박장암,위의 책,263~4쪽."書奉六娥仙史硯北.從次修詞丈處,得見大作,並悉有出塵之志,不覺神爲之馳.奉柬小句二首,書之畫筆,聊致傾慕之意.未識肯寫小照見示,並惠我好音,以慰遠懷否?想雅懷高致,或不以俗子況我也。多多佈此,用候興居,千萬珍重,千萬珍重!重光大淵獻,月正二十二日,笠澤漁郞拜手致書,謹空." 
    29)박제가,위의 책,「燕京雜絶」제34수,465쪽。"熊方受翰林,聞余卜小星,贈一聯云,舊聞才子名如日,新得佳人字莫愁."같은 내용이 『縞紵集』에도 실려 있다. 다른 내용으로"熊君送楹帖,蓋笑莫愁云.胡不持洋布,因風寄宛君."도 있다. 
    30)안대회,위의 논문, 140 141 140 141 140∼141140 \sim 141 쪽. 
  11. 31)朴齐家,前引书,《元夕集观斋,次元诗》,第122页。"愿将诸君移小照。"
    32)中日韩人士相互绘制并馈赠肖像画的文化是另一个有趣的课题,因此本文对此具体内容从略。
  12. 33)朴齐家前引书,《戏仿王渔洋岁暮怀人六十首·"李雨邨调元"》,第140页。"小照东来冽水堂,松风谡谡读书床。天涯词伯无人识,独蒸名香画味长。"
    34)李鼎元致函朴长岩时所言"二月十六,贱辰,足下欲仿弹素故事,既感且愧",正是指此典故
    35)李德惁,《入燕记》下卷 6月9日条。
    36)甲午年制作,四年后竺德邻本人题写了《自题小照》。朴长庵,前引书,216页。
  13. 37)朴长庵,前引书,148页。"如此虽不若把握朝夕为切切然,亦可以想像于意中也。" 38)柳得恭,前引书,495~499页。
  14. *韩国首尔成均馆大学汉文系韩国汉文学教授